HACCP 22

갈수록 요구 수준 높아져 가는 HACCP, VACCP, TACCP-C.S 칼럼(504)

갈수록 요구 수준 높아져 가는 HACCP, VACCP, TACCP-C.S 칼럼(504) 문백년 사무총장 승인 2025.01.13 07:40식품 안전관리 시스템 공통점 불구 초점 달라VACCP, 공급망 취약성 평가 중요 관리점…식품 사기·위조, 원산지 허위 표시 등 대상TACCP, 미국 식품현대화법의 주요 규칙…식품 테러·내부자 범죄·사보타주 등 예방△문백년 사무총장(한국식품기술사협회) HACCP과 VACCP, TACCP는 모두 식품 안전과 관련된 관리 시스템이지만 초점이 다르다.HACCP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은 위해요소 중요관리점에 초점을 두고 식품 원료에서부터 제조와 유통, 소비 단계까지 식품 체인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

HACCP 2025.01.14

모니터링과 개선 조치는 CCP한계기준 내 관리의 쌍두마차-C.S 칼럼(501)

모니터링과 개선 조치는 CCP한계기준 내 관리의 쌍두마차-C.S 칼럼(501) 문백년 사무총장 승인 2024.12.16 07:40중요관리점 공정 안정적 운영 위해 측정하고한계 기준 이탈할 경우 취하는 일련의 조치△문백년 사무총장(한국식품기술사협회)무슨 일이든 계획과 실행이 있으면, 계획된 대로 실행이 잘 되었는지 점검 및 평가하기 마련이다. 만약, 제대로 실행되지 않았다면 이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 찾아 개선책을 수립하고 신속하게 개선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HACCP 관리에서 모니터링과 개선 조치는 HACCP 시스템이 실제적으로 관리·운영되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쌍두마차와 같다.품질관리 기법 중 가장 널리 알려진 PDCA 사이클은 1950년에 미국의 품질관리 전문가인 에드워드 데밍(Deming)이 ..

HACCP 2024.12.18

해썹 도입 30년, 식약처의 성과와 결실-김태민 변호사의 푸드테크와 산업 톡톡(23)

해썹 도입 30년, 식약처의 성과와 결실-김태민 변호사의 푸드테크와 산업 톡톡(23) 김태민 변호사 승인 2024.11.25 07:40전국민 인지…중기 포함 국내 식품 위생 선진화△김태민 변호사(식품위생법률연구소)2007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발령받아 처음 배정받은 팀은 식품안전기준팀으로 지금의 해썹(HACCP)을 관리하는 곳이었다. 당시 식품의약품안전처 직원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해썹지원단 소속 직원이 팀을 이뤄 전국 각지의 식품회사를 돌아다니면서 신청받은 해썹 관리를 점검하고, 지정서를 내주는 업무가 주였다.당시만 해도 3~4명의 공무원과 10여 명 안팎의 공공기관 직원이 전부였고, 교육기관도 독점으로 운영되었던 정말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이었던 기억이 난다. 여전히 식품 유형별 관리기준서의 체계가 잡..

HACCP 2024.11.26

HACCP의 한계 기준 설정-C.S 칼럼(499)

HACCP의 한계 기준 설정-C.S 칼럼(499) 문백년 사무총장 승인 2024.11.25 07:38안전성 확보 위한 최대·최소 허용치 범위 정해△문백년 사무총장(한국식품기술사협회)기준치가 마련된다고 하더라도 빈틈없이 완벽하게 그대로 관리하기란 쉽지 않다. 초정밀 기계도 아주 미세한 범위 내에서 오차가 생기게 마련이라 어느 정도까지 허용하는 것이 안전성 확보에 최적의 범위인지 결정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한계 기준의 설정으로 이해하면 틀림없다.용어의 정의상으로 HACCP의 한계 기준(Critical Limit)은 “중요관리점(CCP)에서 위해요소 관리가 허용범위 이내로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나 기준치”를 말한다. 이는 과학적 근거에 기초하여 설정되어야 하며, 기준치를 중심으로 ..

HACCP 2024.11.26

마식공 ‘스마트 HACCP 솔루션’, 어디서나 업무처리 가능

마식공 ‘스마트 HACCP 솔루션’, 어디서나 업무처리 가능 ‘CCP 모니터링 자동 기록관리 시스템’ 갖추면 HACCP인증원 ‘현장조사 면제’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 의무화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마식공㈜의 ‘중요관리점(CCP) 모니터링 자동 기록관리 시스템(CCP 전자문서화+모니터링)’으로 스마트 HACCP 공장을 구축하는 식품기업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으로부터 현장조사 평가를 면제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월 5일 식품 생산에 ‘CCP 모니터링 자동 기록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식품기업에 대해 정기 조사ㆍ평가를 자체적으로 실시(현장조사 제외)할 수 있도록 하고, 업체가 자동 기록관리 시스템 적용 사실에 대한 표시ㆍ광고(스마트 HACCP 적용기업)를 할 수 있도록 하는 ..

HACCP 2020.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