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일본 우설 시장 동향

곡산 2025. 5. 15. 07:41
일본 우설 시장 동향
  • 상품DB
  • 일본
  • 후쿠오카무역관 김성영
  • 2025-05-13
  • 출처 : KOTRA

 

전 세계 우설 최대 수입국 일본

우설 소비량의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미국산 수입량은 감소, 호주산 수입량은 증가 추세

상품명 및 HS 코드

 

소의 혀를 뜻하는 우설(牛タン)은 일본에서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식재료다.

 

HS 코드 상품명
020621 소 설육(냉장 또는 냉동한 것)

 

시장동향

 

일본의 센다이 지역에서 시작된 우설구이는 일본 전국적으로 인기 있는 음식이다. Japan Food Guide에 따르면, 제2차 세계대전 후 일본은 심각한 식량부족에 시달리게 됐고, 당시 일본에 주둔하게 된 미군이 남긴 우설을 일본인들이 식재료로 이용하기 시작한 것이 우설구이의 유래라고 한다. 

 

     1kg 외로 고급 특수부위로 여겨지며, 일본 전국적으로 '탄야(牛たん焼き専門店)'로 불리는 우설구이 전문점들이 다수 존재해 현지인뿐 아니라 관광객들에게도 인기를 끌고 있다. 우설을 사용한 유명한 요리로는, 센다이 우설구이뿐 아니라 야끼니꾸, 우설스튜, 우설 스테이크 등이 있다.     ( ) , 우설이   킹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우설의 인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일본의 고향납세(후루사토 노제) 고기류 인기품목 우설> 

[자료: 일본 고향납세 홈페이지 인기 랭킹]

 

수입동향 및 경쟁동향

 

일본은 2024년 기준  세계 우설(HS code: 20621) 수입 교역액 64%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전 세계 수입 점유율 2위인 인도네시아(10%)와 3위인 러시아연방(4%)에 대비해 압도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24년 전 세계 우설(HS code: 20621) 수입국 1위 일본>

(단위: US$ 천, %)

[자료: KOTRA 트라이빅]

 

2018     ,  일본  생산량은 1000톤 정도이나, 수입량이 3만9000톤에 달해 공급량에서 일본 국내 생산량이 지하는 비율이 약 3% 정도라고 한다. 즉, 국내 소비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태였다. 또한, 당시엔 미국이 최대 수입국이었으나, 최근 3년간의 수입동향을 보면 미국으로부터의 우설 수입량은 점점 줄고 있지만, 호주로부터의 수입은 늘어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본에선 수입산 우설을 브랜드화해서 판매하고 있지는 않다.

 

<2022~2024년 일본 우설(020621) 수입동향>

(단위: US$ 천)

순위 국가/지역 2022 2023 2024
- 전 세계 339,516 252,174 286,168
1 미국 132,167 86,953 79,411
2 호주 61,907 51,818 70,439
3 아일랜드 23,811 14,440 20,414
4 뉴질랜드 30,299 22,927 19,298
5 우루과이 8,660 7,452 18,139
6 캐나다 24,555 19,438 15,557
7 폴란드 13,132 8,860
12,890
8 영국 13,295 9,550 11,860
9 이탈리아 4,381 5,658
8,520
10 멕시코 11,349 6,638 6,556
- 대한민국 - - -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5.12.]

 

또한, Global Trade Atlas와 KOTRA TriBIG 등 자료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무역 통계 기준, 한국은 일본을 비롯한 타 국가로의 우설 수출 이력이 없다.

 

가격동향

 

2019년부터 2025년 3월까지의 미국산 냉동/냉장 우설 단가 추이를 보면, 2019년도에는 1Kg당 1000엔 후반대에서 시작해서 25년 3월에는 2000엔 후반대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우상향하는 가격대를 보이고 있다.

 

<미국 수입산 소고기 단가 추이>

(단위: 엔, %)

[자료: 일본 농축산업진흥기구 축산진흥부 축산유통과]

 

유통구조

 

일본식육협회 자료에 따르면, 도축장이나 식육센터에서 부위별로 처리된 우설을 포함한 축산부산물은 대부분 전문 도매업자가 한 마리분을 일괄적으로 구입한다. 도매업자는 판매업체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부위를 소분한 뒤 슈퍼마켓이나 외식점, 가공품 제조업체 등에 판매하게 된다.

 

<일본 내 축산부산물 유통구조>

[자료: 일본식육협의회 '축산부산물 지식']

 

관세율

 

HS Code WTO
20621 15% 12.8%

[자료실행관세율표 (2025.4.1.)]

 

인증

 

우설도 축산물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일본의 동물검역 제도에 따라야 한다. 수입자가 수입검사를 신청을 진행해야 하며, 신청시에는 수출국 정부 기관에서 발행한 검사증명서(Health Certificate 또는 Veterinary Certificate)가 필요하다. 검사 내용으로는 서류심사, 현물 검사, 시료 발췌검사 등이 실시된다. 

 

<일반 JAS 로고(왼), 유기농 JAS 로고(오)>

    

[자료: 일본 농림수산성]

 

그 외 인증으로는 JAS 인증이 있다. JAS는 일본 농림수산성 장관이 식품, 농업, 임업, 어업 분야에서 제정한 일본의 국가 규격이다. 우설도 축산물로 분류되므로, 선택사항으로 JAS 규격을 취득할 수 있다. JAS 제도는 (1) 제품의 품질·규격, (2) 제품의 생산·유통 과정, (3) 사업자에 의한 제품 취급 방법, (4) 사업자에 의한 경영 관리 방법, (5) 제품의 시험 방법, (6) (1)~(5) 관련 용어 등 다양한 규격을 정하고 있다. 사업자가 JAS 인증을 취득할 경우, JAS 마크에 부착할 수 있다. 일반 JAS는 품질 등급, 성분 및 규격 등 JAS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 식품 및 임산물에 적용되며, 유기농 JAS는 기농 JAS를 준수하는 농산물 및 가공식품에 적용된다.

 

시사점

 

지난 2월 2일 KBS 뉴스 전북 방송 보도에 따르면, 2024년 9월 기준 한국의 한우 사육두수는 341만2000마리로 적정수준으로 산출되는 290만 마리를 초과해 한우 도매가격이 3년 전보다 19%가량 떨어진 1kg당 1만7900여 원을 기록했다고 한다. 가격 안정화를 위해 한우 사육두수 수급 조절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있는 가운데, 관세 및 인증 등 사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기는 하나, 일본으로의 우설 수출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특히, 일본에서 우설을 소비하는 인구가 많고, 현지에서 소비되는 우설의 대부분이 수입산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우설 수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어 우리 관련 기업들이 관심을 가져봄 직하다.

 

 

자료: Japan Food Guide, 후루사토 노제 홈페이지, 일본 농축산업진흥기구 축산진흥부 축산유통과, 일본식육협회, 농림수산성, KOTRA 트라이빅, Global Trade Atlas, KBS뉴스 전북, KOTRA 후쿠오카 무역관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