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2024년 시리얼 제품 시장 동향
2024년 일본 시리얼 제품 시장은 금액, 수량 모두 증가 추세를 보였다. 코로나 종식 전인 22~23년도에는 다소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코로나 종식 이후, 일상을 되찾으면서 여러 가지 배경으로 다시 시리얼 제품 수요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일본 현지 시리얼 제품 시장 트렌드와 마케팅 사례를 소개해보겠다.

■ 일본 시리얼 수요 증가 배경
2024년은 일본에서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래 2년 연속으로 고온 기록을 경신하는 등 기록적인 더위를 기록한 해였다. 그래서 집에서 불을 쓰지 않고 조리할 수 있는 컵라면 등의 식품 카테고리 쪽으로 구매 수요가 증가했다. 특히 시리얼의 경우 불을 사용하지 않고 섭취할 수 있어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또한 각종 재해 대책의 일환으로 비축 식량으로서의 시리얼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했다. 2024년은 노토반도 지진, 미야자키현 지진이 발생하는 등 재해가 많았던 한 해였다. 시리얼은 우유가 없어도 그대로 먹을 수 있는 점과 영양 밸런스와 맛이 좋은 점, 무엇보다 보존성이 뛰어난 점에서 비축 식량으로서의 수요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 일본 시리얼 제품 시장 트렌드 및 마케팅
코로나 때부터 주목받았던 건강에 대해 높아진 관심으로 인해 칼로리나 기능성 표시 등과 같은 미용과 건강 요소는 소비자 구매행동의 기준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현지 시리얼 제조업체에서는 시리얼이 가진 건강 가치를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하여 어필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체인 가루비의 경우 ‘후루그라’라는 제품을 출시했다. 바삭바삭한 식감 등 다양한 식감을 즐길 수 있는 제품으로, 아침식사로 섭취 시 씹는 횟수가 늘어 뇌가 빨리 활동 개시를 할 수 있어 좋은 하루를 시작할 수 있다고 한다.
일본 켈로그의 경우, ‘올브랜’이라는 밀 외피를 사용한 제품으로 2020년에는 기능성표시식품으로 등록했다. 장내환경과 변비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기능성을 표기하여 판매되고 있다.

또한 캠페인으로 2가지 종류의 시리얼을 섞어서 먹는 방법을 홍보함으로써 제품 동시 구입자도 증가했다. 퍼프형 시리얼과 그래놀라로 플레이팅이나 식감을 즐기거나 그래놀라와 오트밀을 섞어서 당도를 낮추는 등의 조합을 즐기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유명 호텔이나 인기 과자와의 기획 상품 투입으로 X(구 트위터) 등에서의 화제성을 불러 모았다. 뿐만 아니라 당질 오프, 맞춤형 주문 등과 같은 좀 더 건강을 고려한 상품을 비롯해 식감이나 다양한 재료로 먹는 즐거움과 맛있음을 어필한 상품 등 부가가치가 풍부한 상품을 라인업하면서 다양한 고객의 기호에 대응하고 있다.

■ 시사점
올해도 일본에서는 장마가 예년보다 빨리 끝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더위도 일찍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배경으로 불을 쓰지 않고 빠르고 간편하게 영양까지 챙길 수 있는 시리얼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위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준비하고 홍보한다면 일본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자료 출처:
- 일본식량신문 (2025.03.19.)
https://news.nissyoku.co.jp/special/1157594
- 각 제조업체 사이트(일본 켈로그, 가루비, 닛신시스코)
https://www.kelloggs.com/ja-jp/products/all-bran/bran-flakes.html
https://www.calbee.co.jp/frugra/
https://www.nissin.com/jp/product/items/12938/
문의 : 오사카지사 박다빈(parkdabin@at.or.kr)
문의 : 오사카지사 박다빈(parkdabin@at.or.kr)
'일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내 '오렌지 쇼크', 대체 수입처 모색에 나서는 일본 음료 제조업계 (0) | 2025.03.24 |
---|---|
일본이 맞이한 '제5차 도넛 붐', 생(生) 도넛이 이끈다 (0) | 2025.03.24 |
[일본] 일본 스낵 시장 소비트렌드 : 다양화와 프리미엄화 (0) | 2025.03.23 |
[일본] 일본 디저트 시장 동향 및 트렌드 (1) | 2025.03.23 |
[일본] 쌀 가격 인상으로 인한 대체 상품 수요 증가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