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2025년 해산물 시장 동향
독일 연방영양센터(BZfE)의 "2025 영양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미래의 식단은 지속 가능하고 개별 맞춤형이며 건강 중심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독일수산정보센터(FIZ)는 생선과 해산물이 이러한 트렌드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분석했으며, 미래의 지속 가능한 식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5년 식품 트렌드와 생선·해산물의 연관성
1) 플렉시테리언 식단과 생선
BZfE 보고서에 따르면, 82%의 응답자가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 식단을 가장 큰 트렌드로 꼽았다. 이는 점점 더 많은 소비자가 육류 소비를 줄이고, 식물성 식품을 중심으로 유연하게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는 식습관을 선택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생선은 필수 아미노산과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며, 소화가 용이한 고품질 단백질 공급원이므로 플렉시테리언 식단에 매우 적합하다. 특히 육류보다 환경 부담이 적고 건강에 유익한 대체 단백질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2) 기후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영양섭취
지속 가능한 식단은 2025년 식품 트렌드에서 64%의 지지를 받아 3위를 차지했다. 환경과 건강을 고려하는 소비자들은 지속 가능하게 생산된 어류 및 해산물(MSC, ASC, 유기농 인증)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MSC(Marine Stewardship Council)는 해양 어업 인증으로,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잡힌 수산물에 부여되는 인증이다. 이는 남획을 방지하고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며, 책임있는 어업 관행을 유지하는 어선과 수산물에 부여되는 인증이다.
ASC (Aquaculture Stewardship Council) 인증은 양식으로 길러진 생선 및 해산물이 환경과 사회적으로 책임있는 방식으로 생산되었음을 보증하는 인증이다. 예를 들어 수질 오염, 사료 사용, 항생제 사용 등을 엄격하게 관리한다.
특히, 홍합(mussels)은 추가적인 먹이가 필요하지 않고, 바닷물을 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친환경 식품으로 평가된다. 또한, 담수어(예: 송어, 시클리드)는 친환경 양식 시스템에서 생산되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방식으로 관리되고 있다.
3) 개인 맞춤형 영양과 생선
69%의 응답자가 개별 맞춤형 식단이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건강 최적화를 위해 개인의 영양 요구에 맞춘 식습관이 강조되는 가운데, 생선은 다음과 같은 이점으로 주목받는다. 근육 형성에 필수적인 고품질 단백질 공급원, 두뇌 기능 향상을 돕는 오메가-3 지방산 함유, 면역력 증진에 필요한 요오드, 셀레늄 등의 미네랄 제공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노화 방지, 인지 기능 향상, 체력 유지가 필요한 소비자층에도 유익한 식품으로 자리 잡게 만든다.
4) 장 건강 및 혈당 관리에 도움되는 생선
기능성 식단(63%), 장 건강(59%), 혈당 조절(51%)이 중요한 트렌드로 떠올랐다.
생선의 오메가-3 지방산은 항염 효과가 있으며, 쉽게 소화되는 단백질 공급원으로 소화기 부담을 줄이고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간편식 식사 트렌드와 생선
바쁜 현대인들에게 빠르고 건강한 식사가 중요하다는 응답이 34%를 차지했다. 많은 사람들이 간편한 조리법과 영양가 높은 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시사점
독일 소비자들은 지속 가능성과 건강을 고려한 식품을 선호하며, 한국 수산물과 해조류 기반 제품은 이를 충족할 수 있는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한국 식품 업체들은 친환경 인증을 강화하고, 기능성 및 간편식 제품을 개발하여 유럽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혀야 한다.
출처:
문의 : 프랑크푸르트지사 윤선아(sa@at.or.kr)
'유럽 , 아프리카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지속적인 와인 생산량 감소 및 트렌드 변화 (0) | 2025.03.24 |
---|---|
[프랑스] 프랑스 라면 시장동향 (0) | 2025.03.23 |
[독일] 디저트 트렌드 2025 (0) | 2025.03.23 |
[프랑스] 프랑스 치즈 문화 (1) | 2025.03.14 |
[유럽] 유럽 냉동식품 시장 동향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