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미국 조리가공식품시장에도 웰빙 열풍 | ||||||||||||||||||||||||||||||||||||||||||||||||||||||||||||||||||||||||||||||||||||||||||||||||||||||||||||||||||||||||||||||||||||||||||||||||||||||||||||||||||||||||||||||||||||||||||||||||||||||||||||||||||||||||||||||||||||||||||||||||||||||
---|---|---|---|---|---|---|---|---|---|---|---|---|---|---|---|---|---|---|---|---|---|---|---|---|---|---|---|---|---|---|---|---|---|---|---|---|---|---|---|---|---|---|---|---|---|---|---|---|---|---|---|---|---|---|---|---|---|---|---|---|---|---|---|---|---|---|---|---|---|---|---|---|---|---|---|---|---|---|---|---|---|---|---|---|---|---|---|---|---|---|---|---|---|---|---|---|---|---|---|---|---|---|---|---|---|---|---|---|---|---|---|---|---|---|---|---|---|---|---|---|---|---|---|---|---|---|---|---|---|---|---|---|---|---|---|---|---|---|---|---|---|---|---|---|---|---|---|---|---|---|---|---|---|---|---|---|---|---|---|---|---|---|---|---|---|---|---|---|---|---|---|---|---|---|---|---|---|---|---|---|---|---|---|---|---|---|---|---|---|---|---|---|---|---|---|---|---|---|---|---|---|---|---|---|---|---|---|---|---|---|---|---|---|---|---|---|---|---|---|---|---|---|---|---|---|---|---|---|---|---|---|---|---|---|---|---|---|---|---|---|---|---|---|---|---|---|---|
게시일 | 2016-04-18 | 국가 | 미국 | 작성자 | 정재민(시카고무역관) | ||||||||||||||||||||||||||||||||||||||||||||||||||||||||||||||||||||||||||||||||||||||||||||||||||||||||||||||||||||||||||||||||||||||||||||||||||||||||||||||||||||||||||||||||||||||||||||||||||||||||||||||||||||||||||||||||||||||||||||||||||
미국 조리가공식품시장에도 웰빙 열품 - 냉동조리제품이 시장 선도 중이나 완연한 하락세 - - 신선함을 강조한 냉장조리제품이 최근 급부상 -
□ 미국 조리가공식품(Ready Meals) 시장 동향
○ 조리가공식품시장 경기 회복과 반대로 하락세 - 2015년 조리가공식품(Ready Meals) 시장 판매는 257억 달러 규모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소폭 상승함. - 2009년 경기 불황 이후 미국 경제의 꾸준한 회복으로 조리가공식품보다 외식, 음식포장 후 집에서 식사하는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 Chilled Lunch Kits, 냉장 피자, 냉장 조리가공식품, 조리된 샐러드 제품들의 판매는 증가했지만 다른 조리가공식품들은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함.
조리가공식품(Ready Meals) 연평균 성장률 추이(2010~2015년) (단위: %)
자료원: 유로모니터
○ 냉장 런치세트(Chilled Lunch Kits), 신선함 강조로 높은 성장률 기록 - 2010년에서 2015년까지 연평균 3.8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냉동식품에 비해 풍미, 신선함 그리고 해동이 필요없는 편리함으로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함. - 조리가공식품시장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인 6.34%를 기록하며 침체된 시장에 활력이 되고 있음. 간편하고 이동에 편리한 장점으로 젊은 회사원들이 주 소비층으로 조사됨. - 건강관리에 관심 갖는 소비자들의 증가로 조리가공식품에도 신선함, 친환경적 식품이 높은 성장률을 기록함.
○ Prepared Salad, 꾸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이어짐. - 바쁜 현대인들 패턴에 맞는 건강, 편의성 갖춘 Prepared 샐러드는 꾸준한 수요로 1.49% 성장률 기록함. - 캘리포니아주의 가뭄, 비싼 야채 가격은 Prepared 샐러드 식품의 수요를 증가시킨 주요 이유가 됐음. - 가격경쟁력, 신선함을 강조해 향후에도 연평균 1.44% 이상의 꾸준한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Fresh Express Prepared 샐러드 제품 자료원: Fresh Express
○ Shelf Stable, 냉동 조리가공식품은 염분 햠유량, 낮은 영양가로 시장 위기 직면 - Shelf Stable 식품은 냉장·냉동보관을 하지 않고 상온인 진열대에 놔두어도 상하지 않는 포장 음식으로 2009년부터 현재까지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함. - 여전히 조리가공식품 시장 판매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나, 1억 달러 이상의 판매 감소를 기록하는 등 완연한 하락세 - 2015년 냉동 조리가공식품은 수요 감소에도 8억 달러의 판매를 기록함. 대조적으로 Prepared 샐러드는 전년대비 25% 판매 성장을 기록하며 5억 달러 규모로 성장 - 신선하고 건강한 제품 찾는 소비자들의 추세로 향후에도 Shelf stable, 냉동 제품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
Hormel사 Compleats 제품과 Nestle사 DiGiorno 냉동피자제품
자료원: Hormel, Nestle
□ 미국 조리가공식품 시장 경쟁동향
○ 냉동 조리가공식품이 여전히 판매 선두 - 네슬레(Nestle)는 냉동 조리가공식품 브랜드인 Stouffer’s와 냉동피자 브랜드 DiGiorno의 모기업으로 꾸준히 시장에서 선두 유지 중 -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이 변하고 있지만 대학생, 회사원 등 저렴하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냉동 조리가공식품에 대한 지속적 수요로 향후에도 당분간은 시장 선두 유지 전망 - 네슬레, ConAgra Foods Inc, Kraft Foods Inc, Chiquita Brands Inc, Schwan Food co는 몇 년간 꾸준히 시장의 선두그룹을 유지하고 있음.
네슬레(Nestle)의 Stouffer's, DiGiorno 제품 자료원: Nestle
미국 조리가공식품 브랜드별 시장점유율(2011~2015년) (단위: %)
자료원: 유로모니터
○ 냉장 런치 세트의 성장 원동력 Portable Protein Pack, Rev Wrap -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한 제품은 간식과 식사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서 소비자들에게 어필 중임. 특히 이동하면서 섭취 가능하고 건강까지 챙긴 두 제품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Oscar Mayer P3사 제품 'Portable Protein Pack'은 건강 균형식품을 강조해 단백질 및 휴대성 강조로 좋은 시장 반응을 얻음. 총 네 가지 맛을 출시해 입맛에 맞는 제품 구매 가능 - Hormel사의 Rev Wrap은 활동량이 많은 젊은 세대들의 인기 제품으로 13가지 맛 출시와 함께 단백질 함유량을 높여 간식 겸 식사로 인기. 가격경쟁력과 건강을 챙긴 Rev Wrap 제품은 향후에도 판매 성장 전망
Oscar Mayer P3사 Portatble Protein Pack과 Hormel사 Rev Wrap 제품
자료원: Oscar Mayer P3, Hormel
○ 웰빙 대세를 거스르는 Pinnacle사 Hungry Man Frozen Meals - 조리가공식품 시장에서도 웰빙, 친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제조업체 또한 건강에 초점을 맞춘 제품 출시를 위해 노력 중임. 조리가공식품 시장에서 가장 많은 판매를 기록한 냉동식품도 5년간 25% 이상의 판매 하락을 기록함. - 아이러니하게도 Pinnacle의 Hungry Man Frozen Meals는 고지방, 고칼로리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수요가 증가해 전년대비 4~6% 판매 성장을 기록함. - 건강에 대한 인식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존 냉동식품을 애용하는 소비자와 건강보다는 맛을 우선으로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좋은 성과를 얻음.
Pinnacle사 Hungry Man 제품 자료원: Pinnacle
□ 전망 및 시사점
○ 건강에 초점 맞춘 다양한 조리가공식품 출시 전망 - 소비자가 선호하는 웰빙, 신선함 갖춘 제품의 판매는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전망. 기존 냉동 조리가공식품 업체들도 다양한 제품 출시와 마케팅으로 소비자들의 냉동식품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꿀 것으로 전망 - 2015년에 강세를 보였던 Prepared 샐러드는 포장기술의 발전을 통해 제품의 수요가 더욱 증가할 전망. 채소 값의 변동에 따라 제품의 가격에 영향을 줄 것임.
○ 미국 조리가공식품시장의 선두주자 Nestle, 색다른 마케팅 통해 소비자들 공략 전망 - 2년 만에 Nestle 판매실적은 13억에서 11억 달러로 약 20% 감소함. 공격적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인식 변화와 판매실적 향상을 목표로 함. - 2015년 여름 광고를 통해 기존 소비자들의 몸무게 감소 중시를 긍정적 생활방식 중시로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춤. - 360i 에이전시와 함께 칼로리가 아닌 원재료와 품질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WeighThis'라는 소셜 캠페인을 시작함. - 뉴욕 Grand Central Station에 그림이 그려진 체중계를 비치하면서 '중요한 건 자신의 몸무게가 아니라 자신이 무슨 일을 성취했는가이다'라는 메시지를 던지며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 추구
Nestle의 #Weighthis 캠페인 사진 자료원: Nestle, 360i
○ 한국 음식이 웰빙에 부합한다는 점을 적극 어필해야 할 것 - 아시아 음식에 관한 미국인들의 관심 증가로 비빔밥, 불고기, 만두 등 다양한 제품에 관한 소비자들의 관심 증가. 친숙한 한국 제품들 통해 소비자들에게 접근하면서 시장에 진출해야 함. - 비빔밥 같은 웰빙 및 건강식의 장점 홍보와 채식메뉴 강조를 통해 시장성을 부각하는 홍보 전략 필요.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미국소비자들 공략을 위해 다양한 유통업체를 통한 시장 진입과 브랜드 이미지 홍보 또한 중요할 것임. - 제품 수출 시 필요한 FDA 승인 및 미국 식품표시제도에 관한 준비 또한 중요
자료원: 유로모니터, Hormel, Nestle, Pinnacle 및 KOTRA 시카고 무역관 자료 종합 |
'미국, 캐나다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인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는 차(Tea) 시장 (0) | 2016.05.07 |
---|---|
캐나다 식품검역청, 한국산 포장식품에 리콜조치 (0) | 2016.05.07 |
미국 어린이 식품시장 공략때 고려할 요소들건강한 식재료·무첨가·민족별 맞춤형 제조 (0) | 2016.04.21 |
파라과이 바이어가 전하는 한국식품 시장 동향 (0) | 2016.04.11 |
도미니카공화국 식료품시장에도 한류 바람을! (0) | 2016.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