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韓 제품의 日 선물시장 진출 가능성은? | |||||
---|---|---|---|---|---|---|
게시일 | 2015-11-23 | 국가 | 일본 | 작성자 | 조은진(오사카무역관) | |
품목 | 품목코드 | |||||
韓 제품의 日 선물 시장 진출 가능성은? - 日 선물 시장, 3년 연속 증가세, 최근엔 eGIFT 수요도 증가 – - 고급제품으로 인지도 제고하는 것이 중요 -
□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일본 선물 시장
○ 2014년 일본 선물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0.6% 증가한 9조7400억 엔을 기록, 3년 연속 증가세 시현
선물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백만 엔) 자료원: 야노경제연구소
○ 선물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경기회복에 따른 선물의 가격대 상승임. - 또한 고급품을 중심으로 자신에게 선물한다는 의미로, 고급품을 구하는 소비자도 늘어나고 있음.
○ 선물용품은 선물용으로 특별 기획된 상품이 많아 시중에 나와있는 일반 상품과 디자인 등이 다르다는 점도 개인소비자의 구매를 유발하는 요인
○ 한편, 저출산 고령화, 핵가족화는 선물 문화에도 영향을 미쳐 선물문화의 간소화가 진행되고 있음. - 즉, 간편하게 전달할 수 있는 실용적 선물이 증가하는데, 대표적인 예가 친구끼리 가볍게 선물할 수 있는 eGIFT의 수요 증가임. - eGIFT의 최대의 특징은 SNS를 통해 주소를 몰라도 선물할 수 있다는 점으로, 커피숍이나 레스토랑 상품권 등을 친구끼리 부담 없이 선물할 수 있어 수요 확대가 기대되는 분야
eGIFT 받는 방법 자료원: eGift 서비스업체 GIFTEE 홈페이지
□ 셋켄신보(비누일보) 기자에게 듣는 한국 제품의 진출 가능성
○ 셋켄신보는 주로 드러그스토어에 납품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제품 정보 등을 알려주는 매체로, 1948년창간 이후 화장품 등 일용품 전문지로서 널리 인지됨. - 이 회사 편집국 기자에게 한국 상품(화장품·비누·세제 등)의 경쟁력 및 업계 동향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함.
○ 드러그스토어 업계의 현황 및 동향은? - 드러그스토어는 일본 전역에 약 1만7000개 매장이 있으며 2014년 시장규모는 매출액 기준 약 6조 엔 - 드러그스토어에서 취급하는 상품은 의약품이 약 30%이며, 나머지는 식품이나 생필품의 비율이 높음. - 최근 중국에서 일본 화장품, 의약품이 인기가 있는데, 일부 의약품은 '신약(神薬)'이라고 불릴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어 이를 구매하려는 중국 관광객들이 드러그스토어의 주요 고객으로 등장
○ 한국 상품에 대한 이미지는 어떠한지? -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한국 화장품이 시장에 많이 유통돼 있어, 한국 화장품 코너까지 있었음. 그러나 최근에는 일본에 법인을 가지고 있는 기업의 상품이 주로 판매되고 있으며 종류는 많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 - 기타 세제 등은 PB상품으로 판매도 되고 있으나, 예전만큼의 활기는 없는 것 같음. - 특히 화장품류는 유행이 있어 상품의 경쟁력과 판매는 별도의 문제이라고 생각할 수 있음. - 실제로 이번에 어느 업체로부터 한국제 비누를 선물 받았는데 선물용으로 팔아도 될 정도 질이 좋은 비누였음. 가격은 일본 비누보다 많이 비쌌지만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꾸준히 판매를 해나가면 꾸준한 수요가 생길 것으로 봄. - 다만 한국 상품 특유의 한방 향기는 일본 소비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향기이므로 싫은 냄새라고 느끼는 소비자도 있을 것임.
○ 한국 기업에 조언을 한다면? - 메이저 기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시장은 없음. 그러므로 중소 해외기업이 틈새시장을 찾기 위해서는 실제로 일본 소비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 이번에 받은 비누는 선물용으로 아주 좋은 상품이었으나, 아직 선물용으로 팔기에는 인지도가 부족 - 잘 안 팔린다고 해서 할인판매를 해 단기간으로 이익을 내려고 한다면, 인지도를 높여 성공하기는 어려울 거라고 생각함. - 어느 분야나 마찬가지지만 상품의 특징을 정확하게 알려주고 실제로 바이어들이 체험할 수 있는 기회(전시회 등)를 만듦으로써, 서서히 브랜드 인지도를 쌓아올리는 것이 좋음.
□ 시사점
○ 일본 선물 시장, 주목할 만한 분야 - 일본 특유의 선물 관행에 더해 최근 기업실적 개선으로 선물시장도 꾸준한 성장세 - 또한 최근 개인 소비자는 절약지향적 소비와 함께 가치를 느끼면 비싸더라도 구매하는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어 우리 소비재도 프리미엄 시장 위주의 진출을 노려볼 만함.
○ 선물용품에는 일반 상품과는 다른 특별한 점이 중요하므로, 우리 기업이 일본 선물시장에 진출할 경우 선물용품으로 일본 소비자가 어떤 제품을 원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 - 또한 가치 있는 선물을 주고 받는다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기존 선물용품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상품을 선보임으로써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는 것이 중요
자료원: 야노경제연구소, 셋켄신문 기자 인터뷰 및 KOTRA 오사카 무역관 자료 종합 |
'일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 2015 친환경 히트상품으로 엿보는 세 가지 트렌드 (0) | 2015.12.10 |
---|---|
진화하는 일본의 드러그스토어, 손질된 야채와 도시락까지 등장 (0) | 2015.12.10 |
[무역관 르포] 활기찬 일본 전통시장이 주는 시사점 (0) | 2015.12.10 |
[무역관 르포] 일본에서 시작된 기능성표시식품 제도를 노려라 (0) | 2015.11.17 |
일본 ‘규슈 외식비즈니스위크 2015’ 참관기 (0) | 201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