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 |
급성장 인도 럭셔리시장, 2020년 800억 달러 규모 전망 | |||
작성일 | ![]() |
2010-01-07 | 작성자 | ![]() |
최동석 ( dschoi@kotra.or.kr ) |
국가 | ![]() |
인도 | 비즈니스센터 | ![]() |
뭄바이KBC |
급성장 인도 럭셔리시장, 2020년 800억 달러 규모 전망 - 세계 4대 명품시장으로 등극, 높은 시장잠재력으로 글로벌 메이커 주목- - 인도인 구매성향 분석, 결혼 혼수품, 부자시장 겨냥 -
□ 시장동향 및 전망
○ 인도의 럭셔리시장은 2020년에 800억 달러 규모가 될 정도로 급속도로 성장함. - 이는 지난 18년간 고도의 경제성장과 향후 3~4년 후부터 중국 성장속도를 능가할 정도로 높은 성장률을 시현할 전망임. 인구 구성이 젊은 데다 자산계층과 중산층이 확대되기 때문임
○ 이에 따라 거의 대부분의 국제 럭셔리업체들이 최근 수년에 인도시장을 주목하고 진출 준비를 가시화 함. - 포브스지에 자산 10억 달러 이상의 빌리언웨어 인도 인수가 계속 증가하며, 이중 일부는 수백만 달러 규모의 개인저택을 짓고, 아내 생일선물로 에어버스, 페레티 컬렉션의 고급의상을 사주고, 자녀결혼식 행사에만 수 억에서 수십억 원을 쓸 정도로 통큰 소비를 함. - 인도 부자 및 수퍼 부자들을 타깃으로 진출하는 브랜드는 시계 및 주얼리류에서 카르티에, 가방에서 루비통, 승용차는 롤스 로이스 등이 판매가 증가함. 이들 럭셔리 브랜드들은 인도시장 진출에 많은 관심을 보임. - 이에 따라 인도는 머지않아 일본, 중국과 버금가는 럭셔리시장으로 부상할 전망임.
○ 포브스지가 2009년 조사한 인도 거부(순자산 10억 달러 이상)는 1년 새 25명이 증가한 52명으로 인도증시가 최고 활황이었던 2007년보다 1명 모자람. - 인도 100대 부자의 순자산 총액은 2760억 달러로 인도 GDP의 무려 1/4을 차지 - 최고 거부는 릴라이언스인더스트리그룹의 무케쉬 암바니로 순자산이 320억 달러이고, 2위는 세계 철강왕인 락쉬미 키탈, 3위는 무케쉬 암바니 동생인 아닐 암바니가 차지함. - 인도 상위 10대 거부의 순자산은 1550억달러로 1년 전에 비해 60% 늘었으며, 중국의 10대 거부 순자산 총액보다 4배 이상 많음.
○ 인도와 중국 거부 비교 - 인도 100대 거부의 순자산이 중국의 100대 거부 순자산 총합인 1700억 달러에 비해 1000억 달러 정도 더 많아 인도 거부가 중국 거부보다 훨씬 부자임을 나타냄. - 반면 중국의 10억 달러 이상 부자가 79명인데 반해, 인도는 52명으로 더 많음. - 인도의 최대 거부인 무케쉬 암바니의 순자산은 중국 최대 거부인 왕추완후 순자산 58억 달러보다 무려 5배 많아 인도가 부의 집중이 훨씬 심한 것을 보여줌.
○ 루이뷔통의 고문인 Tikka Shatrujit Singh은 인도시장이 점차 개방되며, 관세율이 떨어지는 점 등을 이유로 인도를 세계 럭셔리의 미래시장으로 꼽음.
○ 2008년 인도에서 럭셔리제품을 살 여유가 있는 사람은 150만 명에 이르며, 이는 미국과 일본, 영국에 이어 4번째로 부유한 인구가 많다는 것을 의미함.
○ 현재 럭셔리 상품은 주로 델리나 뭄바이에서 판매되며, 소비자의 40% 이상이 이곳에 집중돼 있음. 하지만 Jaipur, Kanpur, Surat과 같은 도시를 중심으로 시장은 점차 확대되는 추세임.
○ 일반적으로 인도의 소비자들은 무형(여행, 고급 휴양지, 호텔)의 것보다 수집할 수 있는 것(보석, 시계, 예술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강하며 지역마다 소비패턴이 다름.
○ 인도가 연평균 성장률(CAGR) 8%대를 지속할 경우, 향후 10년 안에 경제규모는 2조5000억 달러가 돼 현재 영국이나 프랑스와 같은 수준이 될 전망임. 2011년 인도경제는 명목 달러가치 기준으로 1조8000억 달러를 넘어설 전망임(EIU). - 2020년 인도의 소비계층이 8억 명을 넘어서고, 총 소비는 1조2000억 달러를 초과함. 순자산 10억 달러를 넘는 빌리언웨어수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 이에 따라 인도는 글로벌 톱5 시장에 랭킹되고, 젊은 인구 비중이 중국이나 선진국에 비해 훨씬 커 성장잠재력이 높고 글로벌 기업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시장이 될 것임. - 인도의 럭셔리 시장규모는 2020년에 800억 달러로 미국, 중국, 일본 다음 세계 4위 럭셔리시장으로 부상할 전망임.
○ 인도는 역사적으로 1000여 년 동안의 럭셔리시장 전통이 있으며, 인도 럭셔리 품목은 고급 직물 및 수공예품, 보석가공품, 가구, 식품(스파이스 및 인그리디언트), 자연 스킨 및 바디케어, 향장류, 가구 등 세계시장에서 이름이 알려짐. - 19, 20세기 초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큰 럭셔리시장이었음.
○ 세계 럭셔리제품 제조사들은 인도 소비자들의 소비행태와 소비욕구를 조사, 분석하는 데 분주하며 이를 바탕으로 인도소비자를 위한 맞춤형 상품 및 서비스를 개발함.
□ 인도 럭셔리시장 특성, 구매성향, 시사점
○ 인도에서 결혼은 가장 큰 행사로 부모나 당사자들은 화려하게 결혼식을 올리고 혼수품으로 럭셔리제품을 구매하는 데 주저하지 않음. - 따라서 인도에서 상류 및 중산층 자녀의 혼수품시장이야 말로 럭셔리 메이커들이 주목해야 할 주요 세그멘테이션임.
○ 인도가 당장 세계 럭셔리제품의 수도가 되지는 않겠지만, 향후 10년 내에 가장 중요한 시장의 하나로 우뚝 서게될 것은 확실함.
○ 컨설팅 전문회사인 Technopak에 의하면, 인도의 럭셔리시장을 차지하는 상위 4부문은 보석류(27%), 의류(16%), 디지털 장식품류(13%), 시계(13%)임.
자료원 : Technopak
○ 디지털 장식품이 25%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며, 패션업과 보석류는 약 20%의 성장률을 보임.
○ 한편 시장정보조사업체인 Synovite가 실시한 최근 브랜드 애호가에 대한 국제 비교 조사 결과를 요약, 소개하면 다음과 같음. - 인도의 럭셔리 바이어들은 다른 품목보다도 주얼리, 디자이너 의상 구매에 많은 관심이 있으며, 빅 바이어들은 고급 승용차 구매에 가장 많은 관심을 보임.
인도 소비자들의 럭셔리 구매성향
자료원 : Sybovite 2009
□ 진출 방안
○ 인도인들의 럭셔리 구매성향과 욕구를 철저하게 분석해 현지에 맞는 상품 및 서비스를 개발 - 인도인들은 로고가 명백하게 눈에 드러나는 브랜드를 선호(79%)함. 이를 소유함으로써 남과 다르다는 과시적인 욕구가 강함.
○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도시 거점에서 사치품을 파는 상설매장이 있는 지역 파트너와 프랜차이즈를 고안할 필요가 있음. 델리나 뭄바이, 첸나이, 방갈로와 같은 대형도시를 중심으로 점차 확장하는 것이 유리함.
○ 인도가 세계에서 가장 영화를 많이 제작하는 점을 감안해 영화를 통한 PPL이나 유명 영화배우를 통한 광고도 고려할 부분임.
○ 인도의 럭셔리전문전 참가, 인도 내 럭셔리 전문 이벤트 개최 등으로 인지도 지속 향상 - 예 : 뭄바이 럭셔리전문전 Luxurian World 2010(뭄바이 그랜드 하얏트 호텔 참가 등. * Luxurian World 2010 개요는 첨부 PPT화일 참고
○ 인도시장에 대한 마케팅도 늘어나는 부유층을 대상으로 한 차별화가 필요함. - 랜드로버, 재구어, 레비스, 베네통 등 럭셔리 브랜드의 인도 매출이 급격하게 늘어나며 홀리데이비슨도 인도의 하이엔드 오토바이시장에 주목해 인도에 진출함. - LEVI'S 사례 : 1994년 진출 이후 연평균 35~40% 매출액 신장, 270개 레비 매장, 170개 레비 수트라우스 시그니처 매장 운영 중, 청바지 판매 - United Color of Benetton : 1991년 진출, 연평균 50% 매출액 신장, 아웃렛 185개, 캐주얼 의류 판매
자료원 : 테크노팍 어드바이저스, 시노바이트, 포브스, 인디아스 글로벌 파워하우스, EIU, 뭄바이KBC자체 |
![]() |
| |
|
'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목 베트남, 한국의 10대 수출시장 부상 (0) | 2010.02.07 |
---|---|
제목 태국, 식품산업 활성화로 식품가공기계 수요 막대 (0) | 2010.02.07 |
제목 인도, 수입식품 시장동향 및 유통구조 (0) | 2009.12.27 |
[2009글로벌리포트]일본- 감원에도 엔화강세로 여행 특수 (0) | 2009.01.02 |
베트남, 프랜차이즈 새로운 블루오션 부상 (0) | 2008.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