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대만 반려동물사료 시장 트렌드
[지구촌 리포트]
▶ 대만의 반려동물사료 시장 현황
대만 내의 반려동물 개체수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대만 농림부(Ministry of Agriculture)에 따르면 2023년 대만의 반려동물 개체수는 개는 148만 마리, 고양이는 131만 마리로 2021년에 비해 각각 약 19%, 50%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대만의 반려동물사료 시장 또한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유로모니터(Euromonitor)의 자료에 따르면 개 사료 시장은 2024년에 TWD171억 달러, 고양이 사료 시장은 TWD141억 달러로 전년 대비 각각 0.2%, 11.3%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또한, 반려동물사료 중에서는 수분이 많이 포함된 사료(wet food)보다는 건조 사료(dry food)가 더 많은 인기를 끌고 있으며 2024년 사료 매출액 기준으로 전체 개 사료 중 건조 개 사료 (dry dog food)는 75%, 전체 고양이 사료 중 건조 고양이 사료 (dry cat food)는 약 66%를 차지했다. 대만 III(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매년 가장 많이 지출하는 분야는 의료・건강관리와 사료・간식이 꼽혔으며 반려동물 사료의 주 소비자층은 25-34살 사이의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 반려동물사료 소비 트렌드
1. 건강 기능 사료
반려동물의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짐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관련 제품 위주의 제품을 소비하려 하고 있다. Invos Data의 발표에 따르면 기능성 사료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전년 대비 약 50% 가까이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I-Buzz의 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상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반려동물 제품 관련 키워드로는 1위가 영양 보충제가 차지하였고, 2위는 피부 관리, 3위는 위장 건강 관련 이였으며 이를 통해 대만 소비자들이 반려동물의 건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반영하듯 다양한 기능성 사료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Wellness의 소화 효소를 추가한 사료나 Go!의 오메가 3가 포함된 반려동물 사료들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2. 프리미엄 사료 선호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사람들은 기능성 제품에만 관심을 가지는 게 아니라 일반 사료 제품들에도 더 많은 돈을 쓰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칸타르(Kantar)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65%의 사람들이 반려동물을 위해서라면 지금보다 더 많은 지출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했으며 특히 반려동물의 의료나 먹거리와 관련하여서 비교적 더 많은 소비를 계획 중이라고 대답했다. 대만 농림부(Ministry of Agriculture) 조사에 따르면 반려동물 개체 당 대만 소비자들이 반려동물 제품에 소비한 금액은 2022년에는 대부분 TWD 15,000에서 TWD 25,000 사이의 구간이었지만 2023년 반려동물 개체 당 평균 소비액은 TWD 28,081 달러를 기록하며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이 중 반려동물사료가 전체 소비액 중 약 41%를 차지했다.
3. 반려동물사료 구매 채널
해외시장조사 관련 회사인 LnData의 자료 조사에 따르면, 2022년 대만 소비자들이 반려동물 관련 제품을 주로 구매하는 주요 채널은 온라인 플랫폼으로 이는 전체 판매 금액의 약 41.6%를 차지했다. 온라인 플랫폼의 뒤를 이어 반려동물 도매 및 전문점이 29.4%, 슈퍼마켓이 17.3%, 그리고 브랜드 전문점이 7.1%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에는 온라인 플랫폼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7.7%p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의 온라인 채널 선호도가 더욱 높아졌는데 이는 크고 무거운 반려동물사료를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고 집에서 직접 배달 받을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최근에는 반려동물사료 시장의 성장세로 인해 편의점 등 오프라인 채널도 배송 기능을 강화하고 있지만, 높은 입점 수수료 등으로 인해 아직은 큰 성장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시사점
반려동물을 기르는 대만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반려동물을 가족같이 생각하고 대하는 펫휴머나이제이션 현상이 한층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만 소비자들이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해 기능성 사료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프리미엄 반려동물사료 시장이 향후 큰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대부분의 반려동물사료를 포함한 반려동물 관련 제품들이 크고 무겁기 때문에 오프라인 채널 보다는 온라인 판매 플랫폼을 이용한 소비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므로 한국산 반려동물사료의 지속적인 수출확대를 위해 대만 소비자들의 반려동물사료 구매 선호도와 방식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 출처
1. 대만 개, 고양이 사료 시장 - https://www.statista.com/
2. 대만 펫푸드 시장 보고서 - https://apps.fas.usda.gov/newgainapi/api/Report/DownloadReportByFileName?fileName=Unleashing%20Opportunities%20in%20Taiwan%27s%20Booming%20Pet%20Food%20Market_Taipei%20ATO_Taiwan_TW2025-0013.pdf
3. 대만 펫푸드 시장 규모- https://www.petfoodindustry.com/news-newsletters/pet-food-news/article/15705797/taiwanese-pet-food-market-reports-strong-growth
4. 대만 펫푸드 건강식 관련 설문조사 - https://www.foodnext.net/issue/paper/5616832964
5. 반려동물 관련 설문조사 - https://www.foodnext.net/news/newstrack/paper/5616831964
6. 반려동물 관련 소비 - https://www.taipeitimes.com/News/taiwan/archives/2023/12/02/2003810022
7. 반려동물 관련 검색 키워드 - https://www.i-buzz.com.tw/article/article?atype=brandranking&id=176
문의 : 홍콩지사 변혜진(bhay20@at.or.kr)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중국식 건강빵, 새로운 중국식 양생 열풍의 신흥강자 (1) | 2025.05.18 |
---|---|
[대만] 대만의 주류 시장 트렌드 (0) | 2025.05.14 |
‘만리장성’ 다시 넘는 K-유업…‘품목 다변화’로 활로 모색 (1) | 2025.05.14 |
[중국] 보건식품 건강기능표시 인정목록에 “관절 건강 유지” 기능 신규 추가 (0) | 2025.05.12 |
중국의 과자 시장동향 (0)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