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 아프리카등

[EU] 비상사태에 대비해 72시간 분량의 식량 비축 권장

곡산 2025. 5. 6. 08:37

[EU] 비상사태에 대비해 72시간 분량의 식량 비축 권장

 [EU] 비상사태에 대비해 72시간 분량의 식량 비축 권장

 EU, 72시간 생존 대비 물품 비축 권고... ‘준비태세 전략 발표

유럽연합(EU)이 대규모 위기에 대한 대응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준비태세 전략(Preparedness Union Strategy)’을 새롭게 발표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이번 전략을 통해 자연재해, 전염병, 군사 침공, 사이버 공격 등 복합적인 비상 상황에 대비한 종합 대응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전략의 핵심 내용 중 하나는 EU 시민들에게 72시간 분량의 식량, , 생필품을 자가 비축할 것을 권고한 점이다. 유럽위원회는 이를 통해 개별 가정의 위기 대응 능력을 높이고, 초기 대응 단계에서 공공 시스템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전략은 보건, 기후, 안보 등 다방면의 위협을 아우르며, 다음과 같은 7가지 핵심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1) 유럽 내 필수 사회기능 보호

2) 위기 상황에 대한 사전 대비 강화

3) 국가 간 위기 대응 조정 체계 구축

4) 군사 및 안보 분야의 협력 강화

5) 예측 기반 대응 역량 강화

6) 민간-공공 부문 간 협력 증진

7) NATO 등 전략적 파트너쉽 확대

 

유럽연합은 이러한 체계를 통해 회원국 간 정보 공유를 강화하고, 조기 경보 시스템과 정기적인 위기 대응 훈련을 포함한 포괄적 대응 프레임 워크를 도입할 예정이다. 특히, 향후에는 '유럽 대비의 날'을 제정하고, 학교 교육과정에도 관련 주제를 포함시켜 시민 의식을 높일 방침이다.

집행위는 각국이 위기에 대비한 자원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EU 차원의 비축 전략도 병행할 계획이다. 식량, , 원자재, 발전기, 긴급 대피소 등의 물리적 인프라 확보가 그 일환이다.

이번 전략은 독일과 북유럽 국가들의 기존 대비 체계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스웨덴은 시민들에게 물, 고열량 음식, 담요, 대체 난방 수단, 배터리 작동 라디오 등을 갖출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노르웨이는 원전 사고에 대비한 요오드제 비축을 권고한다. 독일은 가정 내 지하실과 차고를 대피소로 개조하고, 향후 신축 주택에는 안전 대피소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편, 유럽 집행위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백신 및 의료 장비 공동 구매 경험을 바탕으로 위기 대응에서 점차 주도적인 역할을 확대해왔다. 민간 및 군사 부문에 대한 직접 권한은 없지만, 회원국 간의 조율과 공동 대응 체계 구축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유럽연합 인도지원·위기관리 담당 집행위원 하자 라히브(Hadja Lahbib)는 이번 전략을 직접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홍보하며, “위기 대응의 사각지대까지 포괄하는 것이 이번 전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시사점

EU 72시간분 식량 비축을 권장함에 따라 비상식량 및 장기보관 식품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즉석밥, 컵라면, 레토르트 한식 등 조리 간편하고 유통기한이 긴 한국 식품이 진출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첨가물이 적고 유기농 인증이나 친환경 포장이 적용된 건강 지향형 제품은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EU 소비자들에게 더욱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https://ec.europa.eu/commission/presscorner/detail/en/ip_25_856

https://www.euronews.com/my-europe/2025/03/26/brussels-ask-eu-citizens-to-put-together-a-72-hour-emergency-kit-to-face-crises

 

 


문의 : 프랑크푸르트지사 윤선아(sa@a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