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 아프리카등

[프랑스] 할랄(Halal) 식품 시장 동향

곡산 2025. 5. 1. 07:12

[프랑스] 할랄(Halal) 식품 시장 동향

 프랑스 할랄 식품 시장

 

할랄(Halal)은 아랍어로 허용된 것을 뜻하며, 할랄식품은 이슬람 경전 쿠란(Quran) 규정된 바에 따라 만들어진 식품을 일컫는다. 무슬림 인구가 적은 한국에서는 이색적인 음식 정도로 여겨지지만, 프랑스에서는 결코 작지 않은 시장이다.

 

할랄식품 시장은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한 차례 침체기를 겪은 후 최근 회복세에 들어섰다. 경제·경영 매거진 Capital에 따르면 2023년 프랑스 할랄 제품 시장 규모는 70억 유로, 매업으로 범위를 좁히면 4 8600만 유로였다. 코로나 이전인 2018 3 9백만 유로와 비교하면 약 57% 증가한 수치다. 또한 프랑스 식품 전문 매거진 LSA에 따르면 2024년 할랄식품의 연간 매출액 및 판매량을 볼 때, 가공육(샤퀴테리, charcuterie )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뒤이어 냉동식품과 간편식이 뒤따랐다.

 

앞서 파리지사는 2024 3 프랑스 내 할랄 식품 주요 소비자층인 무슬림 인구에 대해 알아보고 주요 브랜드와 제품을 소개한 바 있다. 2023년과 비교했을 때 2024년 할랄식품 시장 규모는 대폭 상승했으나, 시장 점유율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할랄 식품 주요 소비자

 

프랑스 할랄 식품 시장은 종교 및 문화적 배경과 연관이 깊으며 주요 소비자층은 무슬림과 아프리카계로 볼 수 있다. 프랑스 내 무슬림은 적지 않은 비중으로 2023 국립 통계 경제 연구소(INSEE)와 국립 인구학 연구소(INED)가 시행한 조사에 따르면 조사 응답자 중  10%가 무슬림으로 나타났다. 해당 조사에서 종교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 중 이민 1세대의 55%, 이민 2세대의 52%가 무슬림이었고 이와 대조적으로 토착민은 77% 가톨릭 신자였다. 이민자 응답자 중에서는 다른 국가보다 아프리카(알제리, 모로코·튀니지, 사헬 지대) 출신의 무슬림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한 할랄식품 주요 소비 연령대로는 청년층이 비교적 높은 빈도의 소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시장 조사 업체(Businesscoot) 2024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할랄 육류 소비 빈도가 가장 높은 소비자는 가족을 이루지 않은 35세 미만 커플이나 싱글(pré-familles)이었고, 이들은 할랄 제품에 한 달 평균 238유로를 소비한다고 응답했다.

 

 할랄 인증 제도

 

여론 조사 기관 ifop에서 2020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프랑스 거주 무슬림의 82%(“항상” 67%, “대부분” 15%)가 육류를 구매할 때 할랄 인증 여부를 확인한다. 앞서 언급한 시장점유율 상위 3개 기업 제품은 리옹, 파리, 에브리 모스크에서 검수하는 할랄 인증을 받아 유통되고 있다. 증 대신 전통 할랄 정육점에서 직접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소비자도 있다.

 

 시사점

 

프랑스 시장에서 할랄 식품을 판매할 때, 현지 소비자들의 신뢰가 가장 중요하다. 프랑스 내 인증 기관 외에도, 말레이시아 JAKIM과 같이 체계적이고 국제적 신뢰가 있는 할랄 인증을 추가로 받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할랄 식품의 주요 소비자층이 한국과 문화적으로 가깝지 않은 무슬림, 북아프리카계 이민자인 것 또한 염두에 둬야 한다. 이들을 타겟으로 하는 마케팅으로 라마단(금식 기간), 이드 알피트르(라마단 종료 후 축제) 등 이슬람교 행사 시기에 맞춘 프로모션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청년층 1인 가구 혹은 2인 가구는 소비 금액이 적지만 소비 빈도가 높기 때문에 이들을 타겟으로 하는 소포장 제품, 손질·조리가 간편한 제품들이 판매에 효과적일 것이다.

 

현재 할랄 식품 시장의 대부분을 가공육이 차지하고 있기에 할랄 식품 수출을 고려하고 있다면 육류 제품에 주력하는 것이 유리해 보인다. 2023 12, 한국과 EU 사이 열처리 가금육 통관 위생 검역 협상이 타결된 이후, 2024 5월부터 유럽시장에 삼계탕 등이 수출되고 있다. 삼계탕 외에도 치킨 만두, 닭강정, 치킨 볶음밥 등 현지와 차별화되는 할랄식품을 개발하여 품질경쟁력을 높이는 것 또한 중요할 것이다.

 

 출처

 

https://argml.com/en/halal-certification/

https://www.at.or.kr/article/apko362000/view.action?articleId=46596

https://www.businesscoot.com/fr/etude/le-marche-de-la-viande-halal-france

https://www.capital.fr/entreprises-marches/ramadan-2024-les-produits-halal-en-plein-boom-en-france-1493594

https://www.ifop.com/publication/les-musulmans-et-la-consommation-de-halal/

https://www.insee.fr/en/statistiques/7342918?sommaire=7344042

https://www.insee.fr/fr/statistiques/3633212

https://www.lsa-conso.fr/ramadan-2025-pourquoi-le-halal-a-retrouve-le-chemin-de-la-croissance,459207

https://www.lsa-conso.fr/reghalal-isla-delice-oriental-viandes-avec-l-inflation-le-marche-halal-se-met-aux-petits-prix,454232

 


문의 : 파리지사 나예영(itsme@a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