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호 기자
- 승인 2025.04.11 10:53
온라인 보편화로 시장 활성화…파스타·피자·디저트 수요 증가
세계 최대 인구와 거대한 내수 시장를 보유하고 있는 인도의 냉동식품 시장이 소비자 인식 변화와 급속한 도시화, 기술 발전, 제품 혁신 등을 기반으로 전례 없는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단순한 편의 식품으로 여겨졌던 냉동식품은 이제 맛과 영양을 겸비한 일상식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제품의 품질과 다양성에 대한 기대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기업들에게도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이 시장의 성장이 더욱 기대된다.
KATI에 따르면, 2024년 인도 냉동식품 시장 규모는 한화 약 270조 원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며, 2033년까지 한화 약 83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25년부터 203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13.2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등 향후 10여 년간 급격한 성장을 이룩할 것으로 보인다.
주된 성장 동인은 △바쁜 직장인과 젊은 소비자들의 선택 증가 △핵가족 확산에 따른 편리하고 빠른 식사 옵션에 대한 수요 증가 △RTE 제품의 선호도 증가 △중산층의 성장과 글로벌 식품 문화에 대한 노출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조리가 간편하고 이국적인 맛의 서양식 냉동식품인 파스타·피자·디저트 등의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기술 혁신 또한 시장의 빠른 성장을 돕고 있다. 개별 급속 냉동(IQF) 기술과 현대화된 콜드체인 시스템은 식품의 맛과 영양을 유지하면서도 유통기한을 연장시켜 도시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까지 냉동식품의 접근성을 높였다. 이러한 인프라의 발달은 국내외 냉동식품 브랜드의 시장 진입을 촉진하고 있다.
변화하는 소비자 입맛에 맞춘 제품의 혁신도 시장 확대의 핵심 요소이다. 인도 냉동식품 제조업체인 고드레지 야미즈(Godrej Yummiez)와 맥케인(McCain) 등의 브랜드는 현지의 기호와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며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특히 냉동 치킨과 만두 등은 인도 소비자들 사이에서 대중적인 간식으로 자리 잡았다. 이처럼 현지 소비자 맞춤형 제품 개발은 냉동식품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성장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시장은 지역별로 고르게 성장하고 있다. 북부 및 중부 지역의 델리, 챤디가르, 자이푸르, 룩나우 등에서는 바쁜 도시 생활과 증가하는 가처분소득으로 인해 냉동 스낵, 채소, 육류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중부 인도 또한 소비자 인식 개선과 유통망 강화를 바탕으로 빠르게 확장 중이다. 남부 지역의 방갈로르, 첸나이, 하이데라바드, 코치 등에서는 변화하는 식습관과 편리함을 중시하는 트렌드에 따라 직장인과 젊은 가구를 중심으로 냉동식품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냉동식품의 전국적 확산은 유통 채널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슈퍼마켓과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냉동식품 시장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온라인 식료품 쇼핑의 보편화로 냉동식품은 더 많은 소비자에게 손쉽게 접근 가능한 품목이 되고 있다.
특히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플랫폼에 냉동식품 전용 코너가 설치되면서 제품의 가시성과 구매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이는 시장 성장을 한층 더 촉진하고 있다.
한편, KATI는 한류 콘텐츠의 영향으로 우리 식품과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인도 시장에서 고품질·건강 중심의 한국 냉동식품은 현지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합하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K-푸드 특유의 다양한 맛과 조리 편의성을 강조한 제품들은 젊은 소비자층과 핵가족을 중심으로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으며, 현지 유통사 및 전자상거래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한 전략적 시장 진입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미국, 인도산 제품에 고관세 부과, 제약·해산물 산업 직격탄 (0) | 2025.04.12 |
---|---|
[말레이시아] 지속 성장하는 프리미엄 커피와 소비 변화 (0) | 2025.04.12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차류 트렌드 (0) | 2025.04.10 |
[뉴질랜드] 과자류 리콜 주의 (0) | 2025.04.10 |
[호주] 커피 한 잔 7달러까지 상승 예상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