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농식품 소비트렌드 어떻게 바뀌었나?
- 이지현 기자
- 승인 2022.08.30 11:00
농식품 구매 시 ‘건강’ 중요 2020년 29.1%서 올해 51.5%로
간편식 중 ‘냉동식품’ 선호 비율 38%로 가장 높아
농진청,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 내달 2일 개최
![](https://blog.kakaocdn.net/dn/bo4atD/btrK0Mbc07d/LAQo6uUzKDdPp8ZO073KUK/img.jpg)
코로나19를 겪으며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커진 한편, 코로나19 장기화로 간편식 중 냉동식품 선호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전국 2254가구 소비자패널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작성한 소비자 가계부를 조사 분석한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발생 첫해인 2020년과 2021년 농식품 소비 경향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농식품을 구매할 때 중요시하는 요인은 2020년에 이어 올해도 ‘건강’이 1순위였으나, 응답 비율은 2020년 29.1%에서 2022년 51.5%로 크게 높아졌다.
코로나19를 겪으며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도가 급격히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소비자들은 건강에 이어 안전(28.1%), 먹기 편리함(9.9%), 구매 용이(6.1%)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편식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다가 2020년에 전년보다 큰 성장세를 보였으며, 2021년에는 소폭만 증가했는데, 이는 2021년 2학기 전면 등교 방침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간편식 가운데 냉동식품을 선호하는 비율이 38%로 가장 높았다. 2021년에는 자녀들의 등교가 재개되면서 반찬류(만두류 등) 간편식은 줄고, 한 그릇으로 한 끼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one-meal형 간편식(즉석 국·탕·찌개, 즉석면류 등)은 지속해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발생 첫해인 2020년에는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전년보다 외식 소비가 줄고 신선식품 소비가 늘었다. 이듬해인 2021년에는 신선식품 소비가 줄어든 반면, 감소세를 보이던 외식 소비는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농진청 소비자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신선식품 소비액을 추정한 결과, 2019년 34조9740억원, 2020년 39조560억원, 2021년 38조9150억원의 흐름을 보였고,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외식 소비약을 추정한 결과, 2019년 73조4230억원, 2020년 69조1910억원, 2021년 72조5460억원의 흐름을 보였다.
가공식품 소비액은 2019년 39조7960억원, 2020년 45조5010억원, 2021년 47조1010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1981~2000년 초반에 출생한 MZ세대는 농식품 관련 지출의 50%를 외식비로 사용했고, 15%를 신선식품 구입비로 지출했다. 반면, 1981년 이전에 출생한 기성세대는 35%를 외식비에 지출했고, 신선식품 구입에 32%를 지출했다.
소비자의 61%는 유튜브를 통해 요리 조리법 정보를 얻고 있다고 답했다. 소비자의 35%는 인플루언서의 영향을 받아 농식품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해 유튜브를 활용한 판촉전략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과거 1인당 신선식품 구매액은 1인 가구가 다인 가구보다 적었으나, 2020~2021년에는 다인 가구의 구매액과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고품질 신선식품을 선호하는 1인 가구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요일별로 농식품 구매 유형을 분석한 결과, 주중에는 신선식품을 구매하는 비중이 가공식품보다 높았으며, 주말에는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비중이 신선식품보다 높았다.
소비자패널의 80%가 에어프라이어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특히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에 구매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프라이어를 보유한 가구는 튀김류, 완자류, 만두를 구매하는 금액과 횟수가 보유하지 않은 가구보다 높았다.
코로나19가 한창이었던 2020년부터 2년 동안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모두 온라인 구매 비중은 2배 이상 증가했다.
한편, 농진청은 9월 2일 오전 10시 30분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를 중계한다. 자료집은 농진청 농사로 누리집에 게시할 예정이다.
![](https://blog.kakaocdn.net/dn/7OnE7/btrK0MhYhfH/aPejhKnDS8cffTNUSKJxI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YTGVc/btrKVw134PC/U6yP3IriAoPK6jsEVtCLc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Hhul8/btrKWAiSpyL/wcJnmIcQhNkcYXzbOohCh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jJLNh/btrK1hB2Op8/k912rTo9WtiKCNhRgAT5qk/img.png)
'식품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약처 내년 예산 올해보다 0.8% 늘어난 6694억 편성 (0) | 2022.09.05 |
---|---|
백색육 닭고기 가공식품 4000억대 성장 (0) | 2022.09.05 |
HACCP인증원, ‘식품원료별 위해요소 분석 정보집’ 발간 (0) | 2022.08.31 |
할인점 ‘초저가 치킨’에 프랜차이즈 냉가슴 (0) | 2022.08.31 |
크라운제과, 아산에 스낵 전문 친환경 공장 건설 (0) | 2022.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