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美 FDA, 식품안전 현대화를 위한 새로운 규제 발표 | ||||||||||||||||||||||||||||
---|---|---|---|---|---|---|---|---|---|---|---|---|---|---|---|---|---|---|---|---|---|---|---|---|---|---|---|---|---|
게시일 | 2015-09-14 | 국가 | 미국 | 작성자 | 김병우(워싱톤무역관) | ||||||||||||||||||||||||
품목 | 품목코드 | ||||||||||||||||||||||||||||
美 FDA, 식품안전 현대화를 위한 새로운 규제 발표 - 식품 및 동물 사료 제조사, 식품안전 관리 관련 자료 FDA 제출 의무화 - - 규제 준수기한, 기업 규모에 따라 상이 -
□ 미국 식품의약청, 식품안전 현대화법에 따른 새로운 식품안전 규제 발표
○ 식품 및 동물 사료 제조사, 생산시설의 식품안전 관리계획 FDA에 제출 의무화 - 10일 미국 식품의약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이하 FDA)은 2011년 통과된 식품안전현대화법(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이하 FSMA)에 따른 새로운 식품안전 규정을 발표 - FDA는 총 2개의 신규 최종 규정을 발표했으며,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과 동물 사료를 제조하는 기업들에 대한 식품 오염방지 규제 도입 - 이는 FDA가 FSMA에 의거해 그동안 제안한 7가지의 식품안전 규제 변경안 중 2개를 확정한 것으로, 내년에 나머지 5가지에 대한 최종규정이 발표될 예정
FSMA에 따른 FDA의 7가지 식품안전 규제변경안
자료원: FDA, 미국 관보
□ 규제 주요 내용: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해외 생산시설도 동일 적용)
○ 식품 제조업체의 주요 의무사항 - 미국에서 유통되는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을 생산하는 시설은 위험분석, 오염방지 대책 등을 포함한 식품안전시스템을 구축하고 이행해야 함. - 해당 업체들은 구축한 식품안전시스템과 이행 계획을 문서화해 FDA에 제출해야 함.
○ FDA 제출 문서 구성 요소 - 위험분석(Hazard Analysis): 식품 생산에 있어 생물, 화학, 물리적 위험을 파악(자연적으로 존재하거나, 비의도적 또는 경제적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모두 포함) - 방지대책(Preventive Control): 생산 절차, 알레르기 유발 항원 및 위생에 대한 관리, 유통망 관리, 제품 리콜 대책 등 위험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관리 체계 - 방지대책에 대한 감독 및 관리: 방지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위기대처 및 시정조치, 검증 계획
○ 공급망(서플라이체인) 프로그램 - 위험요소가 있는 일부 자재 및 농산품에 대한 공급망 관리 프로그램 수행 의무화
○ 규제 발효일 - 연매출 100만 달러 이하의 소규모 업체: 최종규정 발표 3년 후(2018년 9월) - 살균우유 관련 규제 대상 업체: 최종규정 발표 3년 후(2018년 9월) - 정규(full-time) 직원 500명 이하의 중소기업: 최종규정 발표 2년 후(2017년 9월) - 기타 모든 업체: 최종규정 발표 1년 후(2016년 9월)
□ 규제 주요 내용: 동물 사료 제조업체
○ 주요 의무사항 - FDA에 제출해야 하는 문서는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 제조업체의 것과 유사 - 단, 위기 대처 및 시정조치에 대한 계획은 기입할 필요 없음.
○ FDA가 규정한 현행 우수제조관리기준(CGMP) 준수 - FDA가 이번 규정에서 제시한 현행 우수제조관리기준*(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이하 CGMP) 준수 필요 * 해당 기준은 규제 원문 참조: https://www.federalregister.gov/articles/2015/09/17/2015-21921/current-good-manufacturing-practice-hazard-analysis-and-risk-based-preventive-controls-for-food-for
○ 규제 발효일 - 지난 3년간의 연간 매출과 제조·가공·포장·보관하는 동물사료의 시장가치를 더했을 때 250만 달러에 못 미치는 소규모 업체: CGMP 준수는 최종규정 발표 3년 후 방지대책 문서 제출은 4년 후 - 정규(full-time) 직원 500명 이하의 중소기업: CGMP 준수는 최종규정 발표 2년 후, 방지대책 문서 제출은 3년 후 - 기타 모든 업체: CGMP 준수는 최종규정 발표 1년 후 방지대책 문서 제출은 2년 후
□ 시사점
○ 내년 완성될 FDA의 식품안전 종합대책에 주목 필요 - FDA가 내년 중으로 나머지 5개의 식품안전 규정을 완성할 예정으로, 향후 미국에 식품 수출 검증절차에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 - FDA가 이미 발표한 규제 제안(proposed rule)을 파악해 최종규정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
자료원: 미국 식품의약청, 미국 관보, WSJ, NYT 및 KOTRA 워싱톤 무역관 자료 종합 |
'미국, 캐나다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인 5명 중 3명 설탕 함량 적은 식품 구입달콤한 맛 추구서 발효제품·시큼한 맛 선호 (0) | 2015.09.22 |
---|---|
미국 식품시장 3대 트렌드…글루텐프리·1인용식품·히스패닉 (0) | 2015.09.22 |
캐나다, 성별에 따라 다른 식품 출시 중 (0) | 2015.09.10 |
美 푸드 트럭, 길거리에서 공항으로 진출 (0) | 2015.09.10 |
美 식품업계, 非유전자변형 인증 취득으로 소비자 심리 공략 (0) | 201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