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 |
대만, 이제는 ‘브랜드 파워’가 살 길이다 | |||
작성일 | ![]() |
2011-07-29 | 작성자 | ![]() |
박미숙 ( 711068@kotra.or.kr ) |
국가 | ![]() |
대만 | 비즈니스센터 | ![]() |
타이베이KBC |
대만, 이제는 ‘브랜드 파워’가 살 길이다 - 대만, 국가대표 100대 브랜드 선정 - - 대만 정부, 견인차 역할 톡톡 -
□ 대만 100년의 역사와 함께한 대만 100대 브랜드
○ 대만 정부는 건국 100주년 기념으로 대만 100대 브랜드 선정 프로젝트를 실시, 495개사가 참가한 가운데 100개사가 국가대표 브랜드로 선정됨.
○ 100대 브랜드는 제조업 10개 분야와 서비스업 8개 분야로 분류, 제조업에서 총 74개 브랜드가 선정돼 작지만 상품 생산력 높은 제조국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줌.
○ 특히 IT, 기계를 위주로 한 식품, 생활용품의 브랜드 파워가 비교적 강한 것으로 평가됨. - IT 산업은 대만의 기간산업으로 Acer, ASUS, HTC 등 글로벌 시장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를 포함한 25개가 선정됐는데 그중 하드웨어가 80% 이상을 차지함. - 기계산업 역시 대만 주요 산업 중 하나로 원자재부터 완성품까지 총 10개 브랜드가 선정됨. - 식품과 생활용품분야에서는 각각 7개의 브랜드가 선정됐는데, IT나 기계 산업과 달리 현지 브랜드 파워는 강하나 해외 시장에서는 인지도가 비교적 약한 편임.
○ 서비스업에서는 총 26개 브랜드가 선정 - 해외 시장에서 비교적 인지도가 높은 85℃, DIN TAI FUN 등의 외식 프랜차이즈를 비롯해 전통 예술에 현대적 감각을 가미해 부가가치를 극대화한 FRANZ, Tittot과 같은 공예품 브랜드도 선정돼 눈길을 끔.
대만 100대 브랜드, 우리가 국가대표 브랜드
주: 더 자세한 내용은 유첨을 참조 자료원: 대만 100대 브랜드
□ 100대 브랜드가 탄생하기까지 정부의 브랜드 파워 육성에 대한 열정이 한 몫
○ 대만 경제부는 1988년부터 부가가치 제고를 통한 제품 경쟁력 향상 정책을 추진함. - 1988년 품질 제고 프로젝트, 1989년 디자인력 제고 프로젝트, 1990년 이미지 제고 프로젝트와 브랜드 사업 융자지원제도를 거쳐 1992년에는 대만 우량제품의 국가인증브랜드 제도 Taiwan Excellence를 실시해 대만 상품의 이미지 제고에 힘씀.
○ 2006년부터는 본격적인 브랜드 육성 프로젝트 Branding Taiwan을 추진해 기업의 품질 제고와 브랜드 개발을 장려함.
○ 대만 정부는 2012년에 세계 100대 브랜드 순위권에 대만 브랜드 2개가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매년 글로벌 브랜드 TOP 20을 선정함. - 2010년 기준, 브랜드 가치가 10억 달러를 초월한 브랜드로는 Acer, HTC, ASUS, TREND MICRO, 康師傅가 있음. - 특히 Acer와 ASUS의 경우 2003년 최초 선정 당시보다 브랜드 가치가 2배나 급증함.
대만 브랜드 육성 제도
자료원: Branding Taiwan 홈페이지
□ 시사점
○ 대만의 산업생산구조는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과 ODM(제조업자 설계생산)이 80% 이상 달하는 것으로 추정됨. - 따라서 시장의 능동적 주체가 될 수 있는 역량이 취약하고 이윤 창출에도 한계가 있으므로 업계와 정부에서 OBM(자가 브랜드) 사업을 발전하려는 목소리가 커짐. - 실제로 세계 최대 전자제품 위탁생산업체인 폭스콘과 세계적인 스마트폰 브랜드인 HTC의 최근 3년간 매출액 대비 순이익을 분석한 결과, 2010년 기준 폭스콘의 매출액은 2조 대만 달러를 돌파했지만 순이익률은 5%에 머무른 반면, HTC의 매출액은 폭스콘의 10분의 일에 불과했지만 순이익률은 15%에 달해 높은 성장률을 보여줌.
○ 대만에는 우리나라의 삼성, LG, 현대와 같이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세계 굴지 브랜드는 적으나 현지 산업계의 자가 브랜드 사업 개발 의식 제고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및 장려 정책에 힘입어 대만의 브랜드 파워 성장 잠재력은 높은 것으로 전망됨. - 특히 세계 수출 시장에서 IT 및 기계 분야에서 대만 제품이 우리 제품과 첨예한 경쟁구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대만의 브랜드 파워 강화 추세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코트라 타이베이 KBC 소장 자료, 대만 100대 브랜드 자료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목 중국인, 이제는 물도 가려 마신다 (0) | 2011.08.18 |
---|---|
제목 中, 잇따른 식품안전문제로 DIY 소형 가전제품 인기 (0) | 2011.08.18 |
제목 중국 사천성 및 성별 최저 임금 현황 (0) | 2011.08.18 |
제목 중국 주류, 유제품업계 M&A 바람 거세다 (0) | 2011.08.18 |
제목 中, 몸에 좋은 과일주스 소비 껑충! (0) | 201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