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아동비만 문제 관련 식품광고 규제 개정 가이드라인
❍ 주요동향
2022년 영국 건강 조사(Health Survey for England-HSE) 에 따르면 영국 성인의 약 64%가 과체중이며, 2023~2024년 영국 국가어린이조사프로그램(The National Child Measurement Programme-NCMP) 보고서에 의하면 초등학교 졸업 시 어린이의 약 22.1%가 비만 상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가 내 비만 문제는 정부 예산에도 부담을 주고 있는데,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ational Health Service-NHS)는 비만으로 인해 연간 65억 파운드를 지출하고 있다. 이에 영국은 비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지방·고당·고염분 제품(High Fat, Sugar, Salt-HFSS)의 광고 및 홍보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HFSS 규제>는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고지방·고당·고염분 제품의 홍보 및 광고를 제한하는 정책이다. 이 정책은 2018년 영국 정부의 소아비만 대책(Childhood Obesity Plan)을 시작으로 논의 되었으며 3년이 지난 2021년 12월에 의결되었다. 영국 정부는 위 규제를 통해 자국민들의 식생활을 개선하고 어린이들의 설탕 섭취 감소를 기대하며 궁극적으로 영국 국민들의 비만율, 특히 아동 비만율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HFSS 규제》 적용 대상 품목 |
[ 음료 ] |
- 설탕 성분을 첨가한 조제된 청량음료(레모네이드, 콜라, 과일 기반 음료) - 설탕 또는 감미료가 첨가된 우유 기반 음료 또는 우유 대체 음료 - 설탕을 첨가한 주스, 스무디 - 설탕이 첨가된 발효 음료, 에너지드링크, 단백질 파우더, 차와 커피 |
[ 식품 ] |
- 감자로 만든 제품, 빵, 프레첼, 크래커, 비스킷 등 짭짤한 스낵 - 그래놀라, 뮤즐리, 즉석 죽 등 아침 식사용 시리얼 - 초콜릿과 과자를 포함한 제과류 - 아이스크림, 아이스 막대 사탕, 얼린 요거트 등 이와 유사한 냉동 제품 - 케이크와 컵케이크 - 견과류, 씨앗 또는 시리얼 기반 달콤한 비스킷 및 바 - 크루아상, 케이크, 와플 등 페이스트리류 및 과일 덩어리를 포함한 제품 - 파이, 타르트, 플랑, 치즈케이크, 가토, 유제품 디저트, 푸딩, 크럼블, 과일 필링, 가루 디저트, 커스터드, 젤리 및 머랭을 포함한 디저트 - 가당(설탕 또는 기타 첨가) 요거트 및 프로마주 프레이 - 피자(일반 피자베이스 제외) - 구운 감자, 감자 및 고구마 칩, 감자튀김 및 웨지, 감자 와플, 참신한 감자 모양, 해쉬브라운, 로스티스, 바삭한 감자 조각, 감자 고로케 - 즉석섭취식품 및 어묵, 치킨 너겟 등을 포함한 빵가루를 입힌 제품 * 즉석섭취식품 : 추가적인 준비 없이 조리 또는 재가열(전자레인지 또는 오븐에 데우는 정도)할 수 있고, 완전한 식사로 섭취할 수 있도록 판매하는 식품을 의미함 |
출처: KATI : [영국] HFSS 식품을 대상으로 광고 및 홍보 행위 규제 적용 |
❍ 규제 사항
<HFSS 규제>는 판매 홍보 금지와 미디어(TV 광고)금지로 분류된다.
HFSS 규제와 관련된 영국 정부 행동의 이유를 살펴보면, 매장 판매 홍보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며, 주로 건강에 좋지 않은 제품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되었다. 예를 들어, 묶음 할인과 같은 가격 프로모션은 구매량을 20% 증가시키며, 제품 배치를 통한 홍보는 어린이들의 ‘조르기 효과(pester power)’를 유발한다고 한다.
또한 영국 정부의 2019년 9월 분석에 따르면, 한 달 동안 ITV1, 채널 4, 채널 5, 그리고 Sky1에서 방영된 전체 식품 광고의 약 절반(47.6%)이 HFSS 제품 광고였으며, 오후 6시부터 9시 사이에는 그 비율이 약 6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HSFF 식품 광고는 어린이들에게 식습관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도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2022년 10월부터 HFSS 제품의 온·오프라인 매장 진열 위치가 제한되었으며, 2023년 10월부터 원 플러스 원 행사와 같은 판촉 행사가 금지되었다. 다만, 직원 50명 미만의 기업이거나, 사업체의 규모가 185.8m²(약 56평) 이하인 매장에는 적용되지 않는 예외 조항이 있다.
주요 조치 사항은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판매 홍보 금지(식품 배치, 할인 행사 등) |
- 상점 입구, 복도 끝, 계산대 앞 등의 매대에 HFSS 식품을 비치할 수 없음 - 1+1 등 판촉 행사를 진행할 수 없음 - 온라인 판매처의 식품 카테고리, 랜딩·장바구니·계산 페이지에서 HFSS 식품을 홍보할 수 없음 - 온·오프라인 초콜릿 가게 등 단일 범주의 제품을 다루는 특수한 상점의 경우 면제됨 - 묶음 판매용으로 나온 제품이라도 제한사항을 준수해야 함 - 음료 무제한 리필 제공 금지(2023년 10월 시행 예정) |
미디어 (TV 광고) 금지 |
- HFSS 식품의 광고는 밤 9시 이전(5시30-21시 적용)에 방영될 수 없음 - 단, 자사 블로그, 웹사이트, SNS 등 브랜드가 소유한 채널에 광고하는 것은 허용됨 - 음성광고나 B2B 판매를 위한 광고 또한 규제를 적용 받지 않음 |
출처: KATI : [영국] HFSS 식품을 대상으로 광고 및 홍보 행위 규제 적용 |
❍ TV 광고 금지 개정 가이드라인
본래 TV 광고 금지 규제는 2023년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업계 반발과 시행 준비 등의 사유로 2025년 10월 시행으로 연기되었다.
다만 본격 시행 전, 광고 표준 기관(Advertising Standards Authority – ASA)은 TV 광고 규제 대한 개정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이번 가이드라인에서는 HFSS 제품이 직접 등장하지 않더라도, 브랜드 광고가 HFSS 제품과 연관될 경우 규제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한 것이다. 이는 HFSS 제품을 직접 광고하지 않고도 로고, 브랜드 이미지 등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광고하는 행위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러한 방식은 초기 규제안이 HFSS 제품의 간접 홍보가 가능했던 잠재적 허점을 없애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항목 | 2022년 미디어(TV 광고) 금지안 | 2025년 개정 가이드라인 |
광고 제한 시간 | (TV) 5시30분-21시 광고 금지 (온라인) 유료 광고 금지 |
- |
HFSS 제품 판별 기준 |
2004~2005년 영양 프로파일 모델(NPM) 사용 | - |
적용 대상 | TV, 온디맨드 프로그램 서비스(ODPS), 온라인 유료 광고 | - |
브랜드 광고 허용 여부 | HFSS 제품이 직접 등장하지 않으면 브랜드 광고 가능 | 브랜드 광고라도 HFSS 제품과 연관될 경우 제한 가능 |
규제 적용 방식 | 광고 내 HFSS 제품 포함여부만 고려 |
광고가 HFSS 제품을 ‘연상’시키는지까지 평가 가능 |
중소기업(SME) 예외 조항 | 직원 249명 이하 기업의 경우 광고 규제 예외 적용 |
변경 없음 |
출처: www.bakeryandsnacks.com |
❍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은 식생활, 특히 설탕 섭취 제한하는 방향으로 이어지고 있다. 영국의 시장조사 기관인 민텔(Mintel)의 자료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저당/제로/감소된 설탕(low, no, reduced sugar) 제품이 설탕 섭취를 제한하거나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설문 참여자들 중, 2024년 설탕 섭취를 제한하는 방법으로 첫 번째로 54%의 사람들이 “스크래치 쿠킹(Scratch cooking – 식재료를 처음부터 끝까지 직접 준비하여 조리하는 방식)”을 선택하였고, 45%의 소비자는 저당 식료품을 선택하며, 44%는 일부 종류의 식음료를 피하거나 제한한다고 한다.

아래 표를 보면 설탕 섭취를 줄이기 위해, 설문 응답자의 39%가 음료수 선택에 저당 선호도를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스킷(33%), 아침식사용 시리얼(31%)이 뒤를 이었다.

❍ 시사점
비만 및 건강 문제에 대한 영국 소비자뿐만 아니라 정부의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지방·고당·고염분(HFSS) 제품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위와 같은 환경 변화는 식품수출업체 대상 위협요인이 될 수 있지만, 건강한 제품 개발을 통한 시장 경쟁력 확보라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식품 기업들은 이와 같은 트렌드를 면밀히 분석하고, 지방·소금·설탕 함량을 줄이는 제품 개발과 홍보 마케팅 전략에 집중하여 규제를 피하는 동시에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층을 공략할 수 있는 전략적 변화가 요구된다.
❍ 출처
https://www.legislation.gov.uk/uksi/2021/1368/made/data.xht?view=snippet&wrap=true
문의 : 파리지사 이재현(jaehyun.lee@at.or.kr )
'유럽 , 아프리카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 연령대별 식생활 트렌드와 식물성 식품 (1) | 2025.04.10 |
---|---|
K-푸드 네덜란드 진출 확대, 양국 농식품 무역 주목 (1) | 2025.04.01 |
포르투갈 라면 시장동향 (0) | 2025.04.01 |
캐나다 국민 커피 ‘팀홀튼’, 국내 가맹사업 본격화 (0) | 2025.03.31 |
[독일] 독일 식문화의 변화와 매운맛에 대한 수용성 확대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