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 136

[태국] 2025년 태국 닭고기 산업 동향

[태국] 2025년 태국 닭고기 산업 동향[지구촌 리포트]▶ 태국의 닭고기 생산 및 소비 전망· 닭고기는 가정식과 외식 산업 모두에서 중요한 식재료이자 단백질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태국에서는 돼지고기 가격 상승과 소의 전염병 우려로 인해 호텔, 레스토랑, 급식 산업에서 닭고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닭고기의 생산량과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 2025년 태국의 닭고기 생산량은 약 344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수치다. 이와 더불어 국내 소비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2025년에는 226만 톤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닭고기는 높은 단백질과 낮은 지방 함량 덕분에 소비자에게 인기가 있으며, 가격 면에서도 다른 육류보다 높은 ..

“고소한 맛에 건강까지” 견과류 가공품 5000억 돌파

“고소한 맛에 건강까지” 견과류 가공품 5000억 돌파 황서영 승인 2025.07.17 07:54다이어트 식품 재조명 4년간 43% 성장제빵·아이스크림 활용…HMR 소스에도 적용아몬드 풍미 막걸리·안주용 한돈 육포에 가미세계적 추세…베트남선 견과류 음료 수요 높아건강과 즐거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헬시플레저' 열풍에 힘입어 국내 땅콩·견과류 가공품 시장이 5000억 원 규모를 돌파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과거 고칼로리 간식으로 여겨졌던 땅콩버터가 다이어트 식품으로 재조명받고, MZ세대의 '할매니얼' 트렌드를 타고 전통 디저트의 핵심 재료로 부상하는 등 견과류의 활용 범위가 무궁무진하게 확장되고 있다.건강과 다이어트 트렌드를 타고 5000억 원대 시장으로 성장한 견과류가 빵, 막걸리 등 이색 협업..

식품뉴스 2025.07.17

대상, 美 식품기술 전시회 ‘IFT 2025’서 글로벌 소재 경쟁력 입증

대상, 美 식품기술 전시회 ‘IFT 2025’서 글로벌 소재 경쟁력 입증 이재현 기자 승인 2025.07.17 09:04대체당·천연 조미 소재 등 69년간 집약한 기술력으로 만든 스페셜티 소재 알려대상이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식품기술 전시회 ‘IFT 2025(IFT Food Expo 2025)’에 참가해 다양한 스페셜티 제품을 선보이며, 글로벌 소재 경쟁력을 입증했다.‘IFT 전시회’는 국제 식품 학술 기구 ‘IFT(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가 매년 주최하는 식품 기술 분야의 대규모 전시회다. 시카고 ‘매코믹 플레이스(McCormick Place, Chicago, IL)’에서 열린 올해 행사에는 전 세계 90여 개국 1200여..

식품뉴스 2025.07.17

미식의 나라 프랑스도 홀린 K-치킨

미식의 나라 프랑스도 홀린 K-치킨 이재현 기자 승인 2025.07.17 09:24BBQ, 주한프랑스상공회의소 ‘바스티유 데이’ 행사에서 ‘황금올리브’ 등 선봬BBQ가 미식 강국 프랑스에서도 ‘K-치킨’의 존재감을 알렸다.제너시스BBQ 그룹(회장 윤홍근)이 주한프랑스상공회의소(FKCCI, French‑Korean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최대 연례행사인 ‘2025 바스티유 데이(Bastille Day)’에 2년 연속 F&B(Food & Beverage) 부스로 참여했다.주한프랑스상공회의소 ‘바스티유데이’ 행사에 참여한 BBQ 부스에 ‘레몬보이+황금올리브’ 조합을 맛보기 위해 방문객들이 몰려 있다.(제공=제너시스BBQ)14일 한강 세빛섬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 BBQ는 주한..

먹거리 물가 비상! 맛김·커피믹스 등 가격 급등에 서민 장바구니 ‘휘청

먹거리 물가 비상! 맛김·커피믹스 등 가격 급등에 서민 장바구니 ‘휘청’ 황서영 기자 승인 2025.07.16 15:132025년 2분기, 소비자 체감 물가 여전히 높아…전년 동기 대비 식품 가격 큰 폭 상승2025년 2분기 서민들의 밥상 물가는 아직 적신호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가 발표한 ‘2025년 2분기 생활필수품 가격조사’ 결과에 따르면 맛김, 커피믹스, 분유 등 주요 식품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오르며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자료=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생활필수품 37개 품목 중 28개 품목의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으며, 평균 상승률은 3.3%를 기록했다. 특히 가격 상승률 상위 5개 품목..

식품뉴스 2025.07.17

날개 단 ‘K-간식’ 수출 쾌조…상반기 역대 최대 4억 불

날개 단 ‘K-간식’ 수출 쾌조…상반기 역대 최대 4억 불 황서영 기자 승인 2025.07.16 07:57과자 3억4670만 불로 8.8% 증가…빼빼로 글로벌 마케팅오리온 해외 매출 비중 67%…초코파이 인니 등 현지화아이스크림 6550만 불…빙그레 메로나 30여 개국 진출롯데웰푸드 설레임 등 수출…1분기 실적 작년의 4배 올해 상반기 K-아이스크림과 과자류 수출액이 동반 급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K-콘텐츠의 인기를 등에 업고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위상이 높아진 가운데, 빙그레, 해태아이스크림, 롯데웰푸드, 오리온 등 제과업체들이 현지화 전략과 제품 다변화를 앞세워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K-콘텐츠 열풍에 힘입어 빙그레, 롯데웰푸드, 오리온 등 K-푸드 대표 기업들이 현지화와 ..

식품뉴스 2025.07.17

식품산업협회장 후보, 박진선 샘표식품 대표 단독 등록

식품산업협회장 후보, 박진선 샘표식품 대표 단독 등록 강대일 기자 승인 2025.07.15 17:14 이사회 거쳐 31일 임시총회서 확정 예정박진선 샘표식품 대표이사한국식품산업협회 제23대 회장 후보에 박진선 샘표식품 대표이사가 단독 출마했다.식품산업협회 관계자는 “회장 후보자 접수 마감인 15일 오후 5시까지 접수한 결과, 박진선 샘표식품 대표 1인이 후보 등록을 마쳤다”고 밝혔다.협회는 오는 31일 임시총회를 열어 제23대 회장을 선출할 예정으로, 이변이 없는한 단독 출마한 박 대표가 새 협회장으로 당선될 것으로 보인다.협회 관계자는 “이사회를 거쳐 제출서류를 검토 후 절차를 밟아 임시총회에서 회장을 선출하면 곧바로 이취임식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박 대표가 회장에 선출될 경우 샘표식품은 선..

식품뉴스 2025.07.16

한일 프랜차이즈 카페 시장 비교! 일본 진출 한국 카페의 경쟁력은?

한일 프랜차이즈 카페 시장 비교! 일본 진출 한국 카페의 경쟁력은?트렌드일본후쿠오카무역관 황신혜2025-07-15출처 : KOTRA 한국은 3,000호점 넘는 브랜드 다수… 일본은 대형 프랜차이즈 중심의 제한적 확산오사카 진출한 한국 카페 브랜드, 2025년 2호점 추가 오픈한국과 일본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만큼 문화적으로도 유사한 점이 많지만, 카페 시장에서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최근 한국은 프랜차이즈 중심의 카페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에 비해 일본의 시장 구조는 다른 특징을 지닌다. 본 기사에서는 일본 내 주요 카페 프랜차이즈의 점포 수와 운영 특징을 비교하고, 한국 카페 브랜드의 일본 진출 사례를 통해 한국 프랜차이즈만의 차별화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일본 카..

일본 2025.07.16

[인도] 알코올 음료 규정 전면 개편 (2026년 1월 1일 시행)

[인도] 알코올 음료 규정 전면 개편 (2026년 1월 1일 시행)인도 비관세장벽 이슈 인도, 전통주 품목 체계화 및 RTD 신설 등 주요 조항 개정2025년 6월 20일, 인도 식품안전기준청(FSSAI)은 「식품안전기준(알코올 음료) 규정, 2018」의 제1차 개정 규정(Food Safety and Standards (Alcoholic Beverages) First Amendment Regulations, 2025)을 공식 고시함. 이번 개정은 전통주 보호와 시장 확대를 위한 분류 체계 정비, RTD 음료 및 신규 품목군 정의 신설, 제조 기준 구체화 등 광범위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1. 개정 배경 (1) 주류 정의 및 분류의 모호성 해소 - RTD, 허니와인, 전통주 등 다양한 신유형 주..

[미국] 유제품 시장, 수십 년 만에 반등

[미국] 유제품 시장, 수십 년 만에 반등수십 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유제품 우유 판매량이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이는 1970년대 중반부터 이어져 온 지속적이고 뚜렷한 감소세가 처음으로 반전된 것으로, 2009년 일시적인 반등 이후 다시 하락세로 돌아선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시장조사기관 서커나(Circana)에 따르면, 2023년 12월 1일까지 1년간 미국 내 유제품 우유 판매는 전년 대비 2% 증가해 171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인플레이션에 따른 가격 상승 영향도 있었지만, 판매량 역시 0.2% 증가해 48억 유닛에 달하며 실질적인 수요 증가를 반영하고 있다. 특히 전지우유 판매는 3.2% 상승했으며, 연방식품의약국(FDA)과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 보건기관들이 섭취를 권장하지 않는 생우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