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인도네시아] 뉴질랜드 탄산음료 시장 트렌드

곡산 2025. 2. 7. 20:34

[인도네시아] 뉴질랜드 탄산음료 시장 트렌드

[지구촌 리포트]

▶ 뉴질랜드 시장여건 및 탄산음료 시장 현황

 ‧ 2023-2024년 동안 뉴질랜드의 인플레이션은 7%를 초과하여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2022년 0.25%였던 금리를 2023년 말 5.5%로 인상함

 ‧ 통화 정책의 긴축은 노동, 생산, 원재료 가격 상승 등 생산 원가 상승으로 인해 탄산음료 산업에 압력으로 가해졌으며, 인플레이션 압력은 다소 완화되고 있는 추세지만 소비자 수요는 여전히 둔화된 상태임

 ‧ 뉴질랜드의 탄산음료 시장은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 선호도 변화와 웰빙 트렌드의 영향으로 지속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중이며, 2023년 기준 뉴질랜드 탄산음료 수입규모는 81백만 달러이며 2024년 기준 판매 규모는 4억7천만 리터임 

 ‧ 2023년 발생한 뉴질랜드 유일의 CO2 생산 시설인 카푸니에서 발생한 암모니아 누출 사건은 CO2 부족 현상을 일으켰고, 탄산음료뿐 아닌 맥주, 와인, 냉동 닭고기 제품을 포함한 다양한 식품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침

 

 <뉴질랜드 탄산음료 판매 규모>

 

▶ 뉴질랜드 탄산음료 시장 트렌드

 ‧ 최근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뉴질랜드 소비자들의 음료 선택 기준이 변화하고 있으며, 탄산음료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건강 지향적인 소비 트렌드가 부상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저당 및 제로 칼로리 탄산음료를 선호하기 시작했으며, 스테비아 등 설탕 대체재를 사용한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음

 ‧ 인공 향료나 색소를 피하고, 천연 과일 추출물이나 자연에서 유래한 재료를 사용한 천연제품들의 구매율이 증가하고 있음

 ‧ 최근 비알콜 대체 음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MZ 소비자층 사이에서 알콜 음료의 대안으로 과일 맛 탄산음료나 스파클링 워터가 인기를 끌고 있음

 ‧ 뉴질랜드의 프리미엄 음료 시장에서는 탄산수, 스파클링 주스 등 프리미엄 무알콜 음료의 인기가 상승 중이며, 뉴질랜드의 청정한 자연 환경을 강조하는 브랜드들이 프리미엄 탄산수를 마케팅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중임

 ‧ 뉴질랜드는 자연환경을 중시하는 문화가 강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포장재를 사용하는 탄산음료 브랜드의 인기가 높고 현지 브랜드를 애용하는 경향이 있음


▶ 뉴질랜드 내 탄산음료 수입 동향 및 유통 채널 

 ‧ 2023년 기준 뉴질랜드 탄산음료 총 수입량은 8,149천불이며, 호주산 탄산음료 수입이 5,910천불로 1위, 미국산이 623천불로 2위, 한국산이 337천불 3위를 차지함

 ‧ 뉴질랜드 내 탄산음료의 주요 유통 채널은 슈퍼마켓, 하이퍼마켓, 편의점이었으나 최근에는 온라인 상점에서도 쉽게 구매할 수 있음
 ‧ 뉴질랜드에서 한국산 탄산음료는 K-컬처의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인기가 상승 중이며, 주로 아시아 식품점이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유통되고 있음
 ‧ 한국산 탄산음료의 경우 다양한 맛이 출시되고 있어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으며,  최근 뉴질랜드 내 한인 커뮤니티와 아시아계 소비자층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한국산 탄산음료는 지속적인 인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출처 : Amazon, 2024
* 출처 : 
유로모니터 – 유로모니터 2024 뉴질랜드 탄산음료 시장 보고서  
글로벌 GTA 2024 뉴질랜드 탄산음료 수입 동향
자체 조사
▶ 시사점 및 결론 
 ‧ ‘24년 뉴질랜드 탄산음료 판매량은 4억 7천만 리터이며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인해 소비자 수요는 둔화된 상태임 
 ‧ 뉴질랜드 내 탄산음료 트렌드는 저당, 제로 칼로리 등 건강을 생각한 탄산음료, 비알콜 대체 음료, 탄산수, 스파클링 주스 등 프리미엄 무알콜 음료, 친환경 포장재를 사용한 탄산음료 4가지로 나뉠 수 있으며, 한국산 탄산음료의 경우 K-컬처의 영향으로 인지도가 상승 중임
 ‧ 한국산 탄산음료의 뉴질랜드 시장 확대 방안으로는 현지 소비자들의 선호를 반영한 저당, 제로 칼로리 등 건강한 제품 개발, K-컬쳐를 활용한 온라인 마케팅 강화, 슈퍼마켓과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유통망 확장, 판촉·시음·홍보를 통한 소비자 입맛 길들이기가 필요하다고 사료됨 

문의 : 자카르타지사 이경민(daniel1222@a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