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뉴질랜드 탄산음료 시장 트렌드
[지구촌 리포트]
▶ 뉴질랜드 시장여건 및 탄산음료 시장 현황
‧ 2023-2024년 동안 뉴질랜드의 인플레이션은 7%를 초과하여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2022년 0.25%였던 금리를 2023년 말 5.5%로 인상함
‧ 통화 정책의 긴축은 노동, 생산, 원재료 가격 상승 등 생산 원가 상승으로 인해 탄산음료 산업에 압력으로 가해졌으며, 인플레이션 압력은 다소 완화되고 있는 추세지만 소비자 수요는 여전히 둔화된 상태임
‧ 뉴질랜드의 탄산음료 시장은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 선호도 변화와 웰빙 트렌드의 영향으로 지속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중이며, 2023년 기준 뉴질랜드 탄산음료 수입규모는 81백만 달러이며 2024년 기준 판매 규모는 4억7천만 리터임
‧ 2023년 발생한 뉴질랜드 유일의 CO2 생산 시설인 카푸니에서 발생한 암모니아 누출 사건은 CO2 부족 현상을 일으켰고, 탄산음료뿐 아닌 맥주, 와인, 냉동 닭고기 제품을 포함한 다양한 식품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침
<뉴질랜드 탄산음료 판매 규모>
![](https://blog.kakaocdn.net/dn/ENDkW/btsMaQ5g9jU/4V9IXPqfE3DeutwMQkDtB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9EGts/btsMcyPBkNb/LPx2xwBYmUZHSlhlYfcK60/img.png)
▶ 뉴질랜드 탄산음료 시장 트렌드
‧ 최근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뉴질랜드 소비자들의 음료 선택 기준이 변화하고 있으며, 탄산음료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건강 지향적인 소비 트렌드가 부상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저당 및 제로 칼로리 탄산음료를 선호하기 시작했으며, 스테비아 등 설탕 대체재를 사용한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음
‧ 인공 향료나 색소를 피하고, 천연 과일 추출물이나 자연에서 유래한 재료를 사용한 천연제품들의 구매율이 증가하고 있음
‧ 최근 비알콜 대체 음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MZ 소비자층 사이에서 알콜 음료의 대안으로 과일 맛 탄산음료나 스파클링 워터가 인기를 끌고 있음
‧ 뉴질랜드의 프리미엄 음료 시장에서는 탄산수, 스파클링 주스 등 프리미엄 무알콜 음료의 인기가 상승 중이며, 뉴질랜드의 청정한 자연 환경을 강조하는 브랜드들이 프리미엄 탄산수를 마케팅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중임
‧ 뉴질랜드는 자연환경을 중시하는 문화가 강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포장재를 사용하는 탄산음료 브랜드의 인기가 높고 현지 브랜드를 애용하는 경향이 있음
![](https://blog.kakaocdn.net/dn/boHq6E/btsMawzkAwM/lhBsWMkULBSVCRhfdOWCN1/img.png)
▶ 뉴질랜드 내 탄산음료 수입 동향 및 유통 채널
![](https://blog.kakaocdn.net/dn/Dul1V/btsMcBMkMz9/A3V8L0RczmcIwdTu5PQJl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FW0Lc/btsMcrpv9Eq/nv7jPvByD1BVKVfK6QBCr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Z2BSL/btsMa76TotW/8JhKaRB9UNu5E1tptCzsP0/img.png)
* 출처 : Amazon, 2024
문의 : 자카르타지사 이경민(daniel1222@at.or.kr)
'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네시아] 커피 소비 급증과 커피 가격 상승 (0) | 2025.02.11 |
---|---|
[태국] 태국 프라이드 치킨 시장의 성장과 현지 진출 한국 치킨 프랜차이즈 동향 (0) | 2025.02.07 |
[말레이시아] 이마트24, 말레이시아 할랄 매장 인증 획득 (0) | 2025.02.07 |
[UAE] 2025년, 현지 쉐프들이 선정한 UAE 유망 식재료 (0) | 2025.02.06 |
‘K-프랜차이즈’ 글로벌 요충지로 ‘말레이시아’ 꼽아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