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태국 프라이드 치킨 시장의 성장과 현지 진출 한국 치킨 프랜차이즈 동향
![](https://blog.kakaocdn.net/dn/ddzocb/btsMa4WEtoF/fmOqIooinKL9GiKzordWxK/img.png)
[사진: marketeeronline]
▢ 주요 내용
ㅇ 태국의 프라이드치킨 시장은 2021년 이후 연평균 8~10%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약 3백억 바트(한화 약 1조 3천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태국인들의 프라이드치킨에 대한 높은 선호도가 반영된 결과로, 프라이드치킨 시장이 전체 QSR(Quick Service Restaurant) 빠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식점의 한 형태로, 간편한 주문 방식과 신속한 음식 제공을 특징으로 한다.
시장(약 450억 바트) 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핵심적인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ㅇ 태국인들의 프라이드치킨 소비 증가로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한국 치킨 프랜차이즈의 진출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트렌드에 민감하고 새로운 맛을 선호하는 젊은 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한류 확산에 따른 K-콘텐츠 인기 상승으로 한국 치킨에 대한 선호도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한국 치킨 브랜드가 태국 시장에 진출하며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어, 향후 태국 치킨 시장에서 한국 치킨 프랜차이즈의 성장과 활성화가 기대된다.
![](https://blog.kakaocdn.net/dn/dy4hPF/btsMcsop03h/AvwDGxcOFGFzthrVCtRaqk/img.png)
ㅇ 태국 내 한국식 치킨 시장은 ‘본촌(Bonchon)’ 브랜드의 진출을 계기로 본격적인 성장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본촌은 2010년 중반, 태국 ‘마시소(Mashiso)사’를 통해 처음 도입된, 이후 브랜드 확장을 거치면서 한국식 치킨의 인지도를 높이는 촉매제 역할을 했다. 본촌은 한국 치킨의 맛을 유지하면서 현지 실정에 맞춰 사이즈별, 부위별 치킨 판매, 식사 메뉴 도입 등 현지화를 통해 성공적으로 현지인의 니즈를 충족시키는데 성공했다.
ㅇ 이후 태국에 진출한 한국 치킨 프랜차이즈들은 현지화를 통해 다양한 가격대의 치킨 메뉴와 식사 메뉴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태국 현지 소비자들에게 더욱 친숙하게 다가가고 있다. 또한, 기존에 태국 치킨에서 맛볼 수 없었던 새로운 맛과 메뉴를 소개하여 메뉴 선택의 폭을 넓히고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여 태국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키며, 태국 치킨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ㅇ 현재 태국에서 활동 중인 주요 한국 치킨 브랜드로는 본촌(Bonchon), 충만치킨(Chungman Chicken), BHC 치킨(BHC Chicken), 그리고 최근 태국 시장에 새롭게 진출한 페리카나(Pelicana) 등이 있다. 대부분의 브랜드는 마스터 프랜차이즈 방식을 통해 태국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ㅇ 현재 태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 치킨 프랜차이즈의 각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은 한 자릿수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태국 프라이드치킨 시장 성장 가능성을 눈여겨 본 한국 치킨 프랜차이즈의 지속적인 진출이 이루어지며 치열한 점유율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YvKbL/btsMcHMpXQl/EFa0mTAunzfKClnQzEYAx0/img.png)
ㅇ 태국의 한국식 치킨 시장은 트렌드에 민감하고 소비력이 높은 젊은 소비층과 사회초년생을 주요 타겟으로 배달 최적화, 인플루언서 활용 홍보, 마케팅 캠페인, 한정판 메뉴 출시 등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이들은 새로운 트렌드에 개방적이며 다양한 브랜드를 경험하는 데 적극적이어서, 빠르게 변하는 시장에서 중요한 소비층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에 따라 브랜드 간 차별화 전략과 지속적인 혁신이 시장 경쟁력 확보의 핵심이 되고 있다.
ㅇ 또한, 한국 치킨 프랜차이즈는 한국의 문화와 콘텐츠가 지닌 강력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출시와 동시에 높은 소비자 관심을 얻고 있으며,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는 한국 치킨 프렌차이즈의 태국 진출에 중요한 경쟁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시사점
ㅇ 태국의 프라이드치킨 시장은 QSR 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2025년까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한국식 치킨 브랜드들이 태국 시장에 진입하면서 프라이드 치킨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주요 소비자 층인 젊은 소비층의 관심을 끌기 위한 마케팅 전략이 중요해졌다. 이들은 트렌드에 민감하고 새로운 맛을 선호하기 때문에, 치킨 프랜차이즈는 인플루언서 마케팅, 한정판 메뉴 출시 등을 통해 차별화된 홍보 전략을 펼치고 있다.
ㅇ 한국의 문화 콘텐츠가 태국 문화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면서, 한국식 치킨 브랜드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끌고 있다. 시장 확장을 위해서는 배달 최적화 모델과 현지화 전략을 강화해야 하며, 치열한 경쟁 속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차별화된 메뉴와 가격 전략이 필요하다.
ㅇ 출처: https://marketeeronline.co/archives/399015
https://marketeeronline.co/archives/396496
문의 : 방콕지사 김창호(atbkkho@at.or.kr)
'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네시아] 커피 소비 급증과 커피 가격 상승 (0) | 2025.02.11 |
---|---|
[인도네시아] 뉴질랜드 탄산음료 시장 트렌드 (0) | 2025.02.07 |
[말레이시아] 이마트24, 말레이시아 할랄 매장 인증 획득 (0) | 2025.02.07 |
[UAE] 2025년, 현지 쉐프들이 선정한 UAE 유망 식재료 (0) | 2025.02.06 |
‘K-프랜차이즈’ 글로벌 요충지로 ‘말레이시아’ 꼽아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