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니카공화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
- 지난 5년간 도미니카공화국 평균 경제성장률 6.1%로 중산층 급성장 -
- 미국과 가까운 지리적 위치로 관광객 유입 지속 증가, 글로벌 프랜차이즈 사업 유망 -
□ 시장 개요
ㅇ 프랜차이즈 모델은 도미니카공화국 내에서 일반적으로 쉽게 자리잡을 수 있고, 전통적 비즈니스에 비해 안정적 수익성으로 급성장 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 문화적, 지리적으로 외부 프랜차이즈 브랜드 인지도 및 수용성이 높아 마케팅 용이
- 전통적 매장 설립 및 마케팅 방식에 비해 초기 프랜차이즈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음.
ㅇ 도미니카공화국 내 프랜차이즈 사업은 최근 가장 활발한 비즈니스 모델이며 도미니카공화국은 최근 몇 년 동안 빠른 글로벌 프랜차이즈 진출과 성장을 함께 이룸.
□ 선정 사유
ㅇ 도미니카공화국은 지난 5년간 평균 6.1% 경제 성장, 글로벌 프랜차이즈 타깃층인 중산층 확대
ㅇ 도미니카공화국 내 프랜차이즈 비즈니스는 7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 정부정책도 우호적
ㅇ 도미니카공화국은 지리적 위치와 경제적 안정성으로 많은 글로벌 기업과 프랜차이즈가 지속 유입되고 있음.
ㅇ Santo Domingo, Santiago, Punta Cana와 같은 대도시 및 쇼핑센터 등 중심가에서 빠르게 성장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도미니카공화국의 지속적 경제 성장에 따라 프랜차이즈시장도 동반 성장세
- 중산층과 소비 증가로 프랜차이즈에 대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짐.
- 중미자유무역협정(CAFTA) 이후 다수 글로벌 프랜차이즈 기업 진출 및 투자 증가
- 도미니카공화국 내 프랜차이즈 점포는 7800여 개로 집계되고, 약 7만 개 이상 관련 일자리를 창출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ㅇ 프랜차이즈 및 신규 비즈니스 전문 컨설팅 업체 Front Consulting사 관계자와 인터뷰 결과 도미니카공화국 내 프랜차이즈는 패스트푸드뿐 아니라 호텔, 위생용품, 오락, 유통 및 서비스 등으로 확대,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라고 함.
ㅇ 도미니카공화국 내 국가별 프랜차이즈 브랜드 분포는 도미니카공화국 브랜드 40%, 미국 브랜드 45%, 기타 15%로 이루어짐.
도미니카공화국 프랜차이즈 부문별 유형
자료원: Front Consulting
ㅇ 2017년 Front Consulting와 Banco Popular는 현지 투자가 및 프랜차이즈, 기업인 약 600명을 대상으로 도미니카공화국 내 첫 번째 프랜차이즈 박람회를 개최한 바 있음.
ㅇ 현재 도미니카공화국 시장에 진출한 대표적 글로벌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KFC, 버거킹, 도미노피자, Chilis, 배스킨라빈스 등이 있음.
□ 신규 프랜차이즈 시장 참여 장애물
ㅇ 프랜차이즈 규정에 대한 충분한 지식 부족
- 일반 상법의 규제만 맏는 전통적 비즈니스와 달리 프랜차이즈에 적용되는 규제에 대한 이해 부족
ㅇ 제한된 컨설팅 기회
- 도미니카공화국 내 프랜차이즈 진출 관련 전문 컨설팅 회사는 현재까지 단 한 곳뿐임.
□ 도미니카공화국의 한국 프랜차이즈
ㅇ 현재 도미니카공화국 내 한국 진출기업 중 프랜차이즈 모델로 운영되는 업체는 없음.
- 한국 문화, 음식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고 한국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 국내 프랜차이즈 시장진출 및 투자 기회임.
□ 시사점
ㅇ 프랜차이즈 및 신규 비즈니스 전문 컨설팅 업체 Front Consulting 사 관계자와 인터뷰 결과, 프랜차이즈 운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현지 문화 분석 및 시장동향 현장 확인을 위해 도미니카공화국 직접 방문 필요하다고 말함.
ㅇ 도미니카공화국 프랜차이즈시장 전문가로부터 체계적 상담을 받고 도미니카공화국 내 사업 특성 파악 중요
ㅇ 도미니카공화국 프랜차이즈 시장진출 관심 국내업체는 2018년 8월 23일 Hotel Embajador에서 열리는 Expo Franchises RD 2018 참가 적극 권장
ㅇ 현지 사업 리스크를 줄이고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도미니카공화국 내 적격 파트너 물색 및 공동 투자 고려 필요
자료원: KOTRA 산토도밍고 무역관 자료 종합
'러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 소스 시장동향 (0) | 2018.08.12 |
---|---|
러시아, 음료수 시장 동향 (0) | 2018.06.30 |
러시아도 '건강한 간식' 열풍 (0) | 2018.06.02 |
가계소득 늘어나는 슬로바키아, 가공식품 시장진출은? (0) | 2018.03.02 |
러시아 농축산물 동향 (0) | 2018.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