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소득 늘어나는 슬로바키아, 가공식품 시장진출은?
□ 시장 현황
ㅇ 2016년은 전년대비 전체 가공식품 소매 판매가 소폭 축소됐으나 과일 간식, 제과류 등의 기호식품의 판매는 증가했음.
ㅇ 외식의 대중화에 따라 소매용 가공식품 판매는 감소했으나, 업소용 식자재 판매는 증가함.
□ 시장 규모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ㅇ 2016년을 기준으로 최근 2년간 가공식품의 전체 판매액은 소폭 축소됨.
ㅇ 2011년부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던 가공식품 판매액은 2014년 약 30억3300만 유로까지 상승한 후 최근 3년간 약 3800만 유로 감소함.
□ 소비 트렌드의 변화
ㅇ 기호식품 및 건강식품 소비의 증가
슬로바키아 가공식품 품목별 판매액 추이
(단위: 백만 유로)
제품 분류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유아식 | 39.3 | 40.8 | 40.5 | 40.8 | 41.4 | 42.1 |
제빵 상품 | 475.7 | 485.4 | 497.4 | 492.1 | 477.9 | 446.2 |
아침식사용 곡류 | 24.3 | 26.8 | 25.4 | 22.6 | 21.1 | 20.3 |
제과류* | 341.4 | 366.9 | 376.3 | 375.9 | 374.9 | 377.8 |
유제품* | 852.4 | 884.3 | 908.0 | 912.7 | 909.8 | 908.7 |
식용유 | 75.5 | 77.7 | 75.6 | 74.8 | 71.9 | 70.3 |
아이스크림과 냉동 디저트 | 61.3 | 61.8 | 55.0 | 52.1 | 52.3 | 53.2 |
가공된 과일과 채소* | 76.1 | 78.1 | 79.8 | 81.1 | 82.2 | 83.0 |
가공된 육류와 해산물* | 381.5 | 399.1 | 409.7 | 412.7 | 413.3 | 415.2 |
즉석 식품 | 27.4 | 27.9 | 29.1 | 29.7 | 30.0 | 30.5 |
쌀, 파스타와 면류 | 95.7 | 112.0 | 113.0 | 112.7 | 112.0 | 111.7 |
소스, 드레싱과 조미료 | 134.9 | 142.5 | 147.0 | 147.7 | 148.0 | 150.0 |
짭짤한 간식류* | 114.0 | 117.5 | 120.2 | 122.7 | 123.5 | 125.9 |
스프 | 29.9 | 29.1 | 27.3 | 25.9 | 25.1 | 24.4 |
스프레드(잼) | 43.1 | 44.7 | 45.8 | 45.6 | 45.8 | 46.8 |
비스켓, 스낵바와 과일간식* | 78.4 | 81.0 | 83.7 | 84.7 | 86.3 | 88.9 |
주*: 2011년 대비 판매액이 10% 이상 증가한 품목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 최근 6년간 판매액이 증가한 품목을 보면 대부분 기호식품인 것을 알 수 있음.
- 그 중에서도 슬로바키아의 일반적 식단에 포함되지 않는 가공된 해산물 및 과일간식 등의 품목의 판매 증가가 두드러짐.
- 그 밖의 필수식품들(제빵, 곡류 등)의 판매는 소폭 감소를 보여 슬로바키아에 사는 사람들의 식단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이러한 현상은 슬로바키아의 최근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실업률 하락으로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음.
ㅇ 고급 가공식품 소비 증가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 상기 그래프를 통해 가공식품 판매가 최근 3년간 소폭 하락한 반면, 가공식품의 판매량은 전체 판매 하락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 했음을 볼 수 있음.
- 이는 최근 3년간 판매된 가공식품의 단위당 가격이 더 높아졌음을 의미함. 최근의 가공식품 소비 트렌드는 좀 더 고품질의 가공식품 소비로 전환되고 있음.
- 수도 브라티슬라바의 일반 슈퍼마켓에서 유기농 가공식품 및 포장재의 질(플라스틱 대신 종이 또는 유리 포장재 사용 등) 상승을 관찰할 수 있음.
슬로바키아 가공식품 품목별 판매량 추이
(단위: 천 톤)
제품 분류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유아식 | 4.5 | 4.6 | 4.4 | 4.4 | 4.4 | 4.4 |
제빵 상품 | 373.2 | 372.6 | 376.4 | 357.8 | 336.8 | 327 |
아침식사용 곡류 | 5.6 | 6.1 | 5.8 | 5.1 | 4.9 | 4.8 |
제과류 | 34.4 | 36.4 | 36.7 | 36.5 | 35.4 | 34.8 |
유제품 | 352.9 | 357.8 | 356.8 | 364 | 371.5 | 383.6 |
식용기름 | 34.4 | 34.4 | 33.3 | 33.2 | 32 | 21.3 |
아이스크림과 냉동 디저트 | 9.2 | 9.4 | 8.7 | 8.4 | 8.4 | 8.5 |
가공된 과일과 채소 | 35.8 | 35.6 | 35.4 | 35.7 | 36 | 36.3 |
가공된 육류와 해산물 | 61.4 | 61.3 | 61.2 | 61.5 | 61.5 | 61.7 |
즉석 식품 | 5.8 | 5.7 | 5.8 | 5.8 | 5.8 | 5.9 |
쌀, 파스타와 면류 | 37.6 | 36.7 | 38.8 | 39 | 38.9 | 38.7 |
소스, 드레싱과 조미료 | 42.4 | 42.3 | 42.1 | 42.1 | 42 | 42.1 |
짭짤한 간식 | 19.1 | 19.3 | 19.7 | 20.2 | 20.3 | 20.5 |
스프 | 3.2 | 3 | 2.7 | 2.5 | 2.4 | 2.3 |
스프레드(잼) | 8.5 | 8.5 | 8.6 | 8.6 | 8.7 | 8.8 |
비스켓, 스낵바와 과일간식 | 12.6 | 13 | 13.6 | 13.8 | 14 | 14.3 |
가공식품 전체 | 1 040.6 | 1 047.7 | 1 050.1 | 1 038.6 | 1 023.1 | 1 024.9 |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 최근 3년간 전체 가공식품 판매 감소 추세에도 품목별로는 유제품 및 간식류의 판매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음.
ㅇ 외식의 대중화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슬로바키아 업소용 가공식품 품목별 판매량 추이
(단위: 천 톤)
제품 구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유야식 | - | - | - | - | - | - |
제빵 상품 | 74.7 | 75.2 | 75.5 | 75.8 | 76.2 | 76.6 |
아침식사용 곡류 | 0 | 0 | 0 | 0 | 0 | 0 |
제과류 | 0.6 | 0.6 | 0.6 | 0.6 | 0.6 | 0.7 |
유제품 | 31.3 | 31.8 | 32.8 | 33.6 | 34 | 34.6 |
식용기름 | 8.7 | 8.8 | 8.9 | 8.9 | 8.9 | 8.9 |
아이스크림과 냉동 디저트 | 2.1 | 2.1 | 2.1 | 2.1 | 2.2 | 2.2 |
가공된 과일과 채소 | 15.1 | 15.2 | 15.3 | 15.5 | 15.7 | 16 |
가공된 육류와 해산물 | 17.1 | 17.3 | 17.4 | 17.6 | 17.8 | 18 |
즉석 식품 | 0.6 | 0.7 | 0.7 | 0.7 | 0.8 | 0.8 |
쌀, 파스타와 면류 | 12.5 | 12.5 | 12.7 | 12.9 | 13.1 | 13.4 |
소스, 드레싱과 조미료 | 11 | 11.2 | 11.3 | 11.4 | 11.7 | 12 |
짭짤한 간식 | 2.3 | 2.3 | 2.3 | 2.4 | 2.4 | 2.5 |
스프 | 0.5 | 0.5 | 0.5 | 0.4 | 0.4 | 0.4 |
스프레드(잼) | 1 | 1.1 | 1.1 | 1.1 | 1.1 | 1.2 |
비스켓, 스낵바와 과일간식 | 0.1 | 0.1 | 0.1 | 0.1 | 0.1 | 0.1 |
가공식품 전체 | 177.7 | 179.2 | 181.3 | 183.3 | 185.2 | 187.3 |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ㅇ 슬로바키아의 소매용 가공식품 판매는 꾸준히 증가해 2021년에는 2016년 대비 약 15% 증가한 31억9370만 유로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ㅇ 슬로바키아는 2020년까지 4% 수준의 GDP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가공식품의 소비도 꾸준히 증가해 2021년에는 198만9000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 슬로바키아 가공식품 유망 바이어
회사명 | 홈페이지 | 2016년 연매출(유로) | 주요 상품 |
LIBEX, s.r.o. | 52,227,581 | 건조식품, 통조림식품, 스프, 유제품, 제과류, 술 | |
IMPOL, s.r.o. | 34,687,655 | 면류, 소스, 치즈, 제과류, 칩(과자) | |
FEGA FROST, s.r.o. | 22,900,520 | 냉동식품 | |
Pannon Food Slovakia s.r.o. | 19,668,197 | 냉장식품, 통조림식품, 유제품, 제과류, 음료 | |
K´ Food Distribution s.r.o. | 9,703,493 | 통조림식품, 쌀, 면류, 소스, 기름 | |
BAPE FOOD s.r.o. | 5,712,310 | 곡류, 유제품, 제과류, 짭짤한간식, 음료 | |
TRALYCO, SK, spol. s r.o. | 1,133,244 | 동양식료품 | |
LUMARKT, s.r.o. | 13,938,451 | 통조림식품, 쌀, 면류, 소스 |
자료원: KOTRA 브라티슬라바 무역관 종합
□ 아시아 식품 및 한식
ㅇ 아시아 식품
- 슬로바키아에서 이민 역사가 가장 긴 아시아 국가는 베트남으로, 사회주의 시기에 망명자를 많이 받아들이면서 베트남 음식은 다른 아시아 음식과 비교해 대중화돼 있음.
- 수도인 브라티슬라바 내에 한식당은 1개인 반면, 베트남 식당은 17개소가 있어 현지인들에게도 저렴하고 건강한 음식으로 대중화돼 있음.
- 현지에 가장 많은 수의 점포를 확보한 3대 슈퍼마켓인 테스코(TESCO), 빌라(BILLA), 리들(Lidl)에서는 중국, 베트남, 일본 등의 아시안 식재료 및 가공식품을 쉽게 찾아볼수 있음.
- 2017년 7월 리들(Lidl)이 주관 했던 '아시안 위크(Asian Week)'는 소비자들이 더 다양한 아시안 식재료와 식품들을 구매할 수 있어서 큰 인기를 얻음.
자료원: Lidl Slovakia
ㅇ 한국 식품
- 브라티슬라바 내에는 3개의 한국 식품점이 있음(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식품 전문점은 10여 개소).
자료원: KOTRA 브라티슬라바 무역관 종합
- 우리나라의 코스트코처럼 회원제로 운영하는 도매형 슈퍼마켓인 메트로 캐시 & 캐리(METRO Cash & Carry SR, 이하 '메트로') 역시 슬로바키아 내에서 한식이 인기를 얻음에 따라, 2017년 5월 '한국의 날(Korean Days)' 행사를 기획함.
- '메트로'의 아시아 제품 구매 담당자에 따르면, "본 행사가 슬로바키아 사람들이 아시안, 특히 한식과 같은 이국적인 음식을 맛보는 것을 즐긴다는 것을 적절히 반영한 성공적인 기획"이었다고 평가함.
- 또한 "메트로는 더 나아가 소비자들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식재료를 제공하며 20가지 이상의 한국 제품을 포함, 80가지 이상의 아시아 식품을 매장 내 및 온라인 파트너사인 아시아 마켓(asiamarket.sk)에서 판매하고 있다"고 밝힘.
□ 시사점
ㅇ 최근 꾸준한 경제성장에 따라 슬로바키아 가계의 소득이 늘어나면서 유기농 식품 및 아시아 식품 등 가격대가 높더라도 좋은 질의 가공식품을 선호하는 현상이 관찰됨.
ㅇ 다른 유럽국가와 마찬가지로 아시아 음식은 일반적으로 더 건강하고 더 고급음식으로 인식됨에 따라 현지 채식주의 식당이나 고급 아시아 음식점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
ㅇ 업소용 가공식품 진출
- 한식당은 슬로바키아 내에 10개소 미만이나 대중화되는 외식문화에 따라, 재고관리가 어려운 메뉴에 사용되는 재료를 업소용 가공식품으로 대체하는 수요가 증가할 전망
- 현지 한식당 메뉴에 있는 식품(컵반, 김치전 믹스, 제육볶음 소스, 떡볶이 등) 을 가정에서도 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밀키트(Meal Kit) 형태로 제공하면 식당을 방문한 고객이 가정에서도 한식을 만들어 볼 수 있어 현지인의 관심을 끌기 쉬움.
ㅇ 가정용 가공식품 진출
- 도시화 및 핵가족화가 여전히 진행 중인 슬로바키아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웰빙 간식 제품들 및 한국 특유의 디자인으로 포장한 제품이 인기를 얻을 수 있음.
- 고급 제품(유기농, 공정무역) 및 일반 식품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글루텐 및 락토스(젖당)가 없는 제품이 더욱 진출 가능성이 높음.
- 단, 유럽 가공식품 시장 진출 시에는 모든 제품의 영양정보가 포장 외면에 반드시 현지어로 기재돼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함.
- 2016년 12월부터 EU 내에서 유통되는 모든 가공식제품들은 제품의 성분과 내용물에 관한 EU 규제를 준수하고, 규격화된 표로 탄수화물과 당분·지방·단백질·섬유질과 소금 혹은 염분 함량을 포함한 영양 정보를 규격화된 표로 라벨에 표시해야 함.
자료원: 현지 인터뷰 및 KOTRA 브라티슬라바 무역관 자료 종합
'러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미니카공화국 프랜차이즈 시장동향 (0) | 2018.06.18 |
---|---|
러시아도 '건강한 간식' 열풍 (0) | 2018.06.02 |
러시아 농축산물 동향 (0) | 2018.01.29 |
한국 음식점, 우크라이나에서는 어떨까? (0) | 2018.01.02 |
우크라이나에는 어떤 한국 식품들이 판매될까? (0) | 2017.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