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국 혼밥족 컵라면 대신 ‘간편훠궈’ 로

곡산 2017. 12. 13. 18:43
중국 혼밥족 컵라면 대신 ‘간편훠궈’ 로
건강식 바람타고 야채·고기·양념 넣은 제품 강세
2017년 12월 06일 (수) 13:53:55식품음료신문 fnbnews@thinkfood.co.kr

중국 즉석식품 시장에서 그 동안 ‘대표강자’로 군림하던 컵라면이, 최근 건강선호 경향에 따라 주춤한 가운데 ‘간편훠궈’가 그 자리를 대체할 만한 수단으로 평가받으며 주목받고 있다.

‘훠궈’ 를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먹고 싶다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출시된 ‘간편훠궈’는, 컵라면처럼 훠궈를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만든 제품으로, 야채와 고기, 양념 등 훠궈 제조를 위한 준비물이 갖추어져 있고 대부분의 제품이 자가발열 형식으로 제작돼 상온의 물만을 가지고 따뜻하게 먹을 수 있다.

2015년 처음 선보인 이 제품은 출시 당시 큰 인기를 끌지 못했으나, 2017년부터 인기를 얻기 시작하고 있다. 이는 중국인들 사이에서 배부르게 먹는 것보다 건강하게 먹는 것을 선호하게 됨에 따라 기름에 튀긴 라면의 인기는 갈수록 하락하고 조금 비싸더라도 야채와 고기가 들어간 비교적 건강한 훠궈가 그 빈틈을 뚫고 성장세를 보이는 것이며, 또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 중국인들에게 충분히 어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자료원: 링허왕

이에 따라, 간편훠궈시장을 대표하는 두 기업 중 하나인 다룽이의 경우 2017년 1월 출시 이후 판매액은 급격하게 상승 중이며 월별 증가율이 100%가 넘는다. 또 시장점유율이 크지 않은 신시왕메이하오 역시 월별 판매액 증가율은 100%에 달한다.

이처럼 정찬과 간식의 경계를 뛰어넘은 간편훠궈는 '혼밥'족의 강세와 소비향상의 물결에 힘입어 유망한 신규시장으로 부상했다.

  
△최근 중국 즉석식품 시장에서는 간편하고 건강하게 먹을 수 있는 '간편훠궈'가 주목을 받고 있다.  

5000원대 비싼 가격 불구 업체별 월매출 2배 신장
온·오프 라인에 브랜드 난립…쓰촨산 마라훠궈 인기  

◇편리하고 건강한 음식
일부 식품 전문가들에 따르면, 컵라면의 인기가 줄어드는 데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면이 기름으로 튀긴 것이기에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의 중국인에게 매력을 잃어가고 있기 때문이며, 두 번째는 와이마이, 즉 배달 애플리케이션의 발달이라고 한다.

이런 와중에도 훠궈가 인기를 얻을 수 있었던 이유는 뜨거운 물을 준비해야만 먹을 수 있었던 컵라면과는 달리 찬물만 있어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는 점과 즉석식품이 몸에 좋지 않을 것이라는 편견을 깼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로 간편훠궈는 야채와 고기, 면 등이 풍부하게 담겨 있으며, 일반적으로 30위안 대의 비교적 비싼 가격에도 찾는 이러한 점 때문에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상황이다.

◇수많은 기업들의 급격한 시장 참여
북경신보에 따르면 정가 35위안의 간편훠궈 원가는 10위안이 채 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간편훠궈의 이익률은 전통훠궈 기업보다 훨씬 높다. 또한 사실상 올해부터 급격히 인기가 높아지다 보니 여러 기업들에 매력적인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올해 1월 간편훠궈의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인 다룽이의 시장 진출에 이어 급격히 브랜드 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유명한 훠궈 브랜드인 하이디라오 역시 지난 7월 5000만 위안을 투입해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등 현재 온라인 판매채널에 간편훠궈를 검색하면 30여 개의 브랜드가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또 온라인에서의 인기가 높자 이 기세를 이어 현재는 오프라인으로까지 판매채널이 확대되고 있으며, 현재 약 10개의 오프라인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브랜드들이 있다. 이처럼 경쟁이 치열해지지자 각종 큰 브랜드들은 차별화 우세전략을 시작했고, 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업계 재조정에 돌입했다.

[타오바오 판매량 상위 10개 간편훠궈] (2017년 11월 23일 기준)

제품명

브랜드명

가격(위안)

내용물

모샤오셴훠궈

샤오전

35(할인가 19.8)

마라훠궈양념, 넓은국수,연근, 미역, 감자, 죽순, 목이버섯

쓰촨마라훠궈

라오청난

64.8(할인가 24.3)

마라훠궈양념, 연근, 감자, 죽순,목이버섯, 새송이버섯, 쓰촨면

마라넌뉴

하이디라오

45(할인가 29.9)

마라훠궈양념, 소고기, 소 천엽, 죽순, 감자, 미역, 목이버섯, 젖은 당면, 소 혀

카카사모샤오셴훠궈

카카사

48.9(할인가 21.8)

마라훠궈양념, 넓은 국수, 감자, 죽순, 연근 등

칭주훠궈

웨이수우

68(할인가 28.8)

마라훠궈양념, 소고기, 닭고기햄소시지, 훠궈쓰촨면, 감자, 연근, 죽순, 미역, 목이버섯 등

추이솽소천엽

하이디라오

45(할인가 29.9)

순수하고 진한 소기름 양념, 소고기, 천엽, 소 혀, 연근, 미역, 목이버섯, 죽순, 어두부 등

충칭훠궈

마라둬나

45(할인가 29.9)

마라양념, 소고기, 천엽, 소 혀, 소두피, 새송이버섯,가늘게 썬 다시마, 젖은 당면, 연근, 감자, 목이버섯, 죽순

샤오룽칸훠궈3.5버전

샤오룽칸

68.8(할인가 29.8)

마라양념, 오리 모래주머니, 감자, 연근, 죽순, 소고기, 넓은 국수, 진한 식초 등

매콤한 소박한 음식

하이디라오

39(할인가 24.9)

마라양념, 연근, 감자, 미역, 목이버섯, 죽순, 룽커우당면

량핀푸쯔 간편훠궈

량핀푸쯔

69(할인가 29.9)

마라양념, 옥수수, 죽순, 목이버섯, 소고기, 돼지고기 등

자료원: 타오바오
 

◇쓰촨성에 집중된 브랜드 분포
쓰촨지역 브랜드가 전체 중국시장에서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청두와 충칭이 주류이며 해당 도시의 간편훠궈 브랜드는 40개가 넘는다. 이로 인해, 인기있는 훠궈는 대부분 마라훠궈인 상황이며, 쓰촨지방에 브랜드가 집중된 만큼 포장과 가격, 내용물들이 구분이 안 갈 정도로 비슷하다. 쓰촨을 제외한 브랜드의 경우 북방에 흩어져 분포하고 있으나 그 영향력이 매우 미미하며, 그나마 산시성의 량청메이가 출시한 훠궈가 비교적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시장 세분화해 접근
훠궈에는 마라를 제외하고도 많은 탕이 존재하나 영향력이 미미한 상황으로, 칭탕이나 쥔탕, 쏸탕 등 다양한 탕으로 고객층을 넓히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또 현재 주 구매층은 직장인과 독신, 고소득자이며 연령대는 20~35세가 주된 고객층이다. 이 가운데 특히 수익이 높거나 구매력이 높은 독신 여성에게 인기가 많다. 따라서 이들을 제외하고도 다른 세대를 공략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자료 제공 = 코트라 선양 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