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간편식(HMR)

편의점도시락, 레토르트 등 간편식 시장 급속 확대

곡산 2017. 2. 7. 08:20
편의점도시락, 레토르트 등 간편식 시장 급속 확대
'15년 1조6700억 규모...5년 사이 51.1% 성장
농식품부-aT, 시장분석 보고서 발간
2017년 02월 06일 (월) 16:46:48김현옥 기자 hykim996@thinkfood.co.kr

편의점 도시락이나 물만 부어 끓이면 즉석에서 요리가 되는 이른바 가정간편식(HMR Home Meal Replacement)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표한 '가공식품 시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맞벌이 부부와 1인 가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가정간편식 시장 규모가 2015년 기준 1조6720억 원으로, 2011년 1조1067억 원보다 51.1%나 성장했다.

간편한 식사 대용품을 일컫는 간편식은 식품공전 상 도시락, 김밥 등 조리과정 없이 바로 섭취하는 '즉석섭취식품'과 단순 가열 등 조리과정이 필요한 '즉석조리식품', 농·임산물을 세척 및 절단 등의 가공공정을 거쳐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신선 편의식품' 등 세 가지로 나뉜다.

품목별 비중을 보면 즉석섭취식품이 59.3%로 전체 간편식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즉석조리식품(34.9%), 신선 편의식품(5.7%) 등이 뒤를 이었다.

<간편식 부류별 국내 출하 규모 및 추이>  (단위 : 백만원)

구 분

즉석섭취식품

즉석조리식품

신선편의식품

간편식(합계)

2011

665,174

381,465

60,071

1,106,710

2012

810,348

467,164

65,256

1,342,768

2013

942,160

559,196

78,340

1,579,696

2014

917,438

537,838

83,439

1,538,715

2015

992,164

584,281

95,566

1,672,011

◆ 즉석섭취식품 시장 (도시락 시장 중심으로)

즉석섭취식품의 시장규모는 ‘15년 9,922억 원으로 5년 전에 비해 49.2% 증가했다. 즉석섭취식품의 주된 품목은 ‘도시락’(4,446억원)으로 전체의 44.8%를 차지하는데, 국내 출하 84%, 항공기 기내식 등 수출이 16%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국내 출하된 도시락은 편의점(40%), 도시락 전문점(30%), 외식업체(20%), 온라인(10%) 등으로 유통되고 있다.

[즉석섭취식품 국내 출하액] (단위: 백만 원)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즉석섭취식품

 

665,174

810,348

942,160

917,438

992,164

 

도시락

63.4%

67.9%

63.0%

44.9%

44.8%

※ 각 연도별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식품의약품안전처
※ ‘14~’15년도 도시락 출하비중의 감소는 생산실적 보고시 분류방법에 변동이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


  
※ 유통구조는 주요 도시락 제조업체 면담결과를 중심으로 재구성
※ 국내 출하 및 수출 비중은 2015년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식품의약품안전처)의 도시락 출하량 및 수출량을 바탕으로 계산하였으며, 항공사 기내식으로 유통되는 도시락이 수출로 분류되고 있음


도시락의 편의점 시장규모는 ‘15년 1,329억 원으로 최근 3년간 70.4% 늘었다. 편의점 즉석섭취식품 매출 중 도시락의 점유율은 ’13년 19.2%에서 ’15년 27.9%로, 지난해 2분기에는 34.1%까지 증가해 삼각김밥 수준에 육박했다.

<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도시락의 시장규모 및 점유율 추이 > (단위: 백만 원, %)

구 분

2013

2014

2015

2016

1/4분기

2/4분기

도시락

77,984

94,448

132,919

41,335

54,169

(19.2)

(22.2)

(27.9)

(32.9)

(34.1)

※ 편의점 매출액, AC닐슨

  
 

도시락은 주로 집·사무실에서 혼자 식사할 때(53.3%)와 그 외 출장, 소풍, 회의, 단체식사제공(25.3%) 등 간편한 식사를 원하는 상황에서 주로 이용하는 경향이다.

도시락을 선택하는 이유로 ‘건강하다고 생각(22.5%)’되거나 ‘집밥 먹는 느낌(13.8%)’ 때문 등 호의적 반응 보였고, 도시락을 구매해 먹는 장소는 ‘집’이 32.3%로 가장 많았고, ‘사무실·학교’(27.5%), ‘편의점’(22.0%) 등의 순이었다.

도시락은 혼자 먹는 경우가 64.0%로 가장 많았고, 친구·연인이나 직장동료와 먹는 경우는 각각 14.0%, 13.2% 였다. 도시락을 섭취하는 빈도는 ‘일주일에 1~2번’(33.3%)이 가장 많고, 섭취시간은 주로 ‘점심시간’(63.2%)인 것으로 조사됐다.

[ 도시락을 이용하는 상황] (단위: %)

전체

혼자먹을 때
(
/사무실)

출장 등 이동상황

소풍등

근무/회의등시간이

단체 식사 제공시

이유없음/
기타

600

53.3%

6.3%

7.5%

8.8%

2.7%

21.4

[ 도시락 선택 이유 ] (단위: %)

전체

건강하다고 생각되어

판매장소가 가까워서

가격이 저렴해서

집밥 먹는 느낌이 들어서

메뉴 선택
및 방문이 귀찮아서

기타

600

22.5%

25.0%

17.7%

13.8%

14.0%

6.6%

◆ 즉석조리식품 시장 (간편식 레토르트 중심으로]

즉석조리식품의 경우도 ‘15년 5,843억원으로, 5년 새 시장 규모가 53.2% 커지며 전체 간편식 시장을 확대시켰다. 특히 식품 가공·포장, 보관 기술이 발달하면서 전자레인지에 데워 먹는 카레·짜장 등 전통적인 품목에서 각종 탕·국·찌개류를 비롯해 수프류, 미트류 등 메뉴가 다양화된 것이 특징이다.

[즉석조리식품 국내 출하액] (단위: 백만 원)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출하액

381,465

467,164

559,196

537,838

584,281

※ 각 연도별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식품의약품안전처

즉석조리식품에 포함된 간편식 레토르트 제품을 중심으로 살펴본 유통구조는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와 기업간 거래(B2B) 비중이 약 8:2로의 비중을 보인다. B2C는 대형할인점(39.9%), 체인슈퍼(19.5%), 편의점(7.0%) 순이며, B2B는 외식 프랜차이즈, 급식업체, 군부대 등 대량 수요처로 공급된다.

  
* 레토르트 공법은 국·탕·찌개류 등 즉석조리식품 뿐 아니라 간식류(밤가공품 등), 영유아식 등 타 제품군에도 활용되고 있으므로 간편식으로 출시되는 레토르트 제품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조사함

즉석조리식품 중 간편식 레토르트 식품의 시장 규모는 ’15년 기준 1,287억 원으로 ’13년 1,052억 원에서 22.3% 늘어났으며, 탕(28.2%), 카레(25.7%), 짜장(12.4%), 미트류(12.0%) 국류(8.8%) 순이다.

레토르트식품의 구매빈도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20~30대보다 40대, 미혼자보다 기혼자, 다인 가구 보다 1인 가구가 더 높았고, 10명 중 6명이 집이나 사무실에서 혼자 먹으며, 가족끼리 식사할 때 반찬이나 국으로 먹는 경우도 많다.

[간편식 레토르트 식품 제품군별 소매시장 규모] (단위: 백만 원, %)

구분

2013

2014

2015

탕류

20,924

28,365

36,327

(19.9)

(24.2)

(28.2)

카레

33,584

33,137

33,014

(31.9)

(28.3)

(25.7)

국류

6,679

8,970

11,332

(6.3)

(7.7)

(8.8)

미트류

13,555

15,501

15,479

(12.9)

(13.2)

(12.0)

짜장

15,668

16,019

15,927

(14.9)

(13.7)

(12.4)

찌개류

2,153

4,436

5,731

(2.0)

(3.8)

(4.5)

소스류

6,304

5,165

5,344

(6.0)

(4.4)

(4.2)

스파게티

3,908

4,241

3,764

(3.7)

(3.6)

(2.9)

기타

2,091

1,025

1,428

(2.0)

(0.9)

(1.1)

하이라이스

348

353

307

(0.3)

(0.3)

(0.2)

합계

105,214

117,211

128,654

* AC닐슨 소매점 매출액 기준
* 백만 원 기준으로 작성하여 합계 값 일의 자리 수에 다소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
* 레토르트 공법은 국·탕·찌개류 등 즉석조리식품 뿐 아니라 간식류(밤가공품 등), 영유아식 등 타 제품군에도 활용되고 있으므로 간편식으로 출시되는 레토르트 제품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조사

[레토르트 식품 구입 빈도]

(단위: %)

구분

사례 수()

한 달에 4번 이상

한 달에 3번 정도

한 달에 2번 정도

한 달에 1번 정도

한 달에 1번 미만

전체

600

9.8

13.3

28.0

24.3

24.5

성별

남성

300

14.0

16.0

29.3

23.0

17.7

여성

300

5.7

10.7

26.7

25.7

31.3

연령

20

180

9.4

14.4

25.6

22.8

27.8

30

210

7.6

12.4

25.2

27.6

27.1

40

210

12.4

13.3

32.9

22.4

19.0

결혼

유무

(기혼)

265

11.3

12.5

30.9

26.0

19.2

아니오(미혼)

335

8.7

14.0

25.7

23.0

28.7

가구 구성원

1인 가구

100

21.0

9.0

23.0

19.0

28.0

2인 가구

83

3.6

13.3

24.1

25.3

33.7

3인 가구

160

8.8

13.8

33.8

26.3

17.5

4인 가구 이상

257

8.2

14.8

27.6

24.9

24.5


[레토르트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 (단위: %)

구분

사례 수()

집이나 사무실에서 혼자

가족끼리 식사 시 반찬이나 국으로

캠핑이나 휴가 등 야외 활동 시에

집에서 술안주로

편의점에서 간단히 먹을 때

기타

전체

600

60.2

23.0

8.0

4.0

3.2

1.7


◆ 신선편의식품 시장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신선편의식품 시장도 확대돼 ’15년 956억 원으로 ‘11년 601억원에 비해 59.1% 증가했다.

시장 형성 초기에는 단순 세척된 샐러드류 제품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치즈, 건과류, 닭가슴살 등 구성 재료가 다양해졌으며, 채소 과일을 씻거나 다듬는 번거로움이 없고, 소용량으로 사들여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이점 때문에 소비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신선편의식품 국내 출하액] (단위: 백만 원)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출하액

60,071

65,256

78,340

83,439

95,566

※ 각 연도별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식품의약품안전처

신선편의식품은 가공, 포장, 유통 시 물리적 상해를 받기 쉽고 저장 및 유통단계에서 품질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대부분 제조업체에서 소매채널로 바로 유통되는 특징이 있어 기업간 거래(B2B)와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비중이 약 3:7이다.

[주요 소매채널별 신선편의식품 판매액 추이] (단위: 백만 원, %)

구분

2013

2014

2015

판매액

비중

판매액

비중

판매액

비중

간편

과일

할인점

6,894

24.6

5,757

20.5

4,235

13.7

체인슈퍼

2,259

8.1

3,276

11.6

2,454

7.9

소계

9,152

32.7

9,033

32.3

6,688

23.9

샐러드

할인점

13,022

46.5

13,702

48.7

17,871

57.8

체인슈퍼

5,833

20.8

5,398

19.2

6,356

20.6

소계

18,855

67.3

19,099

68.2

24,227

86.5

합계

28,007

100

28,132

100

30,915

100

※ AC 닐슨 소매점 매출액 기준임
1) 백만원 기준으로 작성하는 가운데, 합계값 일의 자릿수에 다소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
2) 간편과일 – 컷팅과일 외에 냉동과일 일부가 포함됨
3) 국내 대형할인점 3개사, 대형체인슈퍼 4개사 기준 수치임

신선편의식품 중 간편과일과 샐러드의 대형 할인점‧체인슈퍼 판매액은 ’13년 208억원에서 ’15년 309억원으로 최근 3년간 지속 증가했다. 특히 대형 할인점의 샐러드 판매액은 ‘13~’15년간 연평균 17.1%의 증가율을 보였는데, 이는 소포장, 요리용 손질 채소 등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제품 출시가 늘어난 것이 매출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편의식품(신선편이농산물 포함)을 구입했거나 먹어본 경험이 있는 제품은 포장되어 나온 샐러드·새싹채소·쌈채소 등이 29.4%로 가장 많았고, 다음 세척·다듬어진 채소류가 27.4%, 세척·박피 과일류가 23.2% 순이다.

[신선편의식품 구입 이유] (단위: %)

구분

재료 손질 간소화

소용량 구입

바로 섭취 가능

보관 편리

손질 후 쓰레기 최소화

기타

전체(n=600)

36.5

26.5

26.2

6.0

4.2

0.7

[신선편의식품 구입 장소] (단위: %)

구분

대형 할인점

SSM
(
대형체인슈퍼)

중소형· 동네슈퍼

백화점 식품관

친환경 식품매장

온라인 종합쇼핑몰

온라인 농산물판매몰

기타

전체(n=600)

69.5

11.7

9.7

4.3

2.0

1.5

0.7

0.7

일본, 유럽 등은 이미 간편식이 성숙기 단계에 접어들면서 전 세계적으로 간편식 시장 규모가 최근 5년 사이 9.6% 감소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간편식이 2010년 이후에 주목을 받기 시작해 이제 막 성장궤도에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세계 간편식 시장 규모] (단위: 백만 달러)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냉장간편식

14,583

14,362

14,273

14,321

12,811

상온간편식

11,425

11,429

11,057

10,880

9,679

냉동간편식

29,115

29,068

28,627

28,574

26,137

냉동과일/채소

14,497

14,565

14,568

14,728

13,768

샐러드류

14,826

14,766

15,045

15,232

13,949

합계

84,446

84,191

83,570

83,734

76,345

※ Canadean, 간편식의 종류는 국내 분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주요 국가 간편식 시장 규모] (단위: 백만 달러)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미국

17,246

17,638

18,033

18,470

18,890

일본

17,197

17,860

15,171

14,522

13,215

독일

7,377

6,925

7,285

7,419

6,329

영국

5,771

5,843

5,951

6,452

6,174

프랑스

6,590

6,154

6,430

6,489

5,497

[미국의 신선편의식품 시장 규모] (단위: 백만달러)

국가

2011

2012

2013

2014

2015

미국

6,702

6,889

7,064

7,256

7,408

  
 

농식품부 박병홍 식품산업정책관은 “가정 간편식 시장의 지속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품목별 협의체 구성 및 연구개발(R&D) 지원 등 가정 간편식 시장의 지속 성장을 위한 육성 방안을 마련해 우리 농산물의 소비를 촉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