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일본 음료업계, 2016년 트렌드는 ‘지역 특산물’ 음료 | ||||||||||||||||||||||||||||||||||||||||
---|---|---|---|---|---|---|---|---|---|---|---|---|---|---|---|---|---|---|---|---|---|---|---|---|---|---|---|---|---|---|---|---|---|---|---|---|---|---|---|---|---|
게시일 | 2016-03-24 | 국가 | 일본 | 작성자 | 송혜주(후쿠오카무역관) | ||||||||||||||||||||||||||||||||||||
일본 음료업계, 2016년 트렌드는 ‘지역 특산물’ 음료 - 지역의 ‘희귀한 특산 농산물’ 원료로 차별화 - - 농가 및 특산물 보호, 지자체 및 농업협동조합과의 관계 강화 등 일석삼조 –
□ 일본 음료업계 현황
○ 2014년 음료시장은 전년대비 98.1% 수준인 4조9350억 엔으로, 5년 만에 전년도 실적을 밑도는 상황 - 시장 축소요인으로는 소비세 증세에 따른 수요 감소와 음료의 최성수기인 여름의 기후가 좋지 않았던 것이 크게 작용했음. - 이 가운데 호조를 보인 음료제품은 '일본차 음료와 미네랄워터' 정도임.
○ 2015년은 전년대비 101.2% 수준의 4조9950억 엔 규모로 잠정 집계함. - 소비세 증세의 영향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일정 수준의 소비의욕이 회복된 상황 - 국내 수요가 둔화되는 가운데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음료, 차, 과일주스 등은 호조를 보이고, 콜라, 사이다 등 탄산음료는 하락 경향을 보임.
○ 편의점들이 PB상품 전략을 강화하고, 기존 음료기업과 편의점 간 공동 상품 개발 붐 - 전반적으로 음료시장이 불황인 관계로 기존 상품에서 특별한 히트상품이 나오지 않고 있는 가운데, 편의점들이 PB상품 전략을 강화하면서 PB상품이나 편의점 자체판매 커피 등이 확산되고, NB제품들이 점차 축소되는 양상을 보임. - 기존 음료기업들이 공동으로 상품을 개발하는 콜라보 현상과 기존 음료기업들이 편의점들과 공동으로 상품을 기획, 판매하는 양상을 보이는 한편, 편의점들이 각 사 체인 한정판매 상품을 발매하기도 함.
○ 음료기업은 도쿠호(특정보건용식품) 음료 등 고부가가치형 기능상품에 주력 - 2015년 4월부터 기능성표시식품제도가 시행되면서 도쿠호 음료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 소비자에 강하게 어필 . □ 음료업계, 2016년 트렌드는 지역의 희귀 특산물 원료로 차별화한 음료
○ 각 지역의 희귀한 특산물을 원료로 하고, 국산 원료 100% 사용을 콘셉트로 하는 상품 연이어 발매 준비 중 - 기린, 이토엔, 산토리 등 올해 중 신제품 출시를 목표로 준비 중
○ 희귀 농산물을 재배하는 농가를 보호하고, 특산물의 판로를 개척하며, 지자체 및 농업협동조합 등과의 관계 강화 등 일석삼조의 부수효과도 거둘 수 있음.
지역 특산물로 만든 음료 제품
자료원: 각 사 홈페이지
□ 시사점
○ 일본 음료업계,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상품 차별화, 고부가가치화로 승부수 - 일본 소비자들은 국산품에 대한 취향이 강하고, 안심안전을 위해서는 가격이 약간 비싸더라도 구매하는 경향이 높음. - 소비자들은 지금까지 차, 곡물 등 일반적인 재료의 일반적인 음료들뿐이었으나, 희귀한 특산물을 재료로 하니 신선하다는 반응임.
○ 지역의 희귀 특산 원료를 안정적, 지속적, 대량으로 조달 가능 여부에 따라 향후 시장판도가 달라질 수 있음.
○ 일본 시장 초기 진입 및 시장점유율 유지를 위해서는 끊임없는 아이디어 개발이 관건임.
자료원: 일간공업신문, 야노경제연구소, 각 사 홈페이지 및 KOTRA 후쿠오카 무역관 자료 종합 |
'일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최신식품 포장트렌드 2014-12 (0) | 2016.04.13 |
---|---|
일본 PB식품시장 진출전략 2014-12 (0) | 2016.04.13 |
日 맥주시장에 부는 크래프트 붐 (0) | 2016.04.11 |
일본, 가공식품에 원료 원산지표시 확대 추진 검토 (0) | 2016.04.11 |
[르포]일본 동경건강산업전시회서 눈길을 끈 제품들미용·항노화 식품 등 4개 부문 건강산업 트렌드 제시 (0) | 2016.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