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만 쌀과자 시장동향(2013.11)

곡산 2016. 3. 1. 18:45
제목대만 쌀과자 시장동향(2013.11)
게시일2016-02-24국가대만작성자김주선(타이베이무역관)
품목기타
품목코드190590

 

작성일자: 2013.11.19

작성자: 타이베이 무역관 배준한(713358@kotra.or.kr)

 

 

1. 시장동향

 

 ○ 현지 수입/도매상에 따르면, 대만은 최근 이어진 경기침체로 인해 일반 과자류의 전반적인 소비는 다소 위축되어 있음.

  - 최근 불거진 사회적 이슈로 인해(화학첨가제 사용 베이커리, 식용유 파동 등을 언론에서 대대적으로 보도) 식품의 소비가 그 어느 때보다 조심스러운 시기.

  - 이로 인해, 대만 소비자들이 안전 먹거리에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젊은 어머니들의 경우 화학첨가제가 전혀 들어가지 않은 유아용 쌀과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현지에서 유아용 쌀과자의 경우 아이들의 이유식 시기에 적절한 보조식품으로 인식되며, 아이에게 먹이는 제품이기 때문에 재료의 유기농 인증 여부와 원산지 표기 등을 민감하게 따져보고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남.

  - 대만 영, 유아의 인구수는(0~9세 총합) 약 2백만 명으로 대만 총 인구수의 약 9.1%를 차지함. (총인구 2천3백만)

 

 ○ 자료원: TVBS 등 대만현지 언론 종합 2013년 11월

 

□ 대만 과자의 생산/판매액

 

[표1] 대만 과자(Biscuit) 생산/판매액

                               단위: 신 타이완 달러

     자료원: ITIS智網

 

 ○ 위 수치는 대만에서 생산 판매된 과자류(주원료가 밀가루 위주의 과자), 단일 품목의 통계 수치임.

  - 쌀과자 단일품목에 대한 통계수치는 없음.

 

□ 대만 쌀과자(Rice Cracker) 국가별 수입액

 

[표2] 대만 쌀과자 국가별 수입액

                                            단위: 달러

     자료원: 대만 국제무역국 무역통계 2013년 11월(중화민국 관무서)

 

 ○ 위 [표2]와 같이 2012년 12월까지 CCC Code: 19059050004 품목은 쌀과자(Rice Cracker)단일 품목으로써 일본과 동남아 국가들이 주요 수입국이며 한국은 4위로 확인됨.(순위 2012년 기준)

 

 ○ 한국은 2011년 동기대비 2012년 196%증가하며 기타 국가에 비해 대폭 증가하였으나 아직 총 수입량에서의 비중은 약 1% 정도임.

 

 ○ 전체 수입량의 75%가 일본 제품으로 그밖에는 동남아국가의 반제품이 차지함.

  - 일본과 지리적 이점으로 운송시간이 짧아 유통기한의 제한성이 적고 일본 제품의 신뢰도, 선호도가 높기 때문에 수입액도 높음.

  - 대만의 OEM, ODM 생산으로 인해 기타 동남아 국가의 제품의 경우 원료 혹은 반제품으로 수입되어 대만 내에서 가공, 포장해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원재료와 원산지에 민감하여 현재 일본(1위)의 유아 쌀과자가 수입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밖에 미국(7위), 벨기에(8위), 오스트리아(9위) 등 선진국의 제품도 소량으로 수입되고 있음.

 

 

2. 대만 시장추세

 

□ 수입 Point 1: 유통기한

 

 ○ 대만의 유아용 과자 전문 수입상들에게 유선문의 결과 ‘유통기한’을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선정

  - 소비자의 기호를 고려할 시 화학첨가제가 들어가지 않은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 역시 유통기한은 최소 6개월 이상이어야 한다고 함.

 

 ○ 대만에서 유통되는 유아용 과자의 상당수가 일본산인 이유에는 문화와 맛에서의 선호와 품질에 대한 신뢰도 작용했겠으나 유럽이나 미국보다 지리적으로 가까워 유통기한에 좀 더 유리한 부분도 하나의 이유인 것으로 사료됨.

 

□ 수입 Point 2: 유기농, 친환경

 

 ○ 아이가 먹는 식품이고, 최근 불거진 식품파동으로 대만소비자들의 소비 기준이 유기농, 친환경으로 옮겨가, 일본,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제품의 수요가 다소 늘고 있는 추세

 

 ○ 한국 제품도 유기농, 친환경 재료로 생산됨을 강조하는 마케팅 전략과 더불어 가격 경쟁력이 동반되어야 할 것임.

 

 ○ 자료원: 유아용 과자 수입상 인터뷰(익명요청) 무역관 자체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