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중국 오가닉 면 시장동향(2014.6) | ||||
---|---|---|---|---|---|
게시일 | 2016-03-10 | 국가 | 중국 | 작성자 | 김주선(상하이무역관) |
품목 | 면으로 만든 것 | ||||
품목코드 | 611120 | ||||
작성일자: 2014.6.25 작성자: 상하이 무역관 김서웅(sinica-kim@kotra.or.kr)
1. 시장동향
□ 중국 영유아인구 현황
○ 중국 통계국의 '국민경제와 사회발전통계공보'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중국의 신생아 수는 1600만 명, 0~3세 사이 영유아 인구는 6400만 명에 달한다고 함. 중국 도시화율의 제고와 더불어 성진(도시와 읍)가구의 0~3세 사이 영유아 인구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데, 2007년 2389만9500명에서 2012년 3214만2700명으로 증가함. - 프로스트 앤 설리반(Frost & Sullivan)은 중국 도시화율 제고 및 2014년 중국정부의 두 자녀(单独二孩) 허용 정책에 힘입어 향후 몇 년간 중국 성진의 0~3세 사이 영유아 인구는 일정한 속도로 증가할 것이고, 2012-2016년 연평균 성장률은 5.4%에 달해 2016년에는 3900만 명을 초과할 것으로 예측하였음.
○ 2011년 4월 중국 통계국이 발표한 '2010년 중국 제6차 인구조사 주요 데이터공보'에 의하면 2010년 성진(도시와 읍) 인구는 49.68%로 2005년에 비해 6.69% 증가, 2000년 제5차 인구조사 성진인구 비율에 비해 13.59% 증가함. 2014년 2월에 발표한 '2013년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통계공보'에 의하면 2013년 중국 성진 상주인구 비율은 53.73%에 달한다고 함. - 성진인구는 중국의 중고급 소비시장을 이끄는 주요 계층이며, 특히 성진의 젊은 소비자층의 중고급 영유아 용품에 대한 수요가 크기 때문에 도시화율의 제고와 더불어 중고급 영유아 제품 시장도 부단히 성장하고 있음.
□ 수요동향
○ 중국 경제수준의 제고와 개인소득의 증가로 중국 가정의 영유아 소비품에 대한 소비액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고 품질이 좋은 제품에 대한 시장수요도 확대되고 있음. - 프로스트 앤 설리반(Frost & Sullivan)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성진(도시와 읍) 가정의 영유아제품 연평균 소비액은 2007년 4260위안에서 2012년의 8702위안으로 증가하였고 연평균증가율은 15.4%에 달하였다고 함. 성진주민의 영유아제품 소비는 2013년-2016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연평균 증가율은 12.7% 전후를 유지하면서 2016년에는 1만4034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였음.
○ 2012년 중국 성진(도시와 읍) 영유아인구는 3214만2700명, 1인당 평균 소비금액은 8702위안, 이를 근거로 추산할 경우 2012년 중국 성진 영유아 소비시장규모는 2790억 위안을 초과함. - 영유아 소비품 산업 중 복장 면제품과 일용품 시장은 2007-2012년까지 시장규모가 619억8000만 위안에서 1692억3000만 위안으로 확대되었고, 연평균증가율은 22.2%에 달하였는데 이 추세로 추산할 경우 2016년에는 3755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측됨.
○ 현재 중국은 미국 다음으로 제일 큰 영유아제품 소비대국으로 2011년 총 시장규모는 1조1500억 위안에 달하였고, 2015년 영유아제품 시장은 약 2조 위안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 미국 글로벌 시장조사 및 컨설팅 전문기관인 프로스트 앤 설리반(Frost & Sullivan)의 시장분석 보고에 의하면 2010년 중국 영유아복장 시장규모는 347억9000만 위안이고 2015년까지 연평균 19.7%의 고속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하였음.
2. 소매가격동향 및 유통구조
□ 소매가격
○ joyncleon 오가닉면 영유아 의류 소매가격
○ Nature Colored 소매가격
○ green days 소매가격
○ Otao 소매가격
○ Beibeiyi 소매가격
□ 유통구조
○ 도매시장 유통구조
○ 소매시장 유통경로
3. 품질인증제도
□ 중국 유기농제품 품질인증제도
○ 2014년 4월 1일부터 정식으로 실시됨. 규정에 의하면 유기제품 인증 제도를 국가에서 통일적으로 추진하는데 인증목록, 표준과 실시규칙, 라벨 등을 통일함. 수입 유기제품 역시 중국의 유관 유기제품 법규와 중국 유기제품 국가표준에 부합해야 함. - 수입유기제품의 생산업체, 수입상 혹은 대리상은 국가 인증감독위원회에 유기제품인증을 신청 및 획득하여야 함. 중국유기인증 허가 없이는 누구도 제품이나 제품의 포장지 및 라벨에 “유기”, “Organic" 등 문구를 사용할 수 없고, 유기제품이라고 유도할 수 있는 문자 표현이나 도안도 사용할 수 없음.
○ 제출서류 - 인증위탁인의 경영자질 복사본(ex 합법적인 영업집조 부본, 조직기구코드, 토지사용권증명이나 계약서 등) - 인증위탁인과 유기생산, 가공, 경영 등에 대한 기본 내역 · 인증위탁인의 명칭, 주소, 연락방식; 인증위탁인이 직접적인 생산, 가공자가 아닐 경우 생산, 가공자의 명칭, 주소, 연락방식 · 생산시설 혹은 가공장소 상황 · 신청제품의 명칭, 종류 및 면적, 생산량, 수량, 가공수량 등을 포함한 생산규모; 동일한 생산시설 내에서 제품인증을 신청하지 않는 제품이나 비유기방식으로 생산하는 제품의 기본 내역 · 지난 3년 간의 유기 관련 생산과정(ex 식물에서 발생한 병해충, 잡초 예방치료와 사용된 투입물 및 수확 등과 관련한 농사활동에 대한 서술; 야생식물 채집정황에 대한 서술; 동물, 수산양식의 사육방법, 질병 예방치료, 사용된 투입물, 동물 운송과 도축 등 정황에 대한 서술) · 기타 인증의 신청 혹은 획득 내역 - 생산지(기지) 영역에 대한 묘사. 지리적 위치, 지역적 분포, 환충지대 및 생산기지 주위의 인접지역 사용정황 등을 포함; 가공장소 주변 환경에 대한 묘사, 공장 평면도, 공정흐름도 등 - 유기제품 생산, 가공기획. 생산, 가공환경의 적합성 평가, 가공 공정 및 흐름에 대한 설명 및 증명자료가 포함되어야 하고, 농약, 비료, 식품첨가제 등 투입물질의 관리제도, 품질보증, 라벨, 추적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며, 유기 생산가공 리스크 제어 조치 등이 포함되어야 함. - 당해년도 유기제품 생산 가공 계획, 전년도 판매량, 판매액과 주요 판매시장 등 - 행정감독관리부문 및 인증기관의 감독과 검사를 받아야 하고 제공한 자료가 사실에 부합해야 하며, 유기제품표준의 집행, 기술의 규범화를 보증하는 설명이 있어야함. - 유기 생산, 가공 관리시스템 자료 - 유기전환계획(적용 시) - 인증위탁인이 유기제품의 직접 생산, 가공자가 아닐 경우 인증위탁인과 유기제품 생산, 가공자가 체결한 서면계약서 복사본 - 기타 유관 자료
○ 유기제품 인증절차
○ 유기제품 인증기관 리스트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리보는 ‘SIAL China 2016'…중국 시장 들여다볼 최상의 플랫폼아시아 최대 식품 혁신 전시회…한국관 1위 규모…’건강한 K-푸드’ 선봬 (0) | 2016.03.22 |
---|---|
중국 요구르트 시장동향(2014.7) (0) | 2016.03.21 |
[마켓트렌드]700억 위안 규모 중국 커피 시장 용틀임연간 15~20% 고성장 (0) | 2016.03.07 |
대만 쌀과자 시장동향(2013.11) (0) | 2016.03.01 |
中, 한국 인스턴트 라면에 빠져들다 (0) | 2016.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