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중국 음식배달 앱 삼국시대! | ||||||||||||||||||||
---|---|---|---|---|---|---|---|---|---|---|---|---|---|---|---|---|---|---|---|---|---|
게시일 | 2016-01-11 | 국가 | 중국 | 작성자 | 이맹맹(칭다오무역관) | ||||||||||||||||
품목 | 품목코드 | ||||||||||||||||||||
중국 음식배달 앱 삼국시대! - BAT(바이두, 알리바바, 텅쉰)이 주도하는 음식배달 앱시장 - - 중국의 음식배달 O2O 시장규모 561억6600만 위안 -
□ 빠르게 성장 중인 중국의 ‘음식배달 앱’
○ 중국 음식배달 O2O 시장규모 561억6600만 위안 - 2015년 중국 음식배달 O2O 시장규모 561억6600만 위안, 음식배달 시장에 차지하는 점유율 21.9%로 전년 대비 7.1% 증가 - 2016년 음식배달 O2O 시장규모 746억1200만 위안, 음식배달 시장에 차지하는 점유율은 24.3%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중국의 음식배달 O2O 시장규모 및 점유율(2011~2016년) 자료원: BigData-Research
○ 음식배달 주문량 및 거래규모 빠르게 증가 - 2015년 제1분기 거래액 55억2800만 위안, 주문 규모 2억1150만 건 - 제2분기 거래액 80억3000만 위안, 거래규모 3억5060만 건 - 거래규모와 주문규모는 각각 전 분기 대비 65.8%, 45.3% 증가 * 이하 음식배달 앱: 제3자 기업이 설립한 음식배달 플랫폼(앱).
중국의 음식배달 앱의 거래 규모, 주문 규모(2015년 제1~2분기) 자료원: BigData-Research
□ 중국의 음식배달 O2O 시장에 형성된 경쟁구도
○ ‘메이퇀(美团)’, ‘어러머(饿了么)’ 1, 2위 - 2015년 중국 음식배달 앱 시장에서 텅쉰이 투자한 "메이퇀"(美团) 배달’의 시장점유율 1위(35.8%) - 알리바바가 투자한 "어러머"(饿了么)는 2위(34.2%) - 바이두 배달(百度外卖)은 3위(12.6%)
음식배달 앱 기업 점유율(2015년 제2분기) 자료원: BigData-Research
○ 1위 음식배달 앱-메이퇀 배달 사용자 수 466만1900명
중국에서 인기 있는 음식배달 앱과 사용자 수(2015년 제2분기) (단위: 만 명) 자료원: BigData-Research
□ 음식배달 앱 시장에 삼국시대 형성
○ 음식배달 앱 투자 관련 이슈
자료원: KOTRA 칭다오 무역관
□ 시사점
○ 거대한 성장 잠재력을 가진 중국의 음식배달 앱 산업 - 중국 소비자들, 배달하는 습관이 형성되고 있음. - 인터넷 기술이 배달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더 확대시킬 것으로 예상
○ 음식배달 앱 산업, 공급체인으로 발전 - 2015년 어러머(饿了么)는‘요차이(有菜: 채소 있어요)’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본 서비스는 중소 규모의 식당에 식재료를 공급하는 서비스임. 음식배달 앱은 단순배달에서 공급체인으로 발전하고 있음.
○ 음식배달 앱은 앞으로 다양한 서비스로 확대될 것 - 2014년부터 중국 음식배달 앱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수익이 발생하는 단계라기보다는 미래를 위한 자본 투자단계임. - 음식배달 앱 시장이 안정기에 이르면 의약품 배달, 과일 배달, 꽃 배달 등 다양한 서비스로 확대될 전망
○ 중국 진출 한국 요식업계의 기회 - 현지에 위치한 한국 음식 관련 기업들은 중국의 음식배달 앱을 활용해 시장을 확대할 필요 있음. - 관련 생활서비스 업체 또한 현지의 O2O 플랫폼을 주목해 O2O 플랫폼의 파생서비스를 활용해 합작할 파트너 등 시장 기회를 찾을 필요가 있음.
자료원: 网易, 中国经济网, 亿欧网, 华夏经纬网 및 KOTRA 칭다오 무역관 자료 종합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도 웰빙시대, 건강식품 불티 (0) | 2016.01.27 |
---|---|
인도네시아 아이스크림 시장의 달콤한 유혹 (0) | 2016.01.27 |
홍콩의 유제품 시장 현황과 전망은? (0) | 2016.01.27 |
(2015년 중국 소비시장 회고 ②편) 주요 소비재의 해외 브랜드 성적 (0) | 2015.12.17 |
2015년 중국 경제를 읽는 4대 정책 키워드 (0) | 2015.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