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 |
캐나다, 크래프트 비어 인기몰이 | |||
작성일 | ![]() |
2010-06-22 | 작성자 | ![]() |
황홍구 ( hhkoo@kotra.or.kr ) |
국가 | ![]() |
캐나다 | 비즈니스센터 | ![]() |
밴쿠버KBC |
캐나다, 크래프트 비어 인기몰이 중
□ 캐나다 수입맥주 시장
○ 캐나다 내 주류 시장에서 맥주는 판매량/액수 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최근, 와인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반면, 맥주시장은 상대적으로 성장세가 완화되는 경향을 보임. - 맥주시장의 2009/10년도 매출액은 8조8000억 달러로 2007/08년도에 비해 2.2% 성장 - 와인시장의 2009/10년도 매출액은 5조7000억 달러로 2007/08년도에 비해 46% 성장
○ 최근, 캐나다 산 맥주시장의 판매수치가 부진한 데 비해 수입맥주시장은 상대적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임.
○ 캐나다 수입맥주 시장 현황 - 2010년 기준으로 수입맥주는 캐나다 맥주시장의 13%를 차지함. - 총 61개 국가에서 수입 중 - 멕시코(23.9%), 네덜란드(22.3%), 미국(17%) 맥주가 수입맥주의 2/3을 차지하며 벨기에, 독일, 영국, 아일랜드, 브라질 맥주가 각각 4~7% 비율을 차지하며 덴마크, 체코 맥주가 그 뒤를 이음.
□ 캐나다 내 크래프트 비어의 인기몰이
○ 캐나다 내 주요 맥주 제조업체인 Labatt Brewing Co. Ltd., Molson Coors Canada and Sleeman Breweries Ltd는 전년 대비 1.3% 성장으로 매출이 부진했던 반면, 다양한 맛과 신선함, 그리고 새로움을 강조한 크래프트 비어(craft beer)가 인기를 끌며 부상함.
○ 크래프트 비어는 지난 한해 동안 23.8% 성장하며 880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함.
○ 크래프트 비어는 평소 맥주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연령층(20~34세)에 특히 인기 있음.
○ 크래프트 비어의 특징 - Small (소규모 생산) : 매년 2만 배럴 미만으로 소량 생산 - Independent (독립경영) : 크래프트 비어의 3/4 정도는 생산자가 판매도 겸함. - New (새로운 맛) : 맥주에 들어가는 기본 재료 외 베리, 향 등 부가 재료를 첨가해 새로운 맛을 창출
○ 자체 생산의 소규모 경영방식은 최근 다양함과 새로움을 찾는 소비시장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운영방식의 강점임.
○ 특징 있는 맛과 함께 신선한 감각의 포장도 마케팅 성공의 주요 요소로 꼽힘
크래프트 비어 제조광경 및 병 모양 자료원 : craftbeer.com
○ 미국산 크래프트 비어는, 지리적 근접성으로 신선함을 유지하며 캐나다 내 인기몰이 중
○ 크래프트 비어 산업이 일찍 발달한 미국과는 달리 캐나다에서는 최근 10년 사이에 성장세 - 미국보다 성장 속도가 느린 데는 캐나다 맥주시장이 빅 3인, Labatt Blue, Molson Coors, Sleeman Breweries에 많이 좌우되며, 각 주마다 상이한 유통구조와 소수의 디스트리뷰터가 독점하는 구조 때문임.
□ 캐나다 내 맥주 유통경로
캐나다 내 수입맥주 유통경로 자료원 : USDA – FAS and Canadian Association of Importers and Exporters
○ The Liquor Control Board - 모든 수입 주류가 거쳐야 하는 캐나다 첫 수출 관문으로 캐나다에서 법적으로 승인된 수입유통 경로로는 유일하며 주별로 하나의 지점에 설치됨. - 맥주를 비롯한 모든 수입주류는 이곳을 거쳐서 product agents에게 넘겨짐.
○ Product Agent - 캐나다 내 원활한 마케팅과 유통을 위해 거쳐야 할 관문임. - 캐나다로 수출하는 해외 맥주 회사들은, Liquor Control Board 와 Product Agent, 두 곳의 허가를 받아야 함.
○ Retailers/Grocery Store - 캐나다 소매점들은 각주의 소수의 주요 디스트리뷰터를 통해서 모든 주류 제품을 공급받음.
□ 캐나다 내 지역별 주요 디스트리뷰터와 크래프트 비어
○ ontario주는 캐나다 독점적인 맥주산업 시장과 디스트리뷰터의 영향으로, 다른 주와 달리 제한이 많음. - 주 배급원인 Liquor Control Board of ontario(LOCB)나 The Beer Store를 통해 배급하기도 한기도 하고, 위에서 말한, Product Agent에서 식당이나 바를 통해 유통하기도 함. - 비교적 빨리 크래프트 비어 산업이 부상한 온타리오주에는 영리단체인 온타리오 크래프트 비어 협회(Craft Beer Association/Craft Beer ontario : CBO)가 있음. - CBO는 LOCB과 파트너 관계로, LOCB를 통해 CBO가 맥주를 유통하기도 함. - CBO는 맥주 제조업자의 권리 보호, 마케팅, 유통 등을 지원함. - 현재 크래프트 비어 제조업체 30개가 CBO에 등록돼 있음. CBO는 160개 크래프트 비어를 마케팅함. - CBO는 맛, 포장 등 스타일에 관해 규정함.
○ British Columbia(BC)주 - 주 디스트리뷰터인 BC liquor distribution Branch (BCLDB) 통해 주로 배급되는 상황 - 온타리오주과 구별되게, 비씨주에는 주요 공급원만이 아니라 비영리 비씨주 크래프트협회(Craft Brewers of BC)가 마케팅이나 비즈니스 간 협업을 도모함. 맥주 제조와 관련된 특정한 규제는 없음. - 지리적인 여건과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온타리오보다 유연하다는 점에서 미국 수입 크래프트 시장이 더 빨리 성장함.
□ 시사점
○ 캐나다 소비자들은 값이 비싸도 고급스럽고, 신선한 맛의 주류를 선호함.
○ 캐나다 수출 시 주별로 상이한 유통구조를 파악해야 함.
○ 양질의 음료를 선호하는 캐나다 맥주시장을 주시할 필요 있음.
○ 지리적으로 가까운 미국이 가진 장점인 신선함을 유지하는 방법이 힘든 우리나라 주류사는 운반이나 포장 등 차별성을 부각시키는 것이 좋음.
자료원 : Business in Vancouver, USDA, craftbeer.com, 코트라 밴쿠버KBC |
'미국, 캐나다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목 美, 식료품 시장의 뜨는 3대 트렌드 (0) | 2010.08.15 |
---|---|
제목 캐나다, non-GMO에도 GMO가 있다 (0) | 2010.08.15 |
제목 美 Apple社, 하얀 사과의 성공파워 배워보자 (0) | 2010.08.15 |
미국 제과 건강·웰빙 제품으로 재편 (0) | 2010.08.11 |
제목 美, 불황과 웰빙이 만나 뜨는 시장 (0) | 2010.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