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영 특집]CJ-제빵·다시다 中 진출 한국의 식문화 전파 | |||
입력: 2008년 04월 27일 17:17:37 | |||
“세계화의 성공여부는 국내 본사와 해외사업장의 글로벌 경영역량 향상과 현지의 글로벌 인재 확보와 육성에 달려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분야는 외국으로의 진출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공산품처럼 더 우수한 성능이라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고 현지인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키기가 쉽지 않아서다. 이 때문에 식품 분야의 해외 진출은 식문화의 전파라는 의의를 갖는다. CJ는 우선 외국인의 입맛에 가장 맞추기 쉬운 제빵 프랜차이즈인 뚜레쥬르를 미국에 진출시켰다. 2005년 신선 식품 분야의 교두보 확보를 위해 애니천을 인수한 데 이어 2006년 11월에는 냉동 식품 분야 회사인 옴니를 인수, 기존 교포층에 한정됐던 소비계층을 현지인으로 확대했다. 중국 시장 진출은 더 적극적이다. 이미 다시다, 시젠, 뚜레쥬르 등의 브랜드가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뚜레쥬르의 경우 올해 생지(굽기 전단계인 반죽 상태) 공장을 중국에 준공하고 3~4개 점포를 늘리는 등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신규로 해외로 진출하는 사업분야도 있다. CJ 신유통 사업 부문의 핵심인 CJ GLS는 지난해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 국내 업체인 HTH를 인수한 데 이어 싱가포르의 어코드를 인수, CJ GLS 아시아를 출범시켰다. 이는 어코드가 가진 세계 10개국의 물류 유통 기반을 흡수, 국제적인 물류 업체로 성장하기 위한 사전 포석으로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부분이다. < 권재현기자> |
'업계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태제과, 아이스크림 프랜차이즈 진출 (0) | 2008.04.30 |
---|---|
롯데 百, "고객이 원하는 메뉴 개발 힘쓸것" (0) | 2008.04.27 |
[글로벌 경영 특집]진로-참이슬·진로소주 50여개국에 (0) | 2008.04.27 |
1~9회차 '소비자 생생평가 파워브랜드' 다시보기 (0) | 2008.04.27 |
[유통업계 PB] PB 없이 성장 없다 … 유통업계 `PB는 내 운명" (0) | 2008.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