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초 경차 모닝 판매 급증으로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던 기아자동차 경영진은 최근 계속되는 원화 약세에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1달러당 900원으로 예상한 환율은 최근 장중 980원까지 치솟았다. 그만큼 수출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고, 원화 표시 매출액도 5% 이상 증가하게 된다. 지난해 적자를 기록한 경영 실적도 호전이 예상되고 있다. 기아차 고위관계자는 "수출이 전체 매출의 75%에 이르는 기아차로서는 가뭄에 단비가 온 격"이라며 "엔화 강세로 일본차의 가격 경쟁력까지 약해져 '기쁨 두배'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환율 급등(원화가치 하락)으로 물가에 비상이 걸렸지만, 국내 주력업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수출업계는 반색을 하고 있다.
자동차·전자·섬유 업종 등 수출 업종은 2005년 말 이후 3년 동안 계속된 원화 강세로 마른 수건도 짜내는 원가절감으로 고통을 겪었지만, 이제는 '환율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지난 3년간 원화 강세로 웃었던 에너지·화학·항공업계 등은 수익률 급락의 우려 속에 신음하고 있다.
1달러당 900원으로 예상한 환율은 최근 장중 980원까지 치솟았다. 그만큼 수출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고, 원화 표시 매출액도 5% 이상 증가하게 된다. 지난해 적자를 기록한 경영 실적도 호전이 예상되고 있다. 기아차 고위관계자는 "수출이 전체 매출의 75%에 이르는 기아차로서는 가뭄에 단비가 온 격"이라며 "엔화 강세로 일본차의 가격 경쟁력까지 약해져 '기쁨 두배'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환율 급등(원화가치 하락)으로 물가에 비상이 걸렸지만, 국내 주력업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수출업계는 반색을 하고 있다.
자동차·전자·섬유 업종 등 수출 업종은 2005년 말 이후 3년 동안 계속된 원화 강세로 마른 수건도 짜내는 원가절감으로 고통을 겪었지만, 이제는 '환율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지난 3년간 원화 강세로 웃었던 에너지·화학·항공업계 등은 수익률 급락의 우려 속에 신음하고 있다.
삼성·현대차·LG그룹 등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주요기업은 올해 환율 급등으로 적잖은 이익을 기대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환율이 10원 오르면 영업이익이 3000억원 가량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연평균 환율이 연초 예상한 달러당 900원이 아니라 950~960원 선이 된다면 이익이 1조5000억~1조8000억원 늘어나는 것이다. 현대차는 10원당 2000억원, LG전자는 700억원의 이익 증가를 예상하고 있다.
종합가공식품회사인 동원F&B의 신기택 팀장은 "올해 원·달러 환율 상승 덕에 매출이 7%이상 늘었다"며 "작년엔 이익을 내지 못해 우리 수출부서에 대해 존폐 얘기까지 나왔는데 지금은 정반대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LG경제연구원은 지난 11일 열린 LG그룹 경영진 세미나에서 "2002년부터 시작된 원화강세가 올해를 기점으로 약세로 전환하면서, 2012년까지 원화 약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환율 효과가 상당히 반감되는 업종도 있다. 고질적인 후판 공급난에다 가격 급등에도 시달리는 조선업종이 대표적인 예다. 무역협회 신승관 지역연구팀장은 "아직 환율이 급락할 가능성이 있는 등 불안한 상황이지만 지난해 적자수출로 발을 구르던 수출업체들에 숨통은 트였다"고 말했다.
◆신음하는 수입업계
반면, 내수의존도가 높고 원·부자재를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업종은 '비상등'이 커졌다. 대한항공은 원화가치가 10원 하락할 때 약 220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목표 환율을 920원대에 설정했기 때문에 자칫하면 연간 1300억원의 손실을 볼 판이다. 목표환율을 910원으로 잡았던 아시아나항공 역시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고유가에 환율까지 올라 '엎친 데 덮친 격'"이라고 말했다.
석유화학·에너지·철강·급속 업종 등도 원자재 구입 비용 증가로 애를 먹고 있다. 연간 400만t의 나프타를 수입하는 삼성토탈의 경우 환율이 10원 상승할 때마다, 연간 364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입력 : 2008.03.12 22:12
'식품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료업체 줄줄이 고급 식당 여는 이유 (0) | 2008.03.15 |
---|---|
강원 고성 해양심층수 육상플랜트 착공 (0) | 2008.03.13 |
죽음의 밥상 강요하는 현실이 두렵다 (0) | 2008.03.13 |
국내 식품업체, 해외서도 가격인상 '압박' (0) | 2008.03.12 |
입맛은 밀ㆍ옥수수 찾는데… 자급률 1% 미만 (0) | 2008.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