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태국 인스턴트 면류 시장 동향

곡산 2025. 5. 15. 07:35
태국 인스턴트 면류 시장 동향
  • 상품DB
  • 태국
  • 방콕무역관 김지현
  • 2025-05-14
  • 출처 : KOTRA

 

2024년 기준 태국의 총 라면 소비량은 40억 8000만 인분으로 세계 9위를 기록, 태국인 1인당 연간 라면 소비량은 57개로 베트남, 한국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소비량을 기록

태국의 인스턴트 면류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약 217억 바트(약 9254억 원)를 기록, 연평균 3.2%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9년에는 254억 바트(약 1조 835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

태국 인스턴트 면류 시장은 마마(Mama), 와이와이(Wai Wai), 얌얌(Yum Yum) 등 3개 주요 브랜드가 전체 시장의 약 87%를 점유

상품명 및 HS코드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목명
1902 파스타(생면 또는 조리된 것, 고기나 다른 재료로 채워진 것 또는 기타 방법으로 조리된 것)例如 스파게티, 마카로니, 면, 라자냐, 니옥키, 라비올리, 카넬로니; 쿠스쿠스(조리 여부와 관계없이)
Pasta, whether or not cooked or stuffed (with meat or other substances) or otherwise prepared, such as spaghetti, macaroni, noodles, lasagne, gnocchi, ravioli, cannelloni; couscous, whether or not prepared.
1902.30 기타 파스타
Other pasta

[자료: 태국 관세청(Thai Customs)]

 

시장동향

 

세계라면협회(WINA)에 따르면, 2024년 태국의 인스턴트 면류(라면)소비량은 40억 8000만 인분으로 세계 9위를 기록했다. 태국인 1인당 연간 인스턴트 면류 소비량은 약 57개로 베트남(80개), 한국(79개)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소비량을 기록했다. 태국인은 매운맛과 신맛을 선호하며, 향신료와 허브가 조화를 이루는 강한 풍미의 요리를 즐긴다. 대표적인 라면 맛으로는 똠얌(Tom Yum), 수끼(Suki), 바질(Basil) 향이 포함된 돼지고기 맛이 있다.

 

<2020~2024년 태국 인스턴트 면류 소비량>

(단위: 백만 인분, %)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소비량 3,713 3,630 3,866 3,952 4,080
증감률 4.0 -2.2 6.5 2.2 3.2

[자료: 세계라면협회(WINA)]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태국의 인스턴트 면류(라면) 시장 규모는 2019년 이후 연평균 4.8%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4년 기준 약 217억 바트(약 9254억 원)를 기록했으며, 2024년부터 연평균 3.2%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9년에는 254억 바트(약 1조 835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0~2024년 태국 인스턴트 면류 판매 규모 동향>

(단위: 백만 바트, %)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수입 동향

 

조사기관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태국의 인스턴트 면류(HS Code 1902.30) 수입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4년 수입액은 전년 대비 22.3% 증가한 572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은 2017년 이후 매년 70% 이상의 점유율로 태국의 최대 수입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2024년 기준 한국 인스턴트 면류 수입액은 전년 대비 19.9% 증가한 4300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약 75%를 차지했다.

 

<2020~2024년 태국 인스턴트 면류(HS Code 1902.30)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2023 2024 증감률
('23/'24)
 


전체 36,436 41,659 42,759 46,760 57,204 22.3

1 한국 28,594 32,427 34,223 35,881 43,002 19.9

2 중국 1,467 2,169 2,100 3,646 6,080 66.7

3 일본 2,086 2,844 2,275 2,419 2,536 4.9

4 인도네시아 714 1,022 636 545 1,930 254.4

5 말레이시아 1,294 662 1,073 1,337 1,298 -2.9

6 튀르키예
385 542 806 829 857 3.3

7 베트남 613 379 690 712 631 -11.4

8 이탈리아 652 1,224 536 794 480 -39.5

9 홍콩 177 173 172 195 186 -4.3

10 미국 39 36 21 105 84 -19.5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05.08.)]

 

 

 

유통구조

 

조사기관 Krungsri Research에 따르면, 태국 인스턴트 면류 시장은 마마(Mama), 와이와이(Wai Wai), 얌얌(Yum Yum) 등 3개 주요 브랜드가 전체 시장의 약 87%를 점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THAI PRESIDENT FOODS PCL의 마마(Mama)는 약 48%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선두를 차지하고 있으며, Mama 브랜드명이 '라면'을 의미하는 단어처럼 통용될 만큼 대중적인 인지도를 갖고 있다. 태국 인스턴트 면류 시장은 이들 주요 브랜드 간의 경쟁 속에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프리미엄 제품과 건강을 중시한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다.

 

<태국 인스턴트 면류 시장 주요 브랜드 점유율>

(단위: %)

[자료: Krungsri Research]

 

한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방콕지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한국 식품은 한인 바이어를 통해 대형 유통업체(Lotus, Big C, Makro, Tops, Gourmet Market 등), 편의점, 소규모 식료품점 순으로 유통되며, 일부 제품은 Lazada, Shopee 등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라면을 포함한 식품 유통 경로>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KOTRA 방콕 무역관 정리]

 

<태국 식품 유통채널별 규모(오프라인 기준)>

(단위: 백만 바트, %)

구분 2022 2023 2024 증감률
('23/'24)
전문 판매점 483,826
(28.8)
509,278
(29.0)
523,591
(28.9)
2.8
편의점 405,999
(24.2)
428,052
(24.4)
441,503
(24.3)
3.1
소규모 식료품점 378,622
(22.5)
396,516
(22.6)
418,125
(23.0)
5.4
슈퍼마켓 202,401
(12.1)
205,635
(11.7)
211,912
(11.7)
3.1
하이퍼마켓 138,640
(8.3)
140,997
(8.0)
143,535
(7.9)
1.8
포코트리테일러 69,552
(4.1)
73,679
(4.2)
75,913
(4.2)
3.0
전체 1,679,040
(100.0)
1,754,157
(100.0)
1,814,578
(100.0)
3.4

주: 전문 판매점-식품·주류·담배만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매장, 포코트리테일러-주유소 내 위치한 소규모 매점

주: 괄호 안 규모 점유율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경쟁동향

 

태국 인스턴트 면류 시장은 마마(Mama), 와이와이(Wai Wai), 얌얌(Yum Yum) 등 3개 주요 로컬 브랜드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들 브랜드가 전체 시장의 약 87%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마마는 태국 최대 식품기업인 Thai President Foods의 대표 브랜드로, 약 48%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태국 내 라면 브랜드>

1.    THAI PRESIDENT FOODS PUBLIC COMPAN

 

한국 브랜드들은 태국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지 않았지만, 현지 수입 및 유통업체를 통해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삼양, 팔도, 농심 등의 제품은 Lotus, Big C, Gourmet Market, Tops, 7-Eleven 등 주요 오프라인 유통망은 물론 Shopee와 Lazada 같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폭넓게 판매되고 있다.

 

<태국 마트 내 판매중인 한국 수입 라면 모습>



[자료: KOTRA 방콕 무역관 촬영]

 

관세율 및 인증

 

인스턴트 면류의 일반 세율은 30%이지만 한-아세안 FTA 협정세율 또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통해 수입 시 면제되며, 수입 전 태국 식약청(FDA)으로부터 수입허가를 받고 제품을 등록해야 한다. 

 

<태국 인스턴트 면류(HS 1902.30) 수입관세>

HS 코드 1902.30
품목명(한글) 그 밖의 파스타
품목명(영문) Other pasta
수입관세 - 일반 세율: 30%
- 한-아세안 FTA 협정세율: 면제

- RCEP 협정세율: 면제 (원산지 증명서 제출 필요)
부가가치세 7%

[자료: 태국 관세청 통합관세조회 시스템]

 

태국은 1979년 제정된 식품법(The Food Act B.E. 2522)에 따라, 대부분의 수입 식품에 대해 태국 식약청(FDA)을 통한 식품 등록 및 수입허가 절차를 밟도록 규정하고 있다. 태국 FDA는 식품을 ① 구체적 통제 식품 ② 표준 식품 ③ 라벨 부착 식품 ④ 기타 일반 식품의 4가지로 분류하며, 일반적으로 인스턴트 면류는 ‘표준 식품’으로 분류된다. 이에 따라 수입업체는 제품 등록 신청서, 수입허가서 사본, 제조시설 증명서, 라벨 샘플, 시험 성적서 등을 제출해야 한다.

 

<태국식약청(FDA)의 인스턴트 면류 인증 절차도>

 

[자료: KOTRA 방콕 무역관]

 

시사점

 

태국 인스턴트 면류 시장은 연평균 3%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높은 소비량과 꾸준한 성장세를 기반으로 유망한 소비재 시장으로 평가된다. 한국산 라면은 수입 시장에서 75%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삼양의 불닭볶음면을 중심으로 한 매운맛 라면의 인기가 태국인의 입맛과 부합하면서 한국 제품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 식품 기업들은 태국에 현지 법인을 두지 않고도, 신뢰할 수 있는 수입·유통 파트너를 통해 대형마트, 편의점, 온라인몰 등 다양한 유통채널에서 제품을 성공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향후 프리미엄, 건강지향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비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한편, 태국 식약청(FDA)의 식품 등록, 수입허가, 원산지 증명 등 통관 요건에 대한 사전 대응이 필수적이다. 이는 가격 경쟁력 확보와 유통 채널 진입의 핵심 요건이자, 중장기적 시장 안착을 위한 기반 전략이 될 수 있다.

 

THAIFEX–Anuga Asia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식품 및 식음료 전문 전시회로, 2025년에는 5월 27일부터 31일까지 태국 방콕 IMPACT 전시장에서 개최된다. 이 행사는 독일 쾰른메쎄(Koelnmesse), 태국 상무부, 태국 상공회의소가 공동 주최하며, 식품·음료를 비롯해 식품기술, 포장,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가 전시된다. 특히 인스턴트 면류와 간편식 등 가공식품도 주요 품목으로 포함되어 있어 관련 기업과 바이어 간 활발한 비즈니스 상담이 이루어진다. 

 

<THAIFEX – Anuga Asia 2025 개요>

행사명 THAIFEX – Anuga Asia 2025
개최기간 2025년 5월 27~31일(5일간)
개최장소 IMPACT MUANG THONG THANI
전시품목 음료수, 식품 기술, 냉동식품, 해산물, 제과류, 프랜차이즈, 케이터링 등
개최규모 전시업체: 약 50개국 3,000개사 (예상)
방문객: 약 8만 5000여 명 (예상)

[자료: THAIFEX – Anuga Asia]

 

 

자료: Thai Customs , World Instant Noodles Association,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Krungsri Research, Department of Business Development, THAIFEX – Anuga Asia,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KOTRA 방콕 무역관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