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현 기자
- 승인 2025.02.10 09:41
올해 상품·물류 근원적 경쟁력 제고 및 신시장 창출 가속화, PB 등 비중 늘려
CJ프레시웨이는 작년 매출 3조2248억 원, 영업이익 94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4.9%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고물가, 고금리 등 내수 경기 부진과 소비 심리 위축 영향으로 5.3% 감소했다.
식자재 유통사업 매출은 2조3931억 원을 달성했다. 급식시설 대상 식자재 매출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 복지·요양시설 등 공급처와 물량이 동시에 늘어났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외식업체 대상 식자재 매출은 노모어피자, 세광양대창, 슬로우캘리 등 대형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을 수주하며 견고한 실적을 유지했다.
푸드 서비스(단체급식) 매출도 7781억 원을 달성했다. 오피스, 산업체 등 구내식당 수요가 커지면서 관련 매출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고객 취향에 따라 테이크아웃 코너, 사내 카페 등 부가 서비스 매출도 올랐다. 스타 셰프 초청, 영화·드라마 IP 활용 이벤트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으로 고객 만족도와 수주 경쟁력을 높였다.
제조사업 매출은 536억 원이다. 자회사 ‘프레시플러스’는 식품 및 유통기업에 소스, 시즈닝 등 여러 식자재들을 공급하고, R&D센터는 고객 맞춤형 상품을 개발하는 등 사업 안정화에 힘썼다. 작년에는 소스 전문 공장(충북 음성 소재)이 본격적인 가동에 돌입하기도.
CJ프레시웨이는 올해 수익성 강화를 위해 상품·물류 등 근원적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신시장 창출 가속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PB 등 차별화 상품 비중을 늘리고, 세분화된 고객 니즈에 따라 물류 서비스를 다각화하는 등 사업 역량을 한층 고도화한다. 아울러 외부 플랫폼 연계 통한 고객 접점 극대화, 급식시장 세분화 및 신경로 개척 등에도 박차를 가한다.
임성철 CJ프레시웨이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수익성 중심의 내실경영 전략을 펼치고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한편 재무구조 개선 등 펀더멘탈 강화에도 힘써 시장 산업화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식품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 명절, 농식품 원산지 표시 위반 396개소 적발 (0) | 2025.02.11 |
---|---|
삼양식품, 日 시장에 ‘맵(MEP)’ 출격…국물라면시장 공략 (0) | 2025.02.11 |
롯데칠성, 연매출 '4조 클럽' 입성…수익성은 축소 (0) | 2025.02.10 |
[화제의상품] 과자로 한 끼 식사 해결? 롯데웰푸드, 영양 강화 제과 혁신 브랜드 '컴포트잇츠이너프' (0) | 2025.02.09 |
‘저속노화’ 열풍에 고단백·저당·저콜레스테롤 식품 주목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