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즉석밥 1개' 분량…韓 쌀 소비량 '역대 최저'
1인당 연간 소비량 55.8kg, 전년比 1.1%↓
1994년 소비량인 ‘108.3kg’의 절반 수준
K푸드 수출영향에 가공용쌀 소비량 6.9%↑
[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지난해 1인당 하루 쌀 소비량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서구식 식단과 외식·배달문화 확산으로 집밥을 먹는 이들이 줄어든 영향이다. 다만 일명 ‘K-푸드’ 확산으로 떡이나 즉석밥·곡물가공품 등 제조업 부문에서의 쌀 소비량은 큰 폭 증가했다.
![](https://blog.kakaocdn.net/dn/k5OZc/btsL3ABoeux/RxuaQFTAMBPvX7uzmSXAy1/img.jpg)
(사진=연합뉴스)
1인당 하루 소비량으로 환산하면 152.9g이다. 전년대비 1.7g 줄었다. 쌀을 밥으로 지었을 때 수분량을 포함해 두 배 정도 불어난다는 점을 감안하면 하루에 즉석밥(300g 기준) 1개의 양만큼만 먹는 셈이다. 연도별로는 1964년 329.3g이던 쌀 소비량은 2010년 199.6g으로 200g 아래로 떨어졌고 2020년 들어서는 150g대로 진입해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집밥용 쌀 소비량은 줄어든 반면 제조업(식료품 및 음료) 부문의 쌀 소비량은 늘었다. 작년 기준 87만 3363t으로 전년대비 6.9% 증가했다. 식료품 제조업 쌀 소비량은 58만 4612톤(t)으로 4.8%(2만 6548t), 음료제조업은 28만 8751t으로 11.5%(2만 9694t) 각각 증가했다.
쌀 소비량이 많은 업종(구성비)은 주정 제조업(26.2%), 떡류 제조업(22.9%), 기타 식사용 가공처리 조리식품(18.6%), 기타 곡물가공품 제조업(10.0%) 순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K푸드 수출 영향 등으로 즉석밥, 냉동 볶음밥 등 쌀을 원재료로 한 가공 처리된 식품이 많이 팔리면서 관련 쌀 소비량이 늘었다”고 말했다.
한편 쌀 이외의 기타 양곡인 보리쌀·밀가루·잡곡류(좁쌀·메밀·율무 등)·두류(콩·팝·땅콩 등)·서류 등의 연간 소비량은 8.6kg으로 전년대비 4.9kg 증가했다. 쌀을 포함한 전체 양곡소비량 중에서 기타 양곡 소비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13.3%로 전년대비 0.7%p(포인트) 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bwYZMx/btsL3RbXlpE/pwxRglQE8fDnF40kZgtv8K/img.jpg)
강신우
'식품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날 떡국 잘 안 먹어요!"… 쌀 소비량 30년 새 반토막 (0) | 2025.02.01 |
---|---|
편의점 도시락·즉석밥도 저속노화가 대세…‘맵단짠’ 그만 드세요 (0) | 2025.02.01 |
‘GMO 완전표시제’ 이번엔 국회 통과하나 (0) | 2025.01.31 |
아는 맛의 귀환… 단종식품 재출시의 속사정 (2) | 2025.01.28 |
K푸드 인기에 ‘3조 클럽’ 식품기업 11곳… 오리온·풀무원도 가세 (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