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질미 활용한 쌀 가공산업 활성화, 과연 가능할까?
‘쌀 소비확대’ ‘식량안보 강화’ 의지…‘가공적성 한계’ 극복해야
밥쌀 수요줄고 가공용은 늘어
소비성향 변화 반영 과잉 해소
재배안정성 미확립 등은 불안
![](https://blog.kakaocdn.net/dn/u4WC0/btrGARBm1K4/WDVXcOKKy49ei6kycNfVSK/img.jpg)
정부가 내놓은 ‘분질미(가루용 쌀)를 활용한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은 쌀 소비성향 변화에 주목해 쌀산업의 해법을 찾겠다는 의지의 산물로 풀이된다. 또 제2 주식인 밀의 일부를 가공전용 쌀 종류인 분질미로 대체함으로써 식량안보 위협 파고를 넘어서겠다는 뜻도 담긴 것으로 평가된다.
◆왜 나왔나=쌀은 구조적 공급과잉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재배면적이 줄고는 있지만 소비량이 더 빠르게 감소하면서 애써 생산한 쌀이 갈 곳을 찾지 못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12∼2021년 벼 재배면적은 연평균 1.5% 감소했다. 하지만 이 기간 1인당 쌀 소비량은 연평균 2.2%씩 낮아졌다. 소비성향도 급변한다. 밥쌀 수요는 뚝뚝 떨어지는 데 반해 가공식품 원료로서의 지위는 커진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쌀 수요량 대비 식품가공용 쌀 수요는 7.7%에서 12.4%로 늘었다.
밀 공급망 상황이 여의치 않은 것도 한몫했다. 밀은 쌀 다음으로 우리 국민이 많이 먹는 곡물이다. 쌀을 한해 360만t가량 섭취한다면 밀은 200만t 안팎을 먹는다. 하지만 자급이 되는 쌀과 달리 밀은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한다. 밀 자급률은 2020년 기준 0.8%다. 최근엔 대외 불안 요인이 커지면서 밀가루 확보가 국가 과제가 됐다. 1일 기준 국제 밀가격은 1t당 383달러로 평년과 견줘 104.6%, 지난해보다는 56.1% 상승했다.
◆주요 내용은=분질미는 가공용으로 개발된 쌀이다. 앞서 농촌진흥청은 <수원542> <바로미2> <아로마티> <삼광(SA)-FLO3> 등 분질미 품종 4종을 개발했다. 일반 쌀과 달리 전분구조가 밀처럼 둥글고 성근 게 특징이다. 껍질을 벗기는 순간 가루로 부서져 건식 제분이 가능하다. 오랜 시간 물에 불렸다가 빻는 습식 제분은 1㎏당 600∼950원이 들지만 건식 제분은 300∼500원이면 된다.
작부체계상 이점도 있다. 늦모내기 재배에 특화돼 남부지역에서 밀 등 동계작물과 이모작이 가능하다. 일반 쌀은 주로 5월 중순∼6월 중순 모내기를 하지만 분질미는 6월 하순이 이앙 적기다. 6월 중순 밀 수확 후 심으면 안성맞춤이다.
농식품부는 이러한 분질미 특성에 주목해 재배면적·생산량을 크게 늘려 밀가루를 일정부분 대체하겠다는 구상이다. 올해는 기존 ‘쌀가루용 품종 생산협의체’ 농가 중심으로 재배면적을 지난해 25㏊에서 100㏊로 늘린다. 이어 2023년부터는 공익직불제를 활용해 농가 참여를 유도, 2026년 4만2105㏊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조성 중인 밀 전문생산단지 51곳을 활용하고, ‘전략작물직불금’을 선택직불제의 하나로 신설해 분질미를 심으면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유통·소비 부문에도 주력한다. 농가가 매년 3∼5월 정부와 계약한 뒤 생산에 들어간 분질미가 수확되면 공공비축미로 우선 매입하고, 이를 실수요업체에 전속 공급한다. 단기적으론 분질 쌀가루 특성 평가·연구를, 장기적으론 제분·저장 기술 개발과 시설 지원을 확대한다.
◆과제는=농식품부는 이를 통해 쌀 가공산업 시장 규모가 2021년 7조3000억원에서 2027년 10조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본다.
식량안보에 한발짝 더 다가갈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내비친다. 식량자급률은 2020년 45.8%에서 2027년 52.5%로, 밀 자급률은 0.8%에서 7.9%로 각각 개선된다는 것이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밥쌀 수급이 2027년엔 균형을 이루면서 쌀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밀·콩 등 식량자급 기반을 확충하는 재원으로 돌릴 수 있다”고 했다.
과제도 만만치 않다. 업계에선 높은 가격과 가공적성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과거 숱한 실패사례를 답습하는 것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건식 제분 비용이 낮다고는 하지만 밀 대량 제분(1㎏당 150원)보다는 2∼3배 높다. 수발아·병해충 등 재배안정성이 확립되지 않은 것도 불안요인이다. 가공용으로 개발한 쌀 품종 <보람찬> 일부가 밥쌀용으로 재배되면서 수급불안을 더욱 악화시켰다는 비판도 새겨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소영 기자
'식품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과-푸드 통합 법인 ‘롯데제과’ 글로벌 기업 우뚝 (0) | 2022.07.10 |
---|---|
[Issue+] 구조화되는 쌀 공급과잉과 가격 폭락, 근본 대책은 (0) | 2022.07.06 |
풀무원, 식물성 대체육 및 AI 활용 식품 개발 스타트업 발굴 (0) | 2022.07.03 |
개구리는 왜 열무김치에 빠졌을까.."친환경도 '아차' 하면 비위생 된다" (0) | 2022.07.03 |
상반기 식품업계 화두는 ‘식물성 원료’ (0) | 202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