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요식업 프랜차이즈시장 살펴보기
- 상트페테르부르크 내부는 요식업 프랜차이즈 열풍 -
- 같은 회사 다른 브랜드로 차별화 전략을 취하는 프랜차이즈 업계 -
□ 러시아 프랜차이즈 시장 규모
ㅇ 러시아 요식업 프랜차이즈 시장 급성장
- 러시아 요식업 프랜차이즈 체인점 매출이 약 29% 상승하고, 점포 수는 16%가 증가했으며, 현재 소수의 러시아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프랜차이즈 사업을 독점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상황임.
- 이러한 프랜차이즈 시장은 서민들의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매우 저렴한 식당으로부터 캐주얼한 식당, 고급 식당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쳐서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가격대로 여러 고객층들을 타깃으로 적극적으로 영업하고 있음.
ㅇ 경제위기 및 제재로 인한 식료품 상승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구매력이 상승
- 2016년 러시아 식품 가격의 상승률이 12.6%에 달하는 등 물가 불안이 지속됐고, 유럽발 제재로 인해 유럽산 농식품의 수입이 금지되는 어려운 상황이 계속돼 비싼 고급 식당보다 패스트푸드 업계의 발전이 두드러짐.
- 특히, 이러한 구매력 확대는 패스트푸드 및 커피숍 업종에서 그 상승세가 두드러졌는데, 2016년에는 전년 동기대비 패스트푸드 및 커피숍 이용객이 약 3~4% 늘어나는 등 호조를 보임.
2015년 대비 2016년 각종 프랜차이즈 방문자 수 증감 현황
□ 러시아 요식업 프랜차이즈, 대부분 모스크바와 페테르부르크에 집중
ㅇ 러시아 전체 인구의 12%가 모스크바(1297만 명) 및 상트 페테르부르크(519만 명) 에 거주
- 이로 인해 이 두 도시가 러시아 전체 요식업 시장 규모의 각각 41%, 15%를 차지하고, 이로 인해 각종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도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중심으로 외연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
- 가장 빠르게 발전하는 요식업 프랜차이즈 분야 중 하나는 패스트푸드(햄버거 등)이고, 특히 구매력있는 러시아 젊은 층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설문조사에 따르면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이용 고객의 54%가 월 평균 수입이 3만 루블 이상인 18~34세 직장인인 것으로 나타남.
ㅇ 최근 러시아 경제 상황에도 요식업종은 러시아에서 가장 '핫'한 창업 아이템 중 하나
- 평균적인 가처분 소득 수준의 감소와 구매력 감소로 인해 고급 레스토랑의 수요가 패스트 푸드 쪽으로 이전되는 현상을 보이고, 이에 따른 관련 프랜차이즈 업계도 성장하고 있음.
- 이러한 패스트푸드의 인기에도 한편 '건강한 패스트푸드'를 찾는 소비자들도 증가하고 있어 패스트푸드 업계에서도 다양한 메뉴 개발을 통해 이러한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러시아의 주요 외식업 프랜차이즈
ㅇ Ginza Project
- 상트페테르부르크 내 식당으로 시작해 현재 모스크바, 뉴욕, 런던 등에 100개 이상에 레스토랑을 오픈한 대형 프랜차이즈 업계로 성장함.
- 양식, 일식, 러시아식 등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고 있으며, 각각의 레스토랑의 콘셉트가 달라 러시아 국민뿐만 아니라 관광객 등에게도 인기가 높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시내에 여러 콘셉트의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있음.
다양한 콘셉트로 운영되는 Ginza Project의 레스토랑
ㅇ Italy Group
- 상트페테르부르크 기반의 이탈리아 레스토랑 체인으로,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 및 모스크바에 7개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있음. 이곳도 Ginza Project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콘셉트를 가진 브랜드를 론칭해 레스토랑을 운영함.
Italy Group의 레스토랑
□ 시사점
ㅇ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경우 다양한 외식 프랜차이즈가 활발하게 경쟁하고 있어 소비자의 눈길을 사로잡을 수 있는 특별한 콘셉트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함.
- 러시아 제1의 관광도시로 러시아인뿐만이 아닌 유럽 및 전 세계 관광객들이 모여드는 곳이기 때문에 모두의 수요에 맞출 수 있는 다양한 메뉴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
- 러시아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진출이 바람직하며, 이는 마스터프랜차이즈, 합작투자(Joint Venture - 합작 및 합자 계약), 가맹 계약 등의 다양한 계약 형태가 존재하므로 이를 토대로 국내기업에 가장 유리한 방식으로 진출하는 방법이 합리적임.
자료원: KOTRA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역관 자료 종합
'러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망]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시장동향 (0) | 2017.09.11 |
---|---|
러시아에서 판매되는 한국 식품들 (0) | 2017.09.04 |
카자흐스탄, 한국 제품 구매경험 76%에 달해 (0) | 2017.08.10 |
한국 라면, 벨라루스에서 통할까? (0) | 2017.08.10 |
커피 트렌드를 엿본 ‘WORLD of COFFEE 2017’ (0) | 2017.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