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중국 요구르트 시장동향(2014.7) | ||||
---|---|---|---|---|---|
게시일 | 2016-03-10 | 국가 | 중국 | 작성자 | 김주선(상하이무역관) |
품목 | 기타 | ||||
품목코드 | 220290 | ||||
작성일자: 2014.7.3 작성자: 상하이 무역관 김서웅(sinica-kim@kotra.or.kr)
1. 중국 요구르트 수입관세율 및 수입동향
□ 요구르트 수입관세율
주: 감독조건: - A: 수입화물 통관서(入境货物通关单) - B: 수출화물 통관서(出境货物通关单) - 최혜국과 일반국 구별: · http://www.qgtong.com/cxgj/bgdtzbgzdhdmb/bgzdsm/gbdqd/201112/32394.html · 위 사이트 중 优惠/普通税率标记가 L로 되어 있는 국가는 최혜국에 속함. 참고로 한국도 중국의 최혜국에 속함.
□ 수입동향
○ 중국의 연도별 수입금액 및 증가율
○ 중국의 HS Code 220290 연도별 수입동향(단위: 1000달러)
○ 중국의 국가별 수입현황(단위: 1000달러)
○ 중국의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220290)
○ 중국의 성별 수입현황(단위: 1000달러)
○ 중국의 성별 수입동향(HS Code: 220290)
2. 요구르트 소매가격동향/유통구조
□ 요구르트 소매가격
○ 蒙牛 요구르트 소매가격
○ 伊利 요구르트 소매가격
○ 光明 요구르트 소매가격
○ 기타 브랜드 요구르트 소매가격
□ 유통구조
○ 중국 요구르트 시장 유통 구조 - 주요 유통 방식 · 요구르트 생산기업들은 현재 자체적으로 판매하거나 중국 내 각 지역의 유통업체를 지역별 총판사로 지정하여 판매함.
· 수입산 제품일 경우, 외국 생산업체가 주로 판매망을 가진 업체를 중국지역 또는 규정지역(예, 화동(华东)지역, 6개 성(省)과 1개 직할시(直辖市) 포함) 총대리상으로 지정하여 제품을 판매함. 그리고 중국지역 총대리상은 또 지역별로 2차 대리상을 모집하여 제품을 관할 지역의 각 성(省), 시(市) 지역 시장에 공급함.
- 다른 유통 형식 · 현재 인터넷 판매도 확산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온라인 쇼핑몰은 淘宝商城(Taobao), 卓越亚马逊(Joyo Amazon), HC360, 京东商城,1号店 등이 있음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온라인 영유아시장을 잡아라 (0) | 2016.04.11 |
---|---|
미리보는 ‘SIAL China 2016'…중국 시장 들여다볼 최상의 플랫폼아시아 최대 식품 혁신 전시회…한국관 1위 규모…’건강한 K-푸드’ 선봬 (0) | 2016.03.22 |
중국 오가닉 면 시장동향(2014.6) (0) | 2016.03.21 |
[마켓트렌드]700억 위안 규모 중국 커피 시장 용틀임연간 15~20% 고성장 (0) | 2016.03.07 |
대만 쌀과자 시장동향(2013.11) (0) | 2016.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