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키워드로 살펴보는 2016년 일본 최신 트렌드 | ||||||||
---|---|---|---|---|---|---|---|---|---|
게시일 | 2016-03-02 | 국가 | 일본 | 작성자 | 이세경(도쿄무역관) | ||||
키워드로 살펴보는 2016년 일본 최신 트렌드 - Simple is the best 의식 확산 - - 간편하고 간단하면서 저렴한 상품의 수요 증대 -
□ ‘Simple is the best’, 변화하고 있는 일본 소비자 의식
○ 최근 일본에서는 저가·고품질 제품 선호 의식이 확산되고 있음.
○ 의식의 변화는 소비패턴의 변화로 나타나 합리적 가격대의 상품으로 승부하는 기업의 매출 증가 - 유니클로(ユニクロ), 니토리(ニトリ), 무지루시(無印良品)와 같은 기업이 중저가의 고품질 제품으로 일본시장에서 승부를 걸고 있는 상황으로, 이들 기업의 매출은 매년 증가하고 있음.
기업별 연매출 변화 (단위: 백만 엔) 자료원: 각 기업 홈페이지
○ 이러한 의식 변화는 최근 일본에서 주목받는 키워드로도 확인할 수 있음. - 미니머리스트, 놈코어, 쁘리프라가 그 대표적인 키워드
□ 미니머리스트(ミニマリスト)
○ 미니머리스트란? - '미니머리스트’란 소유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 최소한의 물건으로 생활을 하는 데에 멋스러움을 느껴 이러한 생활방식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의미
○ 무소유적인 삶이 주목 끌어 - 최근 일본에서는 생활용품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간소함의 미학을 인테리어 디자인의 한 종류로 인식하는 이들이 늘어남. - 텔레비전에서도 미니머리스트들의 생활모습을 비춘 영상이 자주 소개되고, 관련 서적들이 연이어 출판되면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음. - 간소한 상차림에서부터 깔끔하게 정리된 핸드폰 바탕화면에 이르기까지 미니머리스트의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음.
○ 욕심 없는 간소한 생활을 겨냥한 비즈니스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미니머리스트 관련 서적 자료원: 기노쿠니야 인터넷 판매 홈페이지
□ 놈 코어(ノームコア)
○ 놈 코어란? - 영어의 ‘평범한(normal)’과 ‘철저한(hardcore)’의 합성어로 ‘궁극적인 평범함’을 의미 - 지극히 평범한 옷이나 소품들을 활용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는 것을 상징함.
○ 평범하고 눈에 띄지 않는 옷으로만 코디하는 패션스타일이 유행 중 - 화이트, 그레이, 블랙 등 단조로운 색상의 지극히 평범한 스타일의 복장이 역시 가장 멋지다는 인식이 놈 코어라는 단어와 함께 일본 20대, 30대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음.
○ 일본 스타일 아니라며 거부감도 - 일본의 패션은 남과는 다른 기발하고 독특한 디자인으로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는 것이 원칙처럼 여겨져 왔기에 평범한 패션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는 이들도 적지 않음. - 하지만 평범함도 하나라는 개성이라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음.
놈 코어 패션
자료원: http://by-s.me/
□ 쁘띠프라(プチプラ)
○ 쁘띠프라란? - '쁘띠프라’란 프랑스어로 작다는 의미인 ‘쁘띠(petit)’와 영어의 ‘가격(price)’의 합성어로 저렴한 가격이면서도 가격대비 만족도가 뛰어난 상품을 말함.
○ 일본에서 싼 게 비지떡은 이제 옛말 - 최근 일본에서는 값이 싸면서도 고가 제품에 뒤지지 않는 품질의 상품을 시중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음. - 이러한 상품이 ‘쁘띠프라’라 불리며 인터넷 블로그나 SNS에서 입소문을 통해 순식간에 인기를 모으게 됨.
○ 비싼 상품이 좋다는 인식이 점차 흐려져 - 저가 고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기업은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원가 절감과 높은 품질 두 마리 토끼를 쫓아야만 하는 상황에 처함.
2015년 쁘띠프라 대표 히트상품인 니토리사의 주방용품 자료원: https://kinarino.jp
□ 시사점
○ 실속 중시형 라이프 스타일의 일본 내 확산 추세가 명확해짐. - 일본은 예부터 '근검절약의 나라’로 유명, 실속을 중시하는 기존 세대의 소비성향이 젊은 세대들의 소비패턴에까지 확산되고 있음.
○ 일본 진출을 희망하는 소비재 관련 기업은 일본 트렌드에 맞는 간결한 디자인을 지닌 코스트 퍼포먼스가 좋은 상품으로 승부해야 할 것 - 기업들은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제품 개발에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임.
자료원: 동양경제 및 KOTRA 도쿄 무역관 자료 종합
|
'일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가공식품에 원료 원산지표시 확대 추진 검토 (0) | 2016.04.11 |
---|---|
[르포]일본 동경건강산업전시회서 눈길을 끈 제품들미용·항노화 식품 등 4개 부문 건강산업 트렌드 제시 (0) | 2016.03.22 |
일본 건강식품 1.6% 성장한 8400억 엔작년…녹즙·시력보호·수면 보조제 등 성장 주도 (0) | 2016.03.10 |
로카보·저염·Wheat Grass…‘닛폰 악세스’로 본 올해 일본 식품 트렌드 (0) | 2016.03.07 |
일본, 집밥과 외식의 중간 ‘나카쇼쿠’ 부상여성 사회 진출·고령자 근로 확대 인해 2020년 6조8000억 엔 예상 (0) | 2016.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