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캐나다등

[마켓트렌드]미국 아이스크림 시장동향

곡산 2011. 9. 21. 08:01

[마켓트렌드]미국 아이스크림 시장동향
미국선 ‘국민 디저트’…소비량 세계 평균 9배
1인당 연간 20리터 소비에 가정 ㅜ오

미국에서 아이스크림은 남녀노소 모두 즐기는 품목으로 다양한 맛과 형태의 제품들이 소비되고 있으며, 아이스크림을 포함한 냉동 디저트는 연간 매출 규모가 220억 달러가 넘는 대규모 시장으로 특히 유제품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도 아이스크림을 포함한 냉동디저트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제품 트렌드를 살펴보면 1990년대에는 유지방 함량이 높은 프리미엄 아이스크림이 인기를 끌다가 2000년대 이후부터는 Frozen Yogurt, Natural, 유기농 제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의 아이스크림 시장 또한 1990년대 이후의 고급화, 다양한 맛과 포장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저탄수화물, 저지방, 내추럴, 라이트 등의 제품 개발과 홍보를 통해 건강과 비만에 대해 염려하는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

아울러 미국은 세계 최대 아이스크림 생산국으로서 생산량은 약 13.5억 갤런(2006년 기준, USDA RS)에 이르며, 전체 소비형태 중 아이스크림 가게와 소매점에서의 소비가 2/3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 생산동향

◇주요 생산업체 및 생산량

미국에서 아이스크림은 프로즌 요거트, 셔벗 등과 함께 주로 냉동디저트 형태로 소비되며, 미국 내 전체 가정의 90% 이상에서 소비하는 매우 대중적이고 인기 있는 식품이다.

또 미국의 아이스크림 및 냉동디저트 생산은 약 13.5억 갤런(2006년도)으로 국민 일인당 연간 17.2 리터를 소비할 수 있는 양이며, 제품 유형별로는 일반 아이스크림이 59.9%, 저지방 아이스크림이 27.8%, 프로즌 요거트가 4.3%, 셔벗이 3.5%를 차지하고 있다

아이스크림 주요 생산지로는 캘리포니아, 인디애나, 펜실베니아, 텍사스, 오하이오, 뉴욕 주의 순이며, 슈퍼마켓 매출액이 높은 도시는 포틀랜드, 오마하, 시애틀, 뉴욕 등이다.

또한 대표적인 아이스크림 브랜드로는 Breyers, Dreyers, Blue Bell, Haagen-Dazs, Ben&Jerry, Klondike, Drumstick 등이 있으나, 사실상 제일 큰 브랜드는 업소용 대용량 용기 및 슈퍼마켓용으로 납품되는 Private label 제품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한국 업체로는 빙그레, 해태, 롯데삼강 등의 회사에서 10~20여 종의 제품들이 수입되고 있고, 현지 생산 제품 및 마켓 자체 브랜드 제품들이 소수 한국마켓과 일본마켓을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엔 미국 소비자들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 증가와 더불어 고급화된 다양한 맛의 수퍼 프리미엄 및 내추럴 제품들이 선보이고 있으며, 아이스크림 전문매장과 프로즌 요거트 전문 매장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슈퍼마켓 납품용 ‘프라이빗 레이브’ 제품 강세
한국산 일회용 콘·바 판매…맛·향 뛰어나 인기

■ 소비동향

◇품목별 구매동향

미국 시장에서 소비되는 아이스크림의 맛에 따른 선호도를 살펴보면 바닐라(26%), 초콜릿(12.9%), 나폴리(4.8%), 딸기(4.3%), 쿠키&크림(4.0%)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아이스크림 중 선호되는 제품 유형을 살펴보면 보통 아이스크림보다 유지방이 풍부한 수퍼프리미엄급 제품이 3.5%, 프리미엄급 제품이 51.5%, 레귤러 제품이 45%로 나타났다.

슈퍼마켓을 통한 가정용 소비 이외에도 배스킨라빈스나 콜드스톤과 같은 아이스크림 전문점을 통해서도 많이 소비하고 있으며, 몇 년전부터 한국계 업체인 핑크베리를 통해 프로즌 요거트가 매우 인기를 끌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아이스크림의 맛이나 종류를 보면 한 제품이나 브랜드가 맛에 있어 크게 차별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일반 소비자의 마켓 구매에 있어서는 개인이 선호하는 브랜드가 구매결정의 주요 요인이며, 전문점이나 외식 업체의 디저트용 대량 구매 의 경우 가격이 구매 결정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전체 미국인 가정의 90% 이상이 아이스크림을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인당 소비량도 전 세계 평균인 연간 2.3리터의 9배나 높은 연간 20리터를 나타낼 정도로 많은 미국인들이 아이스크림을 좋아하고 있다.

제품 형태 중 노벨티제품의 시장규모는 24억 달러(2004년 기준) 정도로 전 가정의 62%에서 구매하고 있으며, 바닐라 맛의 제품이 가장 많이 소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아이스크림 제품은 일회용 콘 또는 바 형태의 노벨티제품이 주로 판매되고 있으며, 향과 맛이 뛰어나 소비자 선호도는 높은 편이다.

◇바이어 의견

한국산 제품의 경우 현재 수출 증대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높은 관세와 유제품 성분에 따른 통관상의 어려움을 향후 한・미 FTA와 연계하여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현재 미국에서 주로 소비되는 일반적인 맛의 아이스크림으로는 경쟁력이 약하므로 우선은 멜론바 등의 차별화된 제품으로 한국산 제품에 대한 선호도 및 인지도 증대에 노력해 나가며, 향후 저지방이나 내추럴 등 미국 식품 트렌드에 부합하면서 미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다양한 제품을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한국산 제품의 특성상 일반 슈퍼마켓이나 외식업체보다는 편의점, 소규모 상점 등에 대한 입점 노력을 우선적으로 기울여야 한다. 유제품 성분이 포함된 아이스크림 제품의 경우 미국의 해당 식품에 대한 수입 검사가 강화됨에 따라 허가․심사와 통관 절차가 까다로워지는 것이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유통 측면에서 볼 때 미국 주류 시장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최소한 포장 단위나 디자인이 현지시장 기준에 맞아야 하고, 미국 소비자가 선호하는 포장재와 디자인을 꾸준히 연구․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멜론바 싸만코 등 주류시장서도 성공 가능성
저지방 제품 등 노벨티 카테고리 우선 공략을



■ 한국산 유통동향 및 경쟁국 동향

◇한국산 주요 수입품목 및 점유율

한인 교포 시장의 아이스크림 판매 종류는 한국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해태, 빙그레, 롯데삼강 등의 업체에서 생산되는 여러 종류의 아이스크림이 수입되어 판매되고 있다. 또 빙그레, 해태 등의 업체들이 꾸준히 히스패닉 시장 확대 및 주류시장 진입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한국 아이스크림을 모방한 현지 private label 생산 제품들도 생겨나고 있다.

◇한국산 선호도

현재 한국산 제품의 소비 시장은 한인 교포 마켓에 국한되어 있으나, 일부 제품들을 중심으로 타 인종 마켓으로의 진입 시도와 마케팅 노력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멜론바, 붕어싸만코 등 차별화된 제품의 경우 시장테스트 결과 히스패닉 및 미국 주류 소비자들의 입맛에도 맞아 충분한 시장 조사 와 마케팅이 뒷받침된다면 향후 주류 시장에서도 성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한국산 아이스크림은 교포 소비자는 물론 중국계, 히스패닉계 등의 시장을 중심으로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합리적인 가격과 다양하고 차별화된 맛을 통해 시장을 공략해 나가고 있다.

◇ 한국산 아이스크림의 경쟁력 분석

- 강점 : 발달된 향 첨가 생산기술, 차별화된 맛과 다양한 제품
- 단점 : 고관세율 및 운송에 따른 단가상승, 한국 마켓 위주의 디자인과 패키지, 마케팅 전략 및 투자 부재
- 기회 : 미국 아이스크림 시장 성장세와 Novelty 제품에 대한 소비 증가 추세
- 위협 : 미국 제품과의 가격 경쟁 및 일본 제품과의 제품 경쟁, 제품 수입검사 강화조치 및 현지 생산기업의 제품 모방 등의 잠재적 위협

◇미국 현지생산 아이스크림

높은 관세 및 냉동 물류 문제, 유제품 성분 함유 제품의 통관 문제로 인해 향후 빙과 업체들이 라면 및 만두 제품의 현지 생산과 같이 생산비용과 물류비가 낮고 통관절차 비용이 없어 가격 경쟁력이 있는 현지 생산방식으로 나아갈 전망이 높으나, 이를 위해서는 생산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 위한 충분한 수요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기타 현지 생산 업체에서 향후 한국 아이스크림과 비슷한 제품을 모방 출시한다면 주류 마켓의 높은 입점비와 현지 유통 전략의 부재, 가격 경쟁력이 부족한 한국산 아이스크림의 주류 시장 진입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일본 아이스크림 제품의 경우 일식의 세계화와 더불어 모찌 아이스크림과 같이 대중적 인지도와 선호도를 획득한 제품은 현지 생산되어 아시안 인구 분포가 높은 주류 시장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편이나, 기타 일본산 수입 제품들은 주로 자국민 시장 위주로 판매
되고 있다.

◇경쟁국 마케팅 동향 및 시사점

일본산 제품의 경우 식품 안전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모찌아이스크림의 주류 마켓 대중화에는 성공하였으나, 대부분 현지 생산으로 전환되었으며 최근의 원전사고로 인해 유제품 성분이 포함된 아이스크림의 수출 역시 당분간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미국의 주류 마켓 및 아이스크림 가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이탈리아 제품들은 ‘젤라또'와 같은 고급화된 브랜드화에 성공하였으며, 제품의 맛과 품질의 차별화로 고급 아이스크림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 한국산 수출확대 방안

◇가격

아이스크림의 경우 생산단가 측면에서는 경쟁력이 있으나, 높은 관세율로 인해 현지산 제품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최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또 가격 정책의 경우 현재 판매되는 제품 이외에도 포장 및 용량을 조절하여 가격이 낮은 제품을 개발하고 한편으로는 고가의 고급 제품을 개발하는 이원화 전략을 구사하여 제품군을 다양화시켜야 한다.

◇제품

한국산 빙과류 제품의 경우 상품 잠재력은 높게 평가되고 있으나, 마케팅 부재로 소비 시장이 주로 한국 교포 마켓에 국한되어 주류시장으로의 진입이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주류 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미국인들의 주의를 끌 수 있는 포장 디자인과 용량, 유통 채널 발굴 및 효율적인 시장 분석과 광고 홍보 전략의 수립이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 미국 식품산업에 있어 건강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제품 개발 시 유기농(유기농), 내추럴, 저지방 등과 같은 시장 트렌드에 부합한 건강, 기능성 제품 등을 개발하는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여야 하며, 일반 아이스크림 제품보다는 노벨티 품 카테고리를 우선적으로 공략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미국 마켓의 경우 시장 진입을 위해 Private labeling과 같은 전략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기존의 한국 제품에서 벗어나 미국 소비자가 선호하는 제품과 포장 디자인을 꾸준히 연구, 개발해 나가야 한다.

또한 아이스크림 과다섭취로 인한 소아비만 등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멜라민 파동으로 인한 유제품에 대한 불신감으로 좀 더 안전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과자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므로, 제품 성분에도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홍보

유아 및 청소년들이 주로 소비하는 제품의 특성 상 마케팅 활동에 대한 노력이 매우 중요한데, 주요 소비층인 어린이층을 겨냥해서는 한국 아이스크림의 홍보와 시식 행사를 실시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미국 소비자의 한국제품 입맛 들이기에 노력해야 한다. 또 학교 대상 급식 프로그램 참여, 미국 아동TV 채널과 연계한 홍보 활동 등도 고려해 볼 만 한다.

한편 현실적으로 대중매체를 통한 광고홍보가 어렵다면 현재 입점해 있는 아시안․히스패닉마켓, 주류마켓은 물론 각 인종별로 벌어지는 다양한 지역 행사(유명축제 등)에 참가, 시식이나 홍보활동을 통한 한국아이스크림의 소비 기반 확대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 외에도 미국 주류 마켓 진입을 위해서는 식품 유통의 핵심 역할을 하는 바이어와 브로커 발굴을 통한 마케팅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미국 주류 마켓 전문박람회 참가를 통해 핵심 바이어 및 브로커를 대상으로 한 한국 아이스크림 홍보 및 신규시장 입점을 모색해야 한다.

◇유통

우선 미국 주류마켓에 대한 영업력을 지닌 전문 대형냉동 유통업체를 발굴, 접촉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이며, 주류마켓 진입의 경우 대형 슈퍼마켓으로의 진입 노력 이외에도 편의점, Liquor store, dollor store 등의 유통채널 공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본식당에서 후식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은 모찌 아이스크림의 예에서도 볼 수 있듯이, 향후 한국적이고 고급화된 제품 개발과 함께 이를 통한 식문화 접목을 이루기 위해서는 현지 외식산업에서 한식이 하나의 대중화된 메뉴로 자리 잡는 것이 중요하다.
식품음료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