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보는 사건들 소비자는 속고 있다! ‘이영돈 PD의 소비자 고발’ | |||||||||||||||||||||||||||
충격적인 진실들이 속속히 드러나고 있다. ‘혹시?’ 했던 일들은 ‘역시’ 하는 실망감을 안겨준다. ‘이영돈 PD의 소비자 고발’의 이영돈 PD는 “아는 게 병이라도 하지만 아는 게 힘일 수 있다”고 말한다. 매회 소비자 입장에서 진실을 낱낱이 파헤쳐온 ‘소비자 고발’이 70회를 맞았다. 그동안 방영됐던 방송분에서 주부들이 꼭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을 정리했다. part 1 건강을 위협하는 식품, 환경 위생
우리가 즐겨 먹는 쌈채소에 국내에서는 사용이 금지된 중국산 농약이 뿌려지고 있다. ‘파클로부트라졸’은 국내에서는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미등록 농약으로 사용이 금지된 농약이다. 이 농약은 중국에서조차 식용 채소에는 쓰지 않고 관상식물에만 쓰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국과 같이 직접 쌈을 싸서 먹는 나라에서는 절대 쓰지 말아야 할 농약인 것이다. 그러나 방송에서는 수도권 일대의 쌈채소 재배 농가에서 중국산 ‘파클로부트라졸’이 버젓이 뿌려지고 있는 현장이 공개됐다. 시중에 유통되는 쌈채소 30개를 수거해 ‘파클로부트라졸’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결과, 4개의 쌈채소에서 ‘파클로부트라졸’이 검출됐다. 이 같은 제품은 재래시장뿐 아니라 일부 유명 마트에도 납품됐다. ‘파클로부트라졸’을 뿌리면 채소가 길게 자라는 걸 막아 도톰하고 단단하며 한입에 쏙 들어가는 적당한 크기가 된다. 색깔도 선명하고 보존 기간도 늘어난다. 이 때문에 상품성이 높아 일반 쌈채소보다 4~5배가 넘는 가격에 팔리고 있다. 농약을 뿌리지 않은 쌈채소는 키가 크고 색도 진하지 않으며 줄기 역시 가늘다. 보기에만 좋은 채소를 고르지 말고 조금 시들고 못생긴 채소를 구입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식당에서 밥을 먹을 때면, ‘남은 음식은 어떻게 할까?’라는 의심을 품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취재진은 20곳의 식당을 찾았다. 겉보기에는 모든 음식이 깨끗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막상 주방 안으로 들어가 보니 20곳 중 16곳, 무려 80%나 되는 식당이 음식을 재탕하고 있는 사실이 밝혀졌다. 반찬뿐만이 아니었다. 제육볶음과 같은 메인 메뉴부터 찌개류, 남긴 밥까지 거의 모든 음식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게다가 고급스러운 한정식집에서조차 김치는 잘게 썰어 부침개에 쓰고, 남은 밥은 물에 씻어 누룽지탕을 만들고 있었다. 남은 반찬을 재활용하는 건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전문의들은 재탕 음식으로 인해 식중독뿐 아니라 B형 간염과 같은 바이러스까지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다. 실제로 재활용 반찬에서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녹농균 등의 세균이 검출됐다는 소견이 나왔다. 방송이 나간 후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42조에 음식 재탕을 방지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로 했다. 음식점 자체에서 자성의 움직임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미심쩍다. 다행스러운 사실은 이번 방송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오는 12월까지 식품위생법상 시행규칙으로 ‘음식재탕금지법’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소비자들도 음식 재활용 현장을 목격한다면 식약청 신고 전화(국번 없이 1399)나 한국소비자원(02-3460-3000)으로 신고해야 한다. 세균으로 오염된 비데
카페인의 위험에 노출된 아이들 세균이 떠도는 영화 상영관
part 2 소비자는 속고 있다! 소비자만 모르는 진실
문제는 모조 치즈와 자연 치즈가 육안이나 맛으로 쉽게 구별할 수 없다는 점이다. 다만 조리되지 않은 자연 치즈는 탄성이 있지만, 모조 치즈는 쉽게 부서진다. 맛을 보면 모조 치즈는 처음에는 맛이 느껴지지 않다가 역한 고무 냄새가 올라온다고 한다. 그러나 피자에 올려진 치즈는 뜨거운 상태에서는 맛에서 별 차이가 느껴지지 않는다. 식으면 다소 텁텁한 맛이 느껴질 뿐이다. 치즈 가격이 많이 올라 유명 체인점에서 자연 치즈와 모조 치즈를 섞어 쓰기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제작진이 유명 피자 체인점의 12개 치즈를 조사한 결과 5곳에서 모조 치즈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100% 국내 치즈를 쓴다는 한 피자 체인점은 수입 치즈를 함께 쓰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쌍화탕은 쌍화 맛 음료?
그러나 이 같은 사실을 알고 있는 소비자는 거의 없다. 편의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쌍화탕은 모두 음료다. 의약품을 취급하는 약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쌍화탕도 대부분 의약품이 아닌 음료였다. 게다가 약사조차 그 사실을 잘 모르고 있었다. 그렇다면 쌍화탕과 쌍화 음료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쌍화탕은 감기약으로 알려져 있는 것과는 달리, 동의보감에 의하면 ‘성생활을 한 뒤로 몹시 힘든 일을 하거나 중병을 앓은 뒤 기가 부족해서 저절로 땀이 나는 것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고 명시돼 있다. 궁녀들이 임금과 하룻밤 지낸 후 임금에게 달여 바쳤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기를 보호해주는 약이란 소리다. 의약품은 동의보감의 제조법에 따라 만들어진다. 그러나 음료의 경우 함량 기준을 따로 정하지 않고 제조된다. 그야말로 ‘쌍화 맛 음료’다. 성분을 살펴보면 색깔을 내는 캐러멜 색소, 쌍화 향을 내는 향료, 농축 사과 과즙 등이 들어 있다. 이를 구별하기 위해 제품 이름 아래에는 작은 글씨로 쌍화탕인 경우에는 ‘일반 의약품’, 음료인 경우에는 ‘추출 음료’, ‘혼합음료’ 등이 표기돼 있다. 그러나 음료의 경우 제약회사 담당 직원조차 찾을 수도 없는 곳에 작고 흐리게 표시돼 식별할 수 없다.] 진짜 쌍화탕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쌍화탕’이라는 이름과 ‘일반 의약품’이라는 표기를 확인하자. 묶음 판매가 더 싸다? 마트의 속임수
210g 한 개가 980원에 판매되고 있는 즉석 밥의 경우 똑같은 210g 밥 3개에 증정용으로 하나를 더 주는 3+1 제품은 3650원, 실속들이 포장이라며 6개가 들어 있는 제품은 6500원에 판매되고 있다. 210g 제품 하나를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세 묶음은 710원, 여섯 묶음은 620원이나 비싸게 판매되고 있다. 업체에서는 210g의 낱개 제품이 할인 행사에 참여했기 때문에 원래 판매 가격보다 싸게 판매됐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오히려 3개 묶음 제품이 정상가에 판매되고 있다고 했다. 그런데 대용량이나 묶음 판매 제품이 상대적으로 더 비싼 것에 대해 업체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이야기가 있다. 바로 소비자들은 가격 차이를 인지하고 제품을 구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제품을 구입할 때는 크기나 사은품에 현혹되지 말고 1g당 가격을 따져보고 구입하는 것이 현명하다. 첨가물이 함유된, 무늬만 100% 오렌지 주스
실제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주스에는 착향료, 액상과당, 구연산, 비타민 C 등이 사용되고 있다. 오렌지 농축액은 원래 농도를 회복하더라도 그 향과 맛은 회복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단맛을 강화하기 위한 액상과당, 신맛을 강화하기 위한 구연산, 신맛 강화와 산화 방지를 위한 비타민 C, 향을 강화하기 위한 착향료가 쓰인다. 요즘 인기를 끌고 있는 NFC 주스가 있다. NFC란 ‘Not From Concentrate’의 약어로, 농축 과즙이 아닌 비농축 과즙으로 만들었다는 뜻의 세계적인 공용어다. 그러나 시중에 NFC로 표기돼 판매되고 있는 한 제품의 경우 실제로는 농축 과즙으로 만들어졌으며, 어떤 제품에는 비농축 과즙 함량이 2.5%에 불과했다. 소비자들은 NFC라는 문구로 비농축 과즙 100% 기대하겠지만, 눈속임에 불과한 것이다. 수입산 오렌지 주스는 비농축일 경우 ‘Squeezed’라는 문구를 사용한다. 100% 비농축 과즙으로 만들어진 오렌지 주스를 찾고 싶다면 현란한 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제품 뒷면의 원재료 명을 꼼꼼히 읽어보자. 어린이 감기약은 색소 덩어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감기약의 대부분은 바로 이 타르 색소로 색깔을 낸다.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은 적색 40호와 황색 5호, 청색 1호 등이다. 검출된 타르 색소는 모두 내복용 의약품에 사용이 허가된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사용이 허가됐다고 해도 완전히 안심할 수는 없다. 황색 5호와 적색 40호는 동물에게 암을 발생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며 청색 1호는 과잉행동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식품에는 사용이 금지돼 있다. 전문가들은 타르 색소가 피부를 건조하게 하고 아토피 등 피부염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물론 타르 색소의 유해성에 대해 아직은 단정지을 수 없다는 입장도 있다. 그러나 문제는 한국 어린이 감기약이 유독 많은 양의 색소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영국의 감기약은 색소가 전혀 들어 있지 않아 투명한 색깔이었고, 일본의 경우 색깔이 있긴 했으나 우리나라 감기약과 비교했을 때 훨씬 엷은 색을 띠고 있었다. 미국의 경우 색소가 들어간 약은 많으나 색소를 넣지 않은 감기약은 따로 ‘무색소’로 표기해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게 했다. 고가의 초유 분유, 믿을 만한가? ■정리 / 두경아 기자 ■사진 / KBS 포토뱅크 ■참고 자료 / ‘이영돈 PD의 소비자 고발’ |
'식품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짜계란, 유독 한국만 저질 중국식품 문제가 심한 것일까? (0) | 2008.11.25 |
---|---|
감자 ‘에이즈’ 발생…벤처업체가 종자 공급 (0) | 2008.11.25 |
식품불신 증폭시킨 늑장 대응…왜? (0) | 2008.10.21 |
식품안전 시스템 무엇이 문제 (0) | 2008.10.21 |
집중분석-멜라민 파동이 남긴 것 (0) | 2008.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