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장분석
1. 배스킨 라빈스 연혁
한국 Baskin-robbins는 1985년 샤니와 미국 Baskin-robbins사의 합작투자로 고급 아이스크림 시장을 개척하고, 1986년 제 1호점인 명동점을 개설했다. 1993년 다시 미국 DunkinDonuts Intl사와 합작투자하여 새로운 모습으로 국내에 점포를 확산해, 현재 국내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업계에서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600여개의 직영 및 가맹점을 개설, 운영하고 있다. 1985년에 한국에 들어온 베스킨라빈스는 1988년부터 전국에 체인점이 전개되어 베스킨라빈스의 기본 정신인 " 우리는 아이스크림을 파는 것이 아니라 즐거움을 파는 것이다."라는 정신 아래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BR의 목표는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재미와 맛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들은 31이야말로 BR의 다양함을 완벽히 표현하는 말이라고 느꼈다. BR은 매일 다른 맛의 아이스크림을 제공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절대 같은 맛으로 싫증내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BR은 700여가지의 맛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매달 BR매장에 적어도 100여개의 다른 선택을 제공하고 있다. 전통적인 맛과 함께 저지방, 라이트, 샤베츠, 아이스, 요커트등 맛과 종류의 다양성을 느낄 수 있다.
2. 국내 아이스크림 시장
국내 아이스크림 시장 규모는 약 1조5,000억원으로 이 중 롯데, 해태 등 일반 유통망을 통해 소비되는 아이스크림이 60-70% 정도이며 나머지 30-40%정도는 프리미엄급 고급 아이스크림이 장악하고 있다. 불황에도 불구하고 한국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이 매년 30∼40%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전문가들도 올해는 약 1600억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특히 '아이스크림은 여름식품이다'라는 생각이 깨지면서 이번 겨울시즌에 떨어지지 않는 매출을 보이고 있어 업계들은 쾌재를 부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와 함께 온난화 현상이 두드러져 전체 아이스크림 매출 신장세와 더불어 프리미엄 시장은 올해도 높은 신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중 전문점에서 팔리는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은 약 2,000억원 내외로 추산되고 있다. 이 시장은 해마다 30%가량 성장하는 황금어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프리미엄 아이스크림은 유지방 함유량이 12% 이상인 천연원료의 고급 제품을 말한다.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은 1985년 배스킨라빈스에 의해 선을 보인 이래 90대 말 IMF와 리스테리아 병균 파동을 거치면서 다소 주춤하는 듯했으나 2000년대 들어 급성장하고 있다.
(출처 : 중앙일보)
3. Market share
국내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은 배스킨라빈스가 75%이상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하겐다즈, 나뚜루가 3자 구도를 형성하고 있고 대기업 위주의 경쟁이 아이스크림 시장 전체를 이끌고 있다. 2005년 설립 20주년을 맞이하게 되는 배스킨라빈스는 8월 현재 전국 670여개의 체인점을 보유한 업계 최고의 브랜드로서 고객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2003년 1,100억원을 달성한 배스킨 라빈스는 2004년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의 점포 확대 가열과 웰빙이라는 KEY WORD로 약 1,600억원의 매출 신장을 예상하고 있다. 국내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은 지난해 상반기 연이은 해외업체들의 진출과 더불어 아이스크림 시장이 확대됨과 동시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하겐다즈가 시장점유율 상승을 위해 전략을 본격화 하고 있다.
돌로미티는 피부미용에 좋은 녹차와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인 인삼, 검은콩, 알로에 등을 첨가한 아이스크림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설탕 대신 포도당과 올리고당을 넣은 저당 아이스크림인 샤베르 역시 토마토, 고구마 등을 이용한 기능성 아이스크림을 메뉴에 포함시켰다.
떼르드 글라스는 쑥과 미숫가루 등을 이용한 퓨전 아이스크림을 선보여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은 젊은 여성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200여개의 점포를 갖고 있다. 생과일 아이스크림 전문점은 재료가 되는 생과일 중 계절을 타는 재료가 많아 수급이 불안정하고 매장에서 직접 제조하기 때문에 각 점포마다 맛의 차이가 크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1∼2일 사이에 만들어 팔기 때문에 신선하고 재고부담이 없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배스킨라빈스와 하겐다즈, 나뚜루 등이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에 외국 브랜드가 속속 뛰어들고 있는 것도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다. 업계에서는 ‘리딩 브랜드’인 배스킨라빈스의 시장점유율을 60% 안팎으로 보고 있다. 철저한 고급화 전략을 구사하는 하겐다즈와 롯데라는 대기업의 후광을 입고 있는 나뚜루의 매출을 합치면 이들 ‘빅3’의 시장점유율은 80%가 넘는다. 2000년 이후에도 뉴질랜드내츄럴, 매키스, 벤앤제리 등이 새로 진출한 데 이어 데어리퀸, 드라이어스 등이 다시 국내 시장을 두드리고 있다.
나뚜루는 롯데제과가 프리미엄급 아이스크림 나뚜루사업을 강화, 올해 가맹점을 200여개로 확대하는 한편, 매출도 150억원 이상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롯데제과는 나뚜루 경기도 일산 후곡마을에 '나뚜루 100호점'을 개점했고, 이를 계기로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사업 확장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나뚜루는 1998년 5월 사업을 시작해 1999년부터 가맹점을 적극적으로 모집하기 시작, 2년 7개월의 짧은 기간 내에 인기 브랜드로 성장했다. 지난해 나뚜루 아이스크림 사업에서 약 100억원의 매출과 80점의 가맹점을 개점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박차는 내년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롯데제과는 나뚜루 100호점 개점을 기념해 나뚜루만의 고유 브랜드를 육성한다는 차원 아래 나뚜루 홍삼 아이스크림 제품을 새롭게 선보일 예정이다. 홍삼의 효능에 대해 셀 수 없을 만큼 널리 알려져 있어 아이스크림 제품으로 내놓을 경우 큰 인기가 예상된다. 나뚜루는 1999년에도 우리나라 사람의 입맛에 맞는 녹차 아이스크림을 개발, 나뚜루 전체 아이스크림 판매 순위 3위를 차지할 만큼 인기 브랜드로 성장시켰다.
2002년 3월 명동에 1호점을 내면서 국내에 진출한 뉴질랜드내츄럴은 뉴질랜드산 최상급 우유와 신선한 과일 등 자연 원료를 사용해 만든 아이스크림이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레드망고는 지난해 3월 1호점을 낸 지1년여 만인 이달 말에는 매장 수가 100개를 넘어설 정도. 매출도 월 24억~25억원으로 상승 가도를 달리고 있다.
유지방 함유율이 15.5%로 슈퍼프리미엄급 아이스크림인 벤앤제리와 스코틀랜드 브랜드로 영국에서 아이스크림 체인 1위를 고수하고 있는 매키스도 2002년 말 나란히 국내에 진출해 가맹사업을 본격화했다. 해외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이들 브랜드들은 후발주자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과감한 마케팅 전략과 공격적인 영업을 시도했지만 아직까지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유기농 아이스크림을 표방하는 매키스가 약 40여개의 가맹점을 오픈하는 데 성공했을 뿐 다른 브랜드들은 가맹점 출점이 더딘 편이다.
하겐다즈, 나뚜루, 레드망고, 떼르드글라스, 프렌치키스, 돌로미티, 뉴질랜드 내츄럴 등
(출처 : 매일경제)
2001 2002 2003
(출처 : 외식 경제신문)
매출성장을 지속하던 제품도 경쟁제품이나 혁신제품의 출현으로 인해서 판매성장이 둔화하면서 성장기에서 성숙기로 이행을 하게 된다. 배스킨라빈스도 이와 같은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다시 성장기의 단계로 가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전략이 필요하다.
(1) 시장수정 전략 - 새로운 세분시장에 침투하거나, 비 이용자를 이용자로 유도해야 한다.
(2) 제품 수정전략- 지금 판매되고 있는 제품의 품질과 특성, 디자인을 개선한다.
(3) 마케팅믹스 수정전략 - 경쟁사와의 가격전략을 수립, 집약적 유통을 실시한다.
상표차이와 혜택을 강조하고, 상표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판촉을 증대하는 종합전인 전략을 수립한다.
(4) 판매개척을 위해서 새로운 유통경로를 모색한다.
(5) 광고카피의 소구점을 제품인지로부터 제품확신 및 구매를 하도록 변경한다.
4. 아이스크림 시장 트렌드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의 최근 화두는 단연 건강이다. 천연 과일을 이용한 아이스크림과 녹차, 인삼 등 기능성 식품을 첨가한 건강 아이스크림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유럽식 홈메이드(home-made) 방식의 생과일 아이스크림 전문점이 2002년 이후 고급 아이스크림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홈메이드 생과일 아이스크림은 과일을 갈아서 매장에서 직접 제조하기 때문에 담백하고 깔끔한 맛이 특징이다. 홈메이드 아이스크림 전문점 브랜드로는 돌로미티, 샤베르, 떼르드 글라스 등이 있다.
그동안 아이스크림 전문점들은 주로 10평 안팎의 규모로 테이크아웃 위주로 운영됐다. 하지만 최근 들어 매장 규모를 늘리고 다양한 메뉴를 추가한 카페형 점포가 크게 늘고 있다. 배스킨라빈스의 카페31, 하겐다즈의 라이프스타일 카페, 한국PGL의 카페 돌로미티 등이 그것이다. 이들 아이스크림 카페는 단순히 아이스크림을 파는 곳이 아니라 고급 디저트를 중심으로 다양한 감성을 즐길 수 있는 문화공간을 지향하고 있다.
배스킨라빈스는 지난 2001년 압구정동 로데오 거리에 ‘카페31 압구정’을 연 데 이어 올 1월 대학로에 ‘카페31 마로니에’를 오픈했다. 카페31은 기존의 프리미엄 아이스크림뿐 아니라 퐁듀나 허니브레드 등 다양한 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하겐다즈도 지난해 3월 압구정동에 ‘하겐다즈 라이프스타일 카페’를 연 데 이어 신촌, 미금 등에 잇따라 직영점을 개설했다. 주문형 아이스크림 디저트, 과일, 고급 베이커리 등 다양한 디저트 메뉴를 갖췄다.
돌로미티도 지난해 11월부터 카페 돌로미티 사업을 시작했다. 스파게티 아이스크림, 아이스버거 등 독특한 메뉴가 돋보인다.
웰빙과 다이어트 바람을 타고 요구르트 아이스크림이 큰 인기를 끄는 것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요구르트 아이스크림은 유지방 함량이 2% 미만으로 적고 달지 않아 다이어트에 민감한 20대 여성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해 3월에 론칭한 국내 최초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전문점
‘레드망고’는 1년여 만에 가맹점이 50여개에 이를 정도로 급성장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요구르트 아이스크림이 인기를 끌자 기존 브랜드들도 요구르트로 만든 디저트 메뉴를 잇따라 출시하고 있다.
웰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프리미엄급 아이스크림의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 속에서 각자의 영토를 확장하려는 브랜드들간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질 전망이다.
5. mind share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의 약 73%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배스킨라빈스는 고급 아이스크림 구매 경험자를 대상으로 2004년 소비자 설문(LG AD RESEARCH)을 한 결과 소비자 최초 상기도는 86% 보조 상기도는 약 99%로 브랜드 NO.1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브랜드 선호도와 주 이용률을 보면 85%와 92%로 누구나 알고, 먹어보고, 가본적이 있는 브랜드로 평가되고 있다. 배스킨라빈스가 이러한 시장 우위를 보이는 이유는 다양하고 신선한 아이스크림과 서비스뿐만 아니라, 브랜드 넘버1을 고수하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전개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배스킨라빈스는 연중 발렌타인데이행사, 어린이날 행사, 크리스마스 행사 등 상시적 행사와 아이스크림의 매출증진을 위한 계절행사 등 다양한 판촉행사를 실시 하고 있으며, 아이스크림 케이크의 개발, 여름철 음료시장을 겨냥한 아이스쿨러의 출시, 신제품 아이스크림 개발 등 유행에 민감한 젊은 세대의 취향에 맞추기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피포인트 카드라는 적립카드를 이용한 회원관리 또한 눈여겨 볼 점이다.
점포 위생관리에 있어서도 본사에서 모든 점포를 순회 방문하여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철저한 위생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점포에서도 매시간 마다, 스쿱 등 기구소독을 하고 있고, 미국 본사에서도 위생전담 팀을 파견하여 2중 3중으로 위생문제에 관해 만반의 조치를 다하고 있다. 또한 직원 서비스 교육을 연중 실시함으로써 고객 서비스에 항상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 외에도 프리스쿱데이(Free Scoop Day)행사 등을 통해 백혈병 소아암 어린이 돕기나 결식아동을 돕는 등 사회 공익 활동을 통해 사회 환원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활동의 결과로 배스킨 라빈스는 윤리경영의 이미지를 보이며 사회에 대한 기업의 책임 등의 이미지를 부각 시키며 긍정적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2) 경쟁사분석
1. 레드망고 – 요구르트 아이스크림의 선두자
2003년 3월 1일 오픈
서울지역에만 73개에 이르는 매장.
주력 상품인 저지방 과일 요구르트- 유지방 함량이 보통 아이스크림의 약 1/10이며 칼로 리는 100그램당 110칼로리이다. 저지방 요구르트에 과일/시리얼/너트 등을 토핑으로 추가할 수 있다.
1) 레드망고의 메뉴
①저지방요구르트:small3500원/midium5500원/large7500원
토핑5가지추가1000원
요구르트콘/컵2500원
②저지방요구르트빙수
③저지방요구르트주스:2가지 맛을 선택가능
④에스프레소&음료-아메리카노,카페라떼.카페모카.카푸치노.녹차라떼.차이티라떼.콜라사이다
⑤푸드-베이글,플레인/어니언/시나몬/통밀꿀.크림치즈.요빵
2)레드망고의 성공비결
① 틈새시장 공략
-기존의 아이스크림 시장에 틈새를 파고들었다. 아이스크림처럼 부드럽고 시원한 것을 좋아하나 다이어트 때문에 아이스크림을 멀리해야만 했던 많은 여성들에게 크게 어필해서 매우 성공했다. 무엇보다 여대생들에게 인기도가 높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사회적 움직임이었던 웰빙과도 맞아 떨어져 더욱 큰 반향을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 오픈 1년만에 서울에만도 70개가 넘는 매장을 갖게 되었다.
②시장선점
-빠른 시간 안에 시장을 선점한 건 ?레드망고?의 가장 큰 성공비결이다. 어떤 한가지가 잘된다 싶으면 아류들이 많이 생겨나는 것이 일반적 상황이다. 이렇게 파이를 빼앗기기 전에 매장 수를 확장시켜 브랜드 인지도를 선점하는 것에 주력하였다.
③다이어트에 적합, 여대생들에게 크게 어필
-건강을 중시하는 웰빙 시대에 발맞춰 영양 만점의 과일을 대거 활용한 게 특징이다.
2. 아이스베리 – 빙수 시장의 개척자
1999년 오픈
'빙수는 여름에만 먹는다'라는 고정관념을 깸.
서울 강남을 비롯해 전국 30여개의 체인점을 구축, 현재는 더 많음.
주력상품인 ‘쟁반빙수’
1) 메뉴
①.빙수(과일빙수.팥빙수.녹차빙수,쟁반빙수)
②선데-요구르트선데, 녹차선데,생과일선데,바나나초코선데..
③샌드위치&케이크
④주스,핫드링크,콜드드링크
2)가격
-대표적 메뉴인 쟁반빙수 가격은 2인분 5500원/3인분7800원/4인분9900원
3. 커피빈-커피&카페 시장의 새로운 강자.
2001 년 5월에 개장한 청담점으로 시작하여2003 년 6 월 현재 14 개의매장이 오픈되어 있고, 이중 8 개 매장이 강남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앞으로 2006 년까지 36 개의매장을 오픈할 계획.
부드러운 맛을 선호하는 젊은 여성소비자들에게 인기 얻고 있음.
차별화 전략으로 30여종의 다양한 허브차 판매.
전 세계적으로는 9 위에 랭크, 한국에서는 스타벅스에 이어 2 위.
1)메뉴
- light roast 원두와 다양한 허브티, 각종 베이커리
2)가격대
-3.800원~5.900원
3) 인기 비결
① 커피 리테일러로 시작해 질 좋은 원두사용
커피빈은 좋은 원두를 수입해 판매하는 커피리테일러로 시작되었다. 케냐, 브라질, 콜롬비아, 인도네시아등 전 세계 커피 재배지에서 수입한 상급 커피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있다.
② light roast
나이가 어릴수록, 그리고 여성 고객일수록 light roast를 선호한다고 한다. 커피 전문점의 성패는 어떻게 보면 얼마나 많은 여성고객과 젊은 고객들을 사로잡을 수 있느냐에 달려있을지도 모른다. 때문에 커피빈의 light roast 커피는 잘 맞 떨어진 차별화 전략이 아닐 수 없다.
③ Fat free
모든 제품에 fat-free의 고급원료만을 사용, 건강과 다이어트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어필.
몸매를 생각하면서도 맛있는 것을 먹고 싶어하는 여성고객, 연예인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④다양한 허브티 제공
얼그레이, 포모사 우롱, 트로피칼패션, 차이, 모로칸 민트등의 다양한 차 종류를 손쉽게 즐길 수 있다.
4) 커피빈의 차별화된 서비스와프로모션
- PPL 을 경품행사로 연결.
커피빈은 최초 매장이 오픈되기 전인 2001 년에?영화속커피빈을 찾아라? 행사를 벌였던 적이 있다. 커피빈 음료나 매장이 등장하는 할리우드 영화를 찾아 커피빈 홈페이지를 통해 응모하면 정답자에게 상품을 보내주는 방식이다.
4. 스타벅스- 국내 커피&카페 시장의 No.1
1999년 서울 신촌 이화여대에 1호점을 오픈, 현재 전국에 100개 이상의 매장 운영 중
1971년 시애틀에서 탄생했으며 현재 CEO인 하워드슐츠(Howard Schultz)회장이 1987년 스타벅스를 설립, 오늘날 전세계 조직과 마케팅에 참여하기 시작해 현재 미국, 캐나다, 일본,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영국, 대만, 중국, 뉴질랜드, 쿠웨이트와 전세계 공항, 서점, 캠퍼스, 병원 등에 라이센스 전문점 및 30 여개국 총 7,000여개의 점포를 운영중.
제품이 아니라 커피를 통한 체험과 고객과의 관계를 만들어 감으로써, 20년만에 세계 최고의 종합 커피브랜드로 성장 할 수 있었음.
1)메뉴
-각종 커피, 스콘(빵),머핀,샌드위치,세이보리(조리빵),페스츄리,케이크 등.
2)가격대
- 커피 3.500원 이상. ‘오늘의 커피’는 2.000원
3)인기비결- 한잔의 커피 그 이상의 것! 스타벅스.
①커피제국의 탄생
단순한 소비재로서의 커피가 아니라 특별한 질과 서비스와 만남의 공간을 제공하는 브랜드화 된 커피 서비스를 제공, 오늘날 스타벅스는 과거 Coke가 그랬던 것처럼 미국인에게 커피 이상의 정서적 일체감을 주는 문화적 상징이다.
②스타벅스식 브랜드 마케팅
스타벅스는 대중 매체를 통한 광고의 지원이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스타벅스 만의 특별한 브랜드 관리 원칙을 적용해 5년 만에 전국적인 브랜드가 된다.
③정신적 가치(Emotional Value)
스타벅스는 단순한 한 잔의 커피 그 이상의 것이다. 이러한 느낌은 맛, 서비스, 매장 분위기의 세 박자가 절묘하게 조화된 경험 그 자체이다.
④맛의 낭만
커피의 품질은 스타벅스의 브랜드력을 강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스타벅스 특유의 커피 맛은 엄격하게 통제된 품질 기준에서 비롯된다. 스타벅스 만의 노하우인 배전(roasting)과 블랜딩, 쿨링(Cooling)에서 진공팩 포장, 개봉 후 사용에 이르기까지 스타벅스의 품질 기준은 최고에 맞추어져 있다.
⑤서비스의 낭만
종업원들이 정교하게 준비된 훈련 프로그램에 의해 커피지식, 커피추출 시간, 고객서비스와 관련해 24시간짜리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하며, 신입 바리스타는 선배의 배려 하에 지속적인 교육과정을 거치게 된다.
⑥분위기의 낭만
스타벅스 매장이 만들어 낸 분위기는 스타벅스의 가장 큰 성장의 동인이었다. 많은 고객들에게 스타벅스는 단지 커피를 마시는 장소 이상의 어떤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곳이었다. 이를 위해 스타벅스의 매장은 고객이 보고 만지고 듣고 냄새 맡거나 맛보는 모든 요소의 체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세심하게 디자인되어 있다.
5. 나뚜루 -녹차 아이스크림의 선두자
롯데제과에서 런칭한 브랜드. 롯데제과 내에서 나뚜루사업부나 나뚜루팀과 같은 형태로 존재하는 것임.
1998년 나뚜루 아이스크림 생산, 영업 개시. 현재 전문점 170점. 1999년부터는 아이스크림 케익 발매.
2003년 마일리지 카드 도입, 2004년부터는 모든 이동통신사와 제휴,
국내 최초로 녹차 아이스크림 판매시작. 주력상품으로 삼고 있음.
1)메뉴
-제품 형태는 바, 컵, 벌크, 케이크가 있고, 주요 맛은 바 닐 라, 초코, 커피, 딸기, 피스타치오, 녹차 등의 클래식한 맛.
-편의점에서만 파는 바나 컵 형태 제품은 비교적 종류가 적고 기본적인 맛 위주이고, 전문점에서 파는 벌크제품은 다양한 크기나 제품 형태, 맛을 가지고 있는데, 유지방이 들어있는 아이스크림과, 저지방?무지방 아이스크림, 가벼운 맛의 샤베트나 프로즌 요구르트를 모두 갖추고 있음.
2)가격대
배스킨라빈스보다는 100~200원 정도 비싼 편이고, 하겐다즈보다는 쌈.
가격은 높은 편이나 비슷한 종류의 경쟁사들에 비해 특별히 높은 가격은 아니며, 가격대비 만족감은 경쟁사와 비슷한 정도. 할인제도는 없으며, 대신 쿠폰제를 도입하여 일정횟수 이상 구매시 공짜로 아이스크림을 제공하고 있음.
3)인기비결
①고품질
-유지방이 14% 이상, 공기주입량이 20%인 고밀도 Super premium 아이스크림. 또한 100% 천연원료로만 만들며, 인공색소나 향료, 화학적인 유화제?안정제는 사용하지 않는 자연산 제품.
-특수 제조된 나뚜루 쇼케이스에서 최적의 온도로 세심하게 보관되어 언제나 좋은 품질의 아이스크림을 먹을 수 있음.
②고급스러운 이미지
-북유럽의 깨끗하면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주는 디자인.
-Brand Image Concept : 자연을 뜻하는 영어단어"Nature"와 여행을 뜻하는 "Tour"의 합성어로 자연에서 느끼는 신선함과 깨끗함, 여행에서 느끼는 즐거움, 설레임을 갖는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갖는 Brand. 북유럽의 신비스럽고 깨끗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 감성적이고 이지적인 Concept을 갖는Brand
4)장애요인-적은 점포수
-점포수가 적어 소비자의 접근이 불리하고 상가, 시내 등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집과의 거리가 멀어 이용에 장애가 있다. 학생이나 직장인들이 자주 접근하지 않는 백화점 내부에 주로 입점해 있는 것도 이용빈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5)Promotion
판촉물을 제작, 지원하고 TV광고나 잡지, 극장, 기타 시식행사 등의 광고를 하고 있으나 광고효과가 부족한 상태. 전문점을 더 많이 오픈해서 시각적인 이미지 홍보를 통해 인지도를 강화시킬 필요 있음. 경쟁사에 비해 인지도가 많이 낮은 편이고, 연령별로는 대학생, 직장인 층에 가장 많이 알려진 편.
6. 하겐다즈 - 슈퍼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하겐다즈는 55여개국 이상에서 판매되고 있는 전 세계적인 수퍼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브랜드로, 한국에는 1991년에 진출, 현재 16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음.
일반 아이스크림의 타겟인 어린이가 아닌 프리미엄 계층의 성인소비자를 타겟으로 함.
미국 본사로 부터 최고의 품질로 만들어진 완제품을 수입해서 판매.
오바론 공법을 사용, 아아스크림에 공기 함유율을 20%로 줄임. 최고의 맛 제공.
베스킨라빈스의 지난해 매출액 350억원에 비하면 하겐다즈의 100억원은 매우 작지만 자신들의 품질위주의 경영방식에 더 큰 자부심을 가지고 있음.
1)메뉴
-바, 컵, 아이스크림 퐁듀, 아이스크림 튀김(in 하겐다즈 카페)
2)가격대
-3.000원 이상~
3)Promotion of Haagen Dazs
하겐다즈는 일반 아이스크림의 타겟인 어린이가 아닌 프리미엄 계층의 성인소비자를 타겟으로 감각적이고, 자유분방하며 즐거운 삶을 소구하였다. 이러한 메시지는 기존에 널리 활용되던 대중매체가 아닌 독특한 채널을 통하여 전달되었다.
① 非대중매체의 활용- 고급스러운 연상이 브랜드에 전이되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
-유동인구가 많으며, 고급스럽고, 지명도 높은 지역에 '하겐다즈'는 독특하게 디자인된 까페 분위기의 직영매장을 오픈하였다. 이는 기존의 전통적이고, 평범한 미국식 아이스크림 매장과 차별화하기 위함이었다. 고급 레스토랑과 호텔에 '하겐다즈' 전용 냉동판매대를 설치해주거나, '하겐다즈'라는 브랜드를 메뉴에 명시되도록 한 것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② 대중매체의 활용
-'하겐다즈'의 전용 냉동판매대를 소매점에 설치하고, 방송매체 보다는 인쇄매체를 통해 ?최고로 즐거운 경험? ?침실에 갖춰 놓아야 할 새로운 물품?이라는 메시지를 기존의 타겟인 아이들이 아닌 ?성인?에게 소구하였다.
③ 기타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활용
- '하겐다즈'는 Sales Promotion의 측면에서, ?Haagen Dazs Privilege Club?이라는 커뮤니티를 만들어 이들에게 멤버쉽을 부여하고,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클럽은 ?수퍼 프리미엄클럽?과 ?VIP카드프로그램?, ?다즈클럽 for Kids?라는 세 개의 서비스로 나누어지며 각각 메뉴를 10~20%할인을 해주거나, 포인트를 적립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핵심고객인 클럽의 회원들에 한정하여 차별화 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들을 통하여 확실한 품질관리를 통한 구전(word of mouth)의 활성화라는 시너지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7. 떼르드글라스 - 천연 과일 아이스크림
천연재료를 매장에서 직접 갈아 만드는 건강?다이어트 아이스크림 전문점.
기존의 산업 아이스크림과는 달리 인공향료나 색소가 첨가되어있지 않은 천연의 맛 제공.
소비자들의 건강 및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증대로 인해 '떼르드글라스'는 폭발적인 수요 증가추세에 있다.
기존의 프리미엄급 아이스크림 시장에 완벽한 차별화를 선언하는 홈-메이드 방식과 아이스크림의 종류에 퓨전개념 도입 강조.(쑥,녹차,미숫가루 등등)
1)메뉴
- Package : 컵(대,중,소)천연생과일로 만들어진 자연 아이스크림, 케잌.
2)가격대
-1.700원~9.900원
3) 마케팅 포인트
- 무향료, 무색소의 무공해 아이스크림
- 저지방, 저칼로리, 저콜레스테롤의 건강 아이스크림
- 다이어트와 생활의 활력을 약속하는 미용 아이스크림
- 외국에 로얄티를 지불하지 않는 신토불이 아이스크림
4) 떼르드글라스의 장점
-젊은 여성들과 신세대 사이에 크게 어필하고 있으며, 대학가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전파되어온 국내 1위의 과일아이스크림 이라는 브랜드 이미지 또한 젊은 층의 뇌리 속에 깊이 각인 되어져있다. 저지방 저칼로리와 Fusion개념을 도입한 철저한 차별화 정책으로 기존의 시장에서 브랜드 파워의 우위를 점하고 있다.
특히, 세계적인 추세인 Bio열풍과 더불어 저지방, 저칼로리의 건강아이스크림 시장 또한 밝은 미래를 보장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5)Promotion
-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방송 및 지면 홍보(TV광고,드라마삽입,언론매체홍보 등등) 진행
- 계절별 특성에 따른 메뉴의 다양화 및 기념일을 통한 이벤트홍보.
- 신규점포 OPEN시 치밀한 상권분석을 통하여 매출부진에 따른 폐업가능성 극소화.
- 고객카드,할인카드,상품권등의 전매장 공용화를 통한 체계 있는 고객관리.
- 타업종과 연계한 적극적인 문화 마케팅 기법 도입.
<경쟁사 분석표>
나뚜르 |
하겐다즈 |
떼르 드 글라스 |
레드망고 |
아이스베리 |
스타벅스 |
커피 빈3.8 | |
M O D E L |
▪바, 컵, 벌크, 케이크 ▴주요맛 바닐라, 초코커피, 딸기,피스타 치오,녹차등 클래식한맛 위주 |
▪바, 컵, 아이스크림 퐁듀, 아이스크림 튀김 등. |
▪컵(대,중,소) , 케잌, 벌크, 케이크 ▴주요맛 각종 계절과 일맛, 녹차, 호두, 고구 마, 호박 등 토속적인 맛 |
▪저지방요구 르트, 저지 방요구르트 빙수, 저지 방요구르트 주스, 에스 프레소& 음료, 빵. |
▪빙수 (쟁반빙수), 선데, 주스, 드링크, 샌드위치& 케이크 |
▪각종 커피, 스콘(빵), 머핀, 샌드위치, 세이보리 (조리빵), 페스츄리, 케이크 등 |
▪커피는 물론 베이글, 쿠키, 샌드위치, 케이크 등 의모든 베이커리, 다양한 허브차 |
P R I C E |
▪베스킨라빈 스보다는 100~200 원 정도 비싼편, 하겐다즈 보다는 싸다. |
▪가장 고가 격대 유지 |
▪1700원 ~ 9900원 정도의 분포 |
▪4000원 ~ 6.000원 (2인기준) |
▪쟁반빙수 가격은 2인 분 5500원 /3인분 7800원 /4인분 9900원 |
▪커피 4000 원대 이상 |
▪3800원 ~ 5900원 |
장 정 |
▪고급스러운 이미지 고급원료사 용 아이스 크림최적의 상태유지 |
▪세계적인 수퍼 프리 미엄 아이 스크림 브랜드 오바론 공법 사용 (최상의 품질 유지) |
▪천연생과일 사용(무색 소, 무향료 저지방, 저 칼로리, 저 콜레스테롤 순수국내기업 (애국심 유발) 홈-메이드 방식 |
▪저칼로리, 달지 않음, 웰빙흐름과 맞음,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시장의 1인자 |
▪양에 비해 싼 가격대, 매장수 많 아 접근성 높은편, ꡐ빙수ꡑ라는 특정상품 주력개발. |
▪고급스러움 맛있는 커 피, 매장수 압도적으로 많음(국내 에도100개 이상) 하나의 브랜드로 이미지 구축 |
▪질 좋은 원두사용, light roast Fat free, Ice Blended |
단 점 |
▪매장수 적음 다소 높은 가격대 맛의 가지 수 적은 편 |
▪가격대 가 장 비쌈. 매장수 적 어 접근용 이성 매우 떨어짐 |
▪방송 및 지면 홍보부족 매장마다 맛이 다름 원료가 계절의 영 향을 많이 받음 |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시장으로의 경쟁자 진입 가속화 |
▪혼잡한 매장, 망한 이미지. |
▪혼잡한 매장, 비싼 가격대, 너무 짙은 커피맛. |
▪비싼가격대 스타벅스 보다 매장 수 적음. |
<경쟁사 광고 분석>
나뚜르 |
하겐다즈 |
레드망고 |
이외의 경쟁사들 | |
CONCEPT |
▪깨끗함, 천연 |
▪관능적이고 감미 로운 즐거움 |
▪ꡒ나를 사랑하자ꡓ |
▪떼르 드 글라스, 아이스 베리, 스타벅스, 커피 빈. ⇓ ․현재로선 대중매체에 집행하고 있는 순수광고는 없으며, 간혹 뉴스 릴리즈나 PPL이 이루어지는 정도이다. |
표현전략 |
▪이나영이라는 깨끗한 이미지의 모델을 기용, 대표상품인 녹차아이스크림을 광고. 이미지에 기대는 감성소구광고. |
▪아이스크림 광고임에도 불구, 아이스크림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전체적인 분위기를 조성한 다음 살짝 아이스크림을 삽입시키는 정도. 감성소구 광고. |
▪ PPL등을 통한 장소 중심의 마케팅 ▪ 내부에 색깔 마케팅을 통한 호감도 증가를 꾀하도록 하고 있음 ▪ 티브이나 대중매체 광고보다는 쿠폰 위주의 홍보 중심임. | |
매체 |
TV/ 인쇄/ 잡지 |
▪잡지, 뉴스릴리즈와 이벤트 이루어지고 있음. |
▪코코펀북(쿠폰잡지) 뉴스릴리즈(각종잡지) |
3) 베스킨 라빈스 31 자사분석
W | |
l l 제품선택의 폭이 넓음 l l 소비 상황에 따라 판매되는 아이스크림 종류가 매달 교체 l l 넓게 분포된 프렌차이즈점 l l 이벤트 행사 등을 통한 가격 할인 및 증정품 증여 l l 아이스크림 마다 독특한 이름을 가지고 있음 l l 해피포인트카드 - 파리바게뜨, 베스킨라빈스, 던킨도너츠, 르노뜨르 포인트 적립카드. |
l l 좁은 매장으로 인해 Take Out의 형태가 많음 l l 높은 가격 측정 l l 대표적인 상품의 부재 l l 외국 기업이라는 부정적 이미지 l l 주요고객층이 10대에 집중됨(50%) - 10대의 특성상 쉽게 질리고 새로운 것을 탐색하기를 좋아함 |
O |
T |
l l 고급 프리미엄 아이스크림의 대중화 l l 충북 음성에서 직접 아이스크림을 제작-신선한 제품 유지 l l |
l l 레드망고, 아이스베리 등 새로운 시장 진입자의 위협 l l 저관여 제품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새로운 것에 대한 시도로서 경쟁제품을 구매할 확률이 높음 l l 베스킨라빈스-빙그래, 아이스크림 상표 분쟁 l l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위축 |
3) 제품분석(일반분석)
1.종류
베스킨라빈스 |
하겐다즈 |
나뚜루 |
떼르드글라스 | |
Flavor |
50 |
26 |
28 |
33 |
cake |
9 |
7 |
14 |
11 |
기타 |
13 |
10 |
24 |
10 |
*베스킨라빈스는 다른 업체에 비해 보다 많은 flavor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로고
하겐다즈 |
나뚜루 |
떼르드글라스 | |
* 밝은 핑크 색과 시원한 감각의 청색으로 구성, 열린 원과 31의 의미는 새로운 영역에 대해 항상 열려있어 항상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진취적인 것을 추구하겠다는 것을 상징.하겐다즈는 진한 감미로움과 부드러운 텍스쳐에 강세를 두어 로고가 고풍스러운 느낌. 나뚜루는 배스킨과 같은 계열의 flavor에 주류를 이루지만 로고는 하겐다즈를 약간 모방한 느낌이 듬. 떼르드글라스는 둥근원에 다른 제품 로고와 차별화를 두었음.
3.제품포장
하겐다즈 |
나뚜루 |
떼르드글라스 | |
*베스킨라빈스의 포장은 색상이 다양하고 전체적으로 통일된 포장이다.
스쿠핑(Scouping)타입 - 매장에서 직접 아이스크림을 퍼주는 형태포장 형태(콘,비닐,아이스 박스,컵,몰드 등)가 다양하여 소비자에게 만족을 줌
4.가격
나뚜루 |
하겐다즈 |
떼르드글라스 | |
싱글레귤러컵(콘):2000 |
싱글콘(컵):2000 |
싱클컵/콘:3300 |
콘:1700 |
더블레귤러컵(콘):3600 |
더블콘(컵):3500 |
더블컵/콘:5400 |
컵(소):2300 |
라지컵(콘):2400 |
파인트컵:5000 |
싱글와플:3800 |
컵(중):5500 |
파인트:4900 |
쿼트컵:9500 |
더블와플:5900 |
컵(대):9900 |
쿼터:9400 |
파티컵:12000 |
파인트:8500 |
과일썬데:4000 |
패밀리:11400 |
|
쿼트:14000 |
버블티:3500 |
하프겔론:16900 |
|
|
스무디:4000 |
핸드팩세트:17900 |
|
|
|
5. 그밖의 제품 특징
하겐다즈 |
나뚜루 |
떼르드글라스 | |
*외국브렌드중 유일한 국내 생산(향료만 수입) *고온, 단시간 살균 *다양한 고급원료사용 |
*천연,최상의원료사용 *기본원료는 생크림 *가장 낮은 공기 함유율, 높은 밀도 |
*천연고급원료 사용 *인공색소,향료사용안함 *유통/보관(항상-20도이하) |
*건강, 다이어트 아이스크림 *무향료, 무색소의 무공해 아이스크림 |
4) 소비자분석
배스킨라빈스의 주요 소비자는 10대 후반부터~20대 초반으로서(출처: 배스킨라빈스) 소비자 층의 성비는 여성 76 대 남성 24이며, 여성 소비자가 남성 소비자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주요 소비자가 여성 층이기에, 지금까지의 광고 방향과 크리에이티브 전략 역시 여성에 중점적으로 소구하였다고 현재 배스킨라빈스 광고를 제작하는 대행사 LG AD 관계자는 밝혔다.
소비자의 80%가량이 학교 근처나 시내 중심가의 배스킨라빈스를 즐겨 이용하며, 이들 중 27%는 정기적으로 배스킨라빈스를 이용한다. 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고정적인 소비자층이 아이스크림을 특별히 좋아해서 배스킨라빈스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배스킨라빈스가 제공하는 편익과 맛을 즐기기 위해서 찾는다는 사실이다. 즉 현재 아이스크림 시장은 500원부터~ 1만원대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소비자는 가처분 소득의 양에 따라 아이스크림을 소비할 수 있다. 배스킨라빈스를 즐겨 이용하는 소비자 역시 500원 짜리의 편의점의 아이스크림을 대신 이용할 수 있지만, 이들이 배스킨라빈스를 찾는 결정적인 이유는 아이스크림 그 자체라기 보다 배스킨라빈스라는 브랜드가 제공하는 편익과 즐거움인 것으로 현재 광고 대행사인 LG AD 관계자는 말했다.
이러한 결과는 고무적이며, 배스킨라빈스가 앞으로 나아갈 기본적인 전략 방향을 나타내준다. 더 나아가 아이스크림을 단순히 판매하는 수많은 아이스크림 가게 중의 하나가 아니라 배스킨라빈스라는 브랜드가 제공하는 분위기와 추가적 가치(extra value)를 제공해야 한다.
'식품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집]업종별 결산 및 07년 전망① - 제과 (0) | 2007.01.26 |
---|---|
아이스크림업체별 현황 (0) | 2007.01.10 |
비타민 神秘를 풀어본다 (0) | 2006.12.31 |
간단식품상식 (0) | 2006.12.31 |
[청국장] 날 청국장 그대로가 성인병 예방과 치료제 (0) | 2006.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