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유망]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시장동향 | ||||||||||||||||||||||||||||||||||||||||||||||||||||||||||||||||||||||||||||||||||||||||||||||||||||||||||||||||||||||||||||||||||||||||||||||||||||||||||||||||||||||||||||||||||||||||||||||||||||||||||||||||||||||
---|---|---|---|---|---|---|---|---|---|---|---|---|---|---|---|---|---|---|---|---|---|---|---|---|---|---|---|---|---|---|---|---|---|---|---|---|---|---|---|---|---|---|---|---|---|---|---|---|---|---|---|---|---|---|---|---|---|---|---|---|---|---|---|---|---|---|---|---|---|---|---|---|---|---|---|---|---|---|---|---|---|---|---|---|---|---|---|---|---|---|---|---|---|---|---|---|---|---|---|---|---|---|---|---|---|---|---|---|---|---|---|---|---|---|---|---|---|---|---|---|---|---|---|---|---|---|---|---|---|---|---|---|---|---|---|---|---|---|---|---|---|---|---|---|---|---|---|---|---|---|---|---|---|---|---|---|---|---|---|---|---|---|---|---|---|---|---|---|---|---|---|---|---|---|---|---|---|---|---|---|---|---|---|---|---|---|---|---|---|---|---|---|---|---|---|---|---|---|---|---|---|---|---|---|---|---|---|---|---|---|---|---|---|---|---|
게시일 | 2017-09-11 | 작성자 | 최진형 | ||||||||||||||||||||||||||||||||||||||||||||||||||||||||||||||||||||||||||||||||||||||||||||||||||||||||||||||||||||||||||||||||||||||||||||||||||||||||||||||||||||||||||||||||||||||||||||||||||||||||||||||||||||
국가 | 러시아 | ||||||||||||||||||||||||||||||||||||||||||||||||||||||||||||||||||||||||||||||||||||||||||||||||||||||||||||||||||||||||||||||||||||||||||||||||||||||||||||||||||||||||||||||||||||||||||||||||||||||||||||||||||||||
무역관 | 모스크바무역관 | ||||||||||||||||||||||||||||||||||||||||||||||||||||||||||||||||||||||||||||||||||||||||||||||||||||||||||||||||||||||||||||||||||||||||||||||||||||||||||||||||||||||||||||||||||||||||||||||||||||||||||||||||||||||
HSCODE | 8438 | ||||||||||||||||||||||||||||||||||||||||||||||||||||||||||||||||||||||||||||||||||||||||||||||||||||||||||||||||||||||||||||||||||||||||||||||||||||||||||||||||||||||||||||||||||||||||||||||||||||||||||||||||||||||
- 서구 식품 수입제재로 러시아 식품 제조 및 농산물 생산 확대 - - 2016년 기준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수입, 한국 수입만 72.4% 증가 -
□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시장규모
ㅇ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국내 시장규모는 2014~2015년 동안 크게 감소했으나 2016년부터 소폭씩 회복 - 생산기준으로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생산규모는 연간 1억8000만~2억2000만 달러로, 2014년부터 겪은 경기침체에도 지속적으로 증가세 기록 -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수입규모는 연간 5억~8억 달러이며, 2014~2015년간 큰 폭으로 감소했다가 2016년부터 소폭씩 회복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시장규모
□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생산동향
ㅇ 2010년 러시아 정부는 국내 식품 안정성 및 생산 확대를 위해 2020년까지 곡물 95%, 설탕 80%, 육류 85%, 채소 및 식용기름 80%, 감자 95%, 유제품 90% 이상이 국내산으로 공급되도록 계획 수립 - 2012년 러시아 정부는 관련 계획 수립과 연계, '2020년 식품 가공산업 확대 전략'을 수립 - 러시아 정부의 이같은 정책 수립은 2014년 대러시아 서방 경제제재에 대응한 서방국가들의 식품 수입 제한과 연관돼 있는 것으로 파악
ㅇ 러시아 정부 지원 및 시장 수요의 결과로 2016년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국내 생산은 전년대비 19.8% 증가 - 유제품 가공설비 생산성장률은 29.8%, 육류 가공설비는19.5%, 생선 및 해산물 가공 기계는 34.2%, 설탕 생산설비는 50.3%, 베이커리 설비는 22%가 증가 - 다만, 음료 및 알코올 생산설비는 2.9% 감소했음. Russia’s Domestic Output of Some Kinds of Food-Making Machinery
자료원: 러시아 연방 통계청 □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수입동향 ㅇ 러시아로 수입되고 있는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중 육류가공설비 비중이 가장 큼. 베이커리, 당과류, 음료 제조설비 순으로 조사됨. - 2014년 이후로 전반적으로 수입은 감소했으나 음료와 채소 및 견과류, 설탕 가공설비는 증가
러시아의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수입 비중(%) 자료원: WTA(KOTRA 무역자료실 제공) 활용,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편집
ㅇ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주요 수입국은 독일,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 EU 국가들임. - 독일 기계 및 설비의 수입비중은 21~31%로 러시아 수입시장 점유율이 압도적이나, 2014~2015년간 거의 50% 이상 감소했다가 2016년부터 회복세 - 네덜란드와 이탈리아의 경우는 2014년 이후로 지속 감소 중인 반면, 터키로부터의 수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ㅇ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나 2014년부터의 전반적인 수입 감소에도 꾸준히 증가 추세 - 한국산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수입비중은 0.5%에서 1%까지 증가했으며 2015년 대비 2016년 수입규모는 39.5% 증가 - HS Code별로 구분해보면 한국산 식품 가공기계 및 설비는 러시아 수입 비중 순위로 10위 이내이며, 부품과 베이커리 설비 등의 러시아 수출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
한국산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의 러시아 수입 비중 순위
자료원: World Trade Atlas 한국산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유형
자료원: www.voltekgroup.com
□ 경쟁동향
ㅇ 러시아 내 생산되고 있는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는 주로 베이커리 및 당과류, 육류, 유제품, 마카로니, 곡물 정제 설비 등임. -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생산공장은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와 같은 대규모 경제 도시에 집중해 있으며 로스토프, 칼루가와 같은 농업 지역에도 분포해 있음.
ㅇ 러시아에 진출하는데 성공한 외국계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회사는 주로 EU 국가들임. - 음료 생산설비로는 독일의 Heinrich Huppmann Handel GmbH, Ziemann Ludwigsburg, KHS Maschinen과 스웨덴(스위스)의 TetraPak이 대표적인 사례 - 당과류인 경우는 독일의 Hebenstreit, Chocotech, Klokner Hensel, Anton Ohlert, DMH Maschinenhandel Deutchland와 오스트리아의 Franz Haaz Waffel und Keksanlagen Industrie가 대표적임. - 육류의 경우는 독일의 CFS, Vemag Maschinen und Anlagenbau와 네덜란드의 Meyn Food Processing Technology, Stork PMT, 스웨덴의 Frigoscandia Equipment 등임. - 기타로 Wynveen International(네덜란드), Winkler und Deunnerbier Suesswarenmaschinen(독일), Nivoba(네덜란드), Kraft Food(독일), Haarslev Industries(덴마크) Ferrero(이탈리아), GEA Food Solutions(미국), Rondo(스위스), Schaller Lebensmitteltechnik(오스트리아) 등도 인지도가 높은 회사들임.
러시아 내 유통중인 주요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자료원: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체 조사 러시아 내 주요 경쟁사 품목 정보
자료원: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체 조사
□ 유통구조 및 통관
ㅇ 러시아의 식품가공 유통구조는 큰 특징은 없으나 기존 EU 국가들의 현지 진출기업들은 대부분 자체적인 유통경로를 확보하고 있거나 독점계약 현지 파트너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음.
러시아의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유통구조 자료원: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작성
ㅇ 통관 절차는 매우 일반적이나 현지 생산 부족은 관세가 영세율이라는 점이 장점임. - 다만, 부가가치세는 18%이며, 위생 및 안전 검역이 까다로운 편임.
□ 진출 방안
ㅇ 러시아의 제조업 지원정책에 따라 식품가공산업은 꾸준히 발전할 것이나, 기계 및 설비의 현지 생산 한계로 당분간 수입에 의존할 가능성이 커 한국산 설비의 수출 진출을 크게 고려해 볼만한 상황
ㅇ 러시아인들의 식문화는 유럽과 유사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EU 국가 기계 및 설비들의 현지진출 비중이 절대적이나, 최근 러시아 식문화 다변화로 한국식 식품가공설비 수요도 증가 전망
ㅇ 전시회 및 사절단 등 현지 수요 파악이 가능한 행사 참여로 홍보 전략 수립이 중요
자료원: 러시아 연방 통계청, World Trade Atlas(KOTRA 무역자료실 DB), 관련 사이트(www.voltekgroup.com, www.klenmarket.ru 및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 |
'러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크라이나에는 어떤 한국 식품들이 판매될까? (0) | 2017.12.21 |
---|---|
러시아 커피시장, 성장과 동시에 고급화 (0) | 2017.10.31 |
[유망]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및 설비 시장동향 (0) | 2017.09.11 |
러시아에서 판매되는 한국 식품들 (0) | 2017.09.04 |
러시아 요식업 프랜차이즈시장 살펴보기 (0) | 2017.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