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칠레, 웰빙제품에 대한 관심 증가 | |||||||||||||||||||||||||||||||||||||||||||||||||||||||||||||||||||||||||||||||||||||||||||||||||||||||||||||||||||||||||||||||||||||||
---|---|---|---|---|---|---|---|---|---|---|---|---|---|---|---|---|---|---|---|---|---|---|---|---|---|---|---|---|---|---|---|---|---|---|---|---|---|---|---|---|---|---|---|---|---|---|---|---|---|---|---|---|---|---|---|---|---|---|---|---|---|---|---|---|---|---|---|---|---|---|---|---|---|---|---|---|---|---|---|---|---|---|---|---|---|---|---|---|---|---|---|---|---|---|---|---|---|---|---|---|---|---|---|---|---|---|---|---|---|---|---|---|---|---|---|---|---|---|---|---|---|---|---|---|---|---|---|---|---|---|---|---|---|---|---|---|
게시일 | 2015-09-22 | 국가 | 칠레 | 작성자 | 김주영(산티아고무역관) | |||||||||||||||||||||||||||||||||||||||||||||||||||||||||||||||||||||||||||||||||||||||||||||||||||||||||||||||||||||||||||||||||||
품목 | 품목코드 | |||||||||||||||||||||||||||||||||||||||||||||||||||||||||||||||||||||||||||||||||||||||||||||||||||||||||||||||||||||||||||||||||||||||
칠레, 웰빙제품에 대한 관심 증가 - 매년 건강보조제 및 비타민 수입 및 소비 증가 - - 홍삼으로 제조한 건강보조제 인기 -
□ 시장 현황
○ 시장규모 -칠레는 라틴아메리카에서 건강보조식품 규모가 큰 국가 중 하나로, 2014년 판매액은 305억 페소(CLP)로 전년대비 9% 증가
건강보조식품 및 비타민 판매량
○ 유통 구조 - 건강보조식품 및 비타민 등 제품 구매의 95%가 칠레 3대 약국 브랜드 Cruz Verde, Salco brand, Farmacias Ahumada에서 이루어짐. - 앞서 언급한 약국에서는 다양한 약품을 판매하면서, 특정업체와 독점 계약을 체결해 관련 제품을 주력 제품으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음. - Farmacia Ahumeda는 GNC의 제품들을 독점 판매하고 Cruz Verde는 vitamin choice의 제품들을 미국에서 수입 판매. Salco Brand는 Vitamin life wellness science의 제품 판매
○ 시장 전망 - 칠레의 건강보조식품 시장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19년까지 연평균 2.5%씩 시장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수요 증대 예상 요인 - 칠레는 점점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나라로, 2020년에는 전체 인구의 17.3%가 노인 인구로 예상되며, 칼슘, 마그네슘 및 눈 건강과 관련된 건강식품도 증가 예상 - 2013년 칠레 인구의 33%가 비만 인구로, 정부가 적극적으로 비만 인구 감소를 위해서 노력 중임. 보건부는 2020년까지 Elige Vivir Sano 건강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비만에서 비롯되는 질병에 대한 교육을 시행함. 이러한 캠페인은 비타민과 건강기능식품 소비를 권장하고 모든 연령대의 사람이 제품을 소비하게 만듦.
○ 칠레 건강보조식품 수입 동향
(단위: 달러, %)
- 칠레의 건강보조식품 수입량은 총 1억4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4.57% 증가했음. - 미국이 27.76%로 가장 많은 수입량을 기록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스페인, 아르헨티나가 각각 12.53%, 8.21%로 높은 점유율을 기록 - 한국은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음.
○ 제품 현황 - 뼈 건강과 관련된 제품은 건강보조제 판매 부분에서 매년 20% 이상 차지
뼈 영양제 판매 순위(2014년 매출액 기준)
- 최근 칠레에서 홍삼에 대한 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GNC에서 홍삼으로 만든 제품의 2014년 소비는 2013년 대비 28% 증가함.
홍삼 함유 보조제 판매량
□ 주요 경쟁업체
(단위: %)
자료원: Euromonitor
□ 시사점
○ 미국, 캐나다에서 수입한 한국산 홍삼으로 만든 제품의 수요가 꾸준히 증대하는 바, 우리 기업들도 한국의 주요 특산물인 홍삼 및 전통 약초를 특화시킨 건강보조식품을 출시해볼 만함.
○ 칠레는 약국을 통해서 건강보조제를 구입하는 경우가 대다수. 제품의 인지도가 없을 시에는 약국을 통해서 홍보 및 판매를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자사 브랜드의 입지를 굳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봄.
자료원: Euromonitor, Wolrd Trade Atlas 및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자료 종합 |
'미국, 캐나다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 최대 식료품 소매·유통 전시회 GIC 참관기 (0) | 2015.11.18 |
---|---|
칠레, 가파른 성장세 보이는 음료시장 (0) | 2015.10.06 |
캐나다, 트렌디한 슈퍼푸드 ‘케일’ (0) | 2015.10.06 |
미국 인기 식재료 5종테프·아보카도·마차·호박씨·렌틸콩 (0) | 2015.09.22 |
미국 식품·외식 시장 트렌드, 곤충·말차·DIY 과채 혼합수…주한미국농업무역관 ‘컬리너리 캠프’ 개최… 신메뉴·조리법 공개 (0) | 2015.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