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중국 숙취해소음료시장 현황 | ||||||||||||||||||||||||||||||||||||||||||||||||||||||||||||||||||||||
---|---|---|---|---|---|---|---|---|---|---|---|---|---|---|---|---|---|---|---|---|---|---|---|---|---|---|---|---|---|---|---|---|---|---|---|---|---|---|---|---|---|---|---|---|---|---|---|---|---|---|---|---|---|---|---|---|---|---|---|---|---|---|---|---|---|---|---|---|---|---|---|
게시일 | 2015-09-01 | 국가 | 중국 | 작성자 | 임정민(선양무역관) | ||||||||||||||||||||||||||||||||||||||||||||||||||||||||||||||||||
품목 | 품목코드 | ||||||||||||||||||||||||||||||||||||||||||||||||||||||||||||||||||||||
중국 숙취해소음료 시장 현황 - 음주인구 5억 명, 잠재가치 500억 위안 - - 가격대비 만족도 낮은 편, 소비자 인식 제고가 관건 -
□ 중국 주류시장 규모
○ 2014년 세계 주류시장 규모 상위 10개 국가 자료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2014년 주류시장 규모는 중국이 686억7700만ℓ(29.6%)로 가장 크고, 이어 미국 302억3000만ℓ(13.0%), 브라질 146억5600만ℓ(6.3%), 독일 115억7300만ℓ(5.0%), 러시아 113억2800만ℓ(4.9%) 순임. - 최근 10년간 주류시장 규모 연평균 성장률(2005~2014년) 상위국으로는 인도 12.9%, 베트남 10.9%, 나이지리아 8.4%, 중국 6.5%, 말레이시아 5.7% 순임.
○ 2015년 춘절기간 중국 성시(省市) 일평균 주량 순위
자료원: 生命时报
- 중국인 음주 인구는 약 5억 명으로, 그 중 음주를 즐기는 인구는 70%가량임. 신분, 지위가 높은 음주 인구는 1%도 안 됨. - 2015년 춘절기간 일평균 주량 순위는 산둥, 허베이, 장쑤, 허난, 베이징, 랴오닝, 안후이, 산시, 지린, 후베이 순임. - 생명시보(生命时报)가 중국 26개 성·직할시·자치구 네티즌 28만5000명을 대상으로 주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백주가 74%로 1위, 맥주가 21.5%로 2위, 와인이 8.8%로 3위를 차지함.
□ 중국 숙취해소음료 시장 현황
○ 중국 숙취해소음료 제품
○ 숙취해소음료 판매부진 원인 - 가격대비 만족도가 낮은 편으로, 허위·과대광고로 인해 소비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함. - 숙취해소제품으로 타오바오 검색 결과, “천 잔을 마셔도 취하지 않는다”, “음료를 마신 후 3분이 지나면 바로 술이 깬다” 등의 광고가 많음. - 상품 형태와 음료 맛이 소비자들의 구미를 당기지 못함. 음료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언제든지 마실 수 있고, 어딜 가든 휴대하고 싶다”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함.
□ 한국 기업 진출현황
□ 관련 전시회 정보
□ 시사점
○ 2001년 海王金樽(하이왕진준)이 숙취해소음료 시장을 점령했으나, 2006년 자취를 감춤. 현재 중국 내 강세를 나타내는 숙취해소음료가 없기 때문에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에도 충분히 승산의 기회가 있음.
○ 소비자들에게 숙취해소음료 제품을 각인시키고, 장기간 마셔야 효과가 있다는 인식을 줄 필요가 있음. 이러한 관념이 확립되기만 하면, 숙취해소음료는 음식점, KTV 등에서 인기제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 - 춘절, 중추절, 대입시험(高考), 대학 졸업식 등 중국인들이 특히 술을 많이 마시는 기간을 이용해 숙취해소음료 제품을 각인시킬 필요가 있음. - 중국 숙취해소음료 시장의 최종 목표는 어디서든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대중 소비품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임.
○ 허위·과대광고를 하지 않고,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여야 함. - 허위·과대광고가 아닌 “숙취해소음료 섭취로 주량을 늘릴 수 있다”, “장기간 마셔도 부작용이 없다” 등의 광고를 통해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함.
자료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生命时报, 网易新闻, 中国营销传播网, 3158重庆分站 및 KOTRA 선양 무역관 자료 종합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 푸드엑스포, 한국식품 최신 트렌트는? (0) | 2015.09.10 |
---|---|
2015년 한류상품박람회 中 상하이서 열려 (0) | 2015.09.10 |
中 음료시장, ‘니어워터’가 뜬다 (0) | 2015.09.10 |
대만, ‘집밥’보다 외식 선택하는 소비자 (0) | 2015.09.10 |
한국 식품 홍콩 진출, 최대 유통채널은? (0) | 201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