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 |
中,수입식품시장에서의 성공 전략 | |||
작성일 | ![]() |
2012-06-15 | 작성자 | ![]() |
심재희 ( jaehee@kotra.or.kr ) |
국가 | ![]() |
중국 | 무역관 | ![]() |
칭다오무역관 |
中,수입식품시장에서의 성공 전략 - 수입식품, 중국 중산층 이상에서 대중화 단계에 이르러 - - 수출 정식 유통망과 철저한 검사검역을 거쳐 한국 수입식품에 대한 신뢰감 높여야 - - 식품수출 성장가도 달리려면 소비자 교육, 판매경로 확대, 스타상품 출현 등에 집중해야 -
□ '고급소비', '우수한 품질'의 대명사, 수입식품 점점 중국 중산층의 신임 얻어
○ 중산층 수준의 소비자들에게 수입식품을 구매하는 것은 고급 소비생활을 의미 - 중국 내 수입식품 중에는 멜라민 파동으로 영향을 입은 영·유아 조제분유, 간식류 등이 다수를 차지함.
○ 중국 내 외국 식품의 검사·검역 표준 엄격해지자 수입식품 점점 더 환영받아 - 수입식품이 여러 번의 검사·검역을 거쳐 소비자들에게 유통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질량문제가 제기된 중국산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입식품을 점점 선호함.
□ 중국 내 수입식품 가격 고공행진
○ 수입식품가격 국내 동종제품 가격에 1.5~2배 - 1봉지에 400그램의 국산 아이스크림 판매가격이 20위안이 안되지만 수입브랜드 350그램의 아이스크림은 30위안 대에 이름.
○ 마트에서 판매되기 위해 '매장세' 요구돼 - 모든 마트에서 판매 중인 제품은 국내산과 수입산을 막론하고 매장에 들어오기 전에 모두 매장세 (때로는 상장비로 불림)를 내야만함. 더구나 수입식품의 경우 국산품보다 중간 물류단계가 많기 때문에 원가가 훨씬 올라 가격이 더 비싸짐. - 예) 한 봉지에 500g인 수입 스파게티 면의 까르푸 판매가격은 17.5위안이고, 인터넷 판매가격은 14.3위안임. 1캔에 120g인 수입산 주스의 까르푸 판매가격은 4.8위안이고, 인터넷 평균가격은 4.35위안임. 이상 예를 든 것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수입 식품이고, 수입과자는 가격이 가장 비싼 경우와 가장 싼 경우의 가격차가 거의 20위안임.
○ 수입제품 대중화 단계, 고위층 소비의 상징이란 인식 여전해 - 절대 다수의 중·저층 소비자들에게는 자주 가격이 치솟는 수입식품보다 물건도 좋고 값도 저렴한 제품을 소비하는 편임. - 중·저층 소비자들의 평소 소비습관을 보면, 주로 국산제품을 많이 구매하고 수입식품은 재미삼아 사먹거나 특별한 날 친구들에게 선물하기 위해서 구입하는 경우가 많음.
□ 중국 식품수출 시 수입규제사항과 핵심과제
○ 중문라벨 필수 - <중화인민공화국 식품 안전법>(이하 식품안전법이라 함.), <식품안전 국가표준 포장식품 라벨 통칙>등의 중국 식품안전 관련 법률법규의 규정에 따라 판매용 수입식품은 반드시 중국어 라벨을 부착해야 함. - 식품 라벨에는 식품명칭, 성분 및 정량 표시, 순수함량, 생산일자, 품질보증기간, 원산국 혹은 지역명칭을 아울러 중국 내 등록된 대리상이나 수입상의 명칭과 주소 등을 표시해야함.
○ <식품위생법>의 규정에 따라, 식품을 수출할 때 반드시 관련 <출입국검사검역위생증서> 제출 - 수출식품 안전위생 보장을 위한 적합한 수출 절차를 지킴으로써, 본 식품이 진짜 수입품이라는 것을 증명해야함.
○ 한국 수입식품에 대한 식품안전 신뢰 구축이 핵심 과제 - 올 해 5월 29일 국가 품질검역관리국에 따르면, 4월 전체 출입국 검사검역 기구는 질량안전항목 불합격 수입 식품이 202건이고, 식품 첨가제 품질과 미생물 등의 항목이 주로 불합격의 원인임이 밝혀지면서, 수입식품도 안전지대는 아니라는 시각이 나타남. - 식품위기를 여러 차례 겪은 중국 소비자들이 어떤 브랜드를 막론하고 100% 신뢰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한국 수입식품이 경쟁력을 가지려면 수입식품 안전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야 함.
□ 성공정인 수출식품기업이 되기 위한 5대 전략
○ 수입식품에 대한 홍보·교육 전략 강화 - 우수 식품기업일수록 브랜드 홍보와 교육을 중요시 여김. - 소비자들이 수입식품에 대해 합리적인 기준과 수입 원산지 개념 등을 명확하게 세우는 것을 도와 올바른 수입식품 소비문화를 적극적으로 인도하면서 장기적인 기업성장을 바라봐야 함. - (사례) 2011년 5월 다롄 마이칼 본점은 '일본수입식품제'를 개최함. 당시 일본 수입식품이 1000여 개에 달했고 종류로는 음료, 케이크, 떡, 과자류 등의 간식이 주를 이룸. 이러한 활동은 일본 수입식품의 홍보 역할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수입식품의 대한 인식을 제고시킨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져옴.
○ 품질+브랜드를 바탕으로 음식문화 수출 - 수입 식품을 통해 외국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음식을 맛보게 하고, 다양한 입맛을 만족시키는 것에그치지 않고, 식품에 담긴 우수문화 전파기회를 이용한다면 식품이 보다 특색을 가지고 더 높은 가치를 지니게 하는 효과를 냄. - (사례) 대부분의 수입포도주 소비는 주로, 프랑스 지역에서 생산된 것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 그 역사가 유구하고 산지가 우수해 질 좋은 포도주를 얻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사실은 프랑스의 포도주는 이미 하나의 음식문화가 됐다는 점임. 식품에 담긴 문화를 소비한다는 느낌은 수입 식품이 가져다주는 매력 중에 하나임.
○ 우수한 제품으로 구성된 세트 판매제품 전략 - 대부분의 수입식품이 성장기에 있지만 스타성 수입식품은 드문 편이라 제품 수량에 한계가 있고 제품라인 조합에도 한계가 있음. - 하지만 매장의 수입식품을 판매하는 코너의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산품을 늘리고,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중요함. 실제 수입식품 전문매장에서는 수입식품 판매와 동시에 재고부족을 호소함. - 제품의 종류를 확대하고 다양한 세트구성의 판매전략은 소비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다른 한 편으로는 매장의 수입을 증가시킴. 특히, 토산품과 특산품, 특색 선물류 등이 함께 판매됨. - (사례) 유명한 수입식품 프랜차이즈점 '食家物语' 등은 우수한 제품으로 종합세트를 구성해 판매량을 증가시킴.
○ 판매경로의 다원화 - 현재, 수입식품은 1선 도시에서 2선 도시로까지 나타나고 3선 도시로 급속히 확산됨. - 수입식품 소비자들이 점점 많아지고 소비지역이 확장됨에 따라 다양한 판매경로를 강화시키고 토산특산품 식품 전문매장, 종합적인 대형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판매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품 판매량 증가를 실현할 수 있음. - (사례) 중국 민남지역(푸젠, 광둥, 타이완)에서는 다양한 대만 식품을 볼 수 있음. 특히, 대만 과일, 특색 있는 식품 등으로 대형매장, 프랜차이즈점, 편의점 등에서 주로 판매가 이루어짐. 이러한 유통은 소비습성과 특징이 비슷한 지역에서 유통을 시작한 후 전국적으로 판매망을 넓히는 방법임.
○ 제품 스타화, 소비 대중화 - 현지 수입식품 중에 스타제품이 비교적 적고, 대량구매의 비율이 낮음. - 하나의 스타브랜드를 만들어 지속적으로 키우는 것이 식품수입기업이 빠른 성장을 할 수 있는 루트가 됨. - 제품 개발 시 주류 소비집단의 요구사항에 귀를 기울이고 대중의 요구에 맞추며 수입 식품제품 연구 개발, 시장 상품 판매, 기술력 등을 대중화 소비 방향에 맞추는 것도 좋은 방법임.
자료원: 국제상보(国际商报), 바이두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목 대륙 진출에 성공한 일본 기업의 비결(上) (0) | 2012.07.13 |
---|---|
제목 중국의 무시무시한 식품 안전사고 (0) | 2012.07.13 |
中 기상천외한 잇따른 식품사고, 한국산 중국진출엔 호기 (0) | 2012.07.04 |
수입식품 중국서 대중화 단계 (0) | 2012.06.29 |
제목 중국의 국민음료 왕라오지(王老吉) 상표분쟁 (0) | 201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