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콜릿

각종인증설명

곡산 2008. 2. 5. 22:00

페어 트레이드

영세규모의 카카오 농민들은 높은 국제가격에 비해 수입이 적습니다. 또한, 그들은 카카오의 가격 변동으로 인한 대비책을 세울 수도 없습니다. 페어 트레이드는 이러한 농민들을 도와 여러 위험을 줄이고 있습니다. 기본개념은 무역에 있어서 상품의 공정한 가치를 보장받는 것입니다. 페어드페이드는 새로운 개념이 아니며, 1988년 Max Havelaar 가 Netherlands에 세울 때부터 있었습니다. 상품의 가격에는 현재의 가치 외에도 앞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비용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는 무역을 계속 유지하기에 꼭 필요한 것입니다. 예를 든다면, 세계 카카오시장의 40%를 넘게 점유하는 아이보리코스트에서는 국제 여론을 멀리하고 아직도 어린이의 노동력을 갈취하고 있습니다. 저가의 노동력을 이용해야 하기에 발생되는 일로, 우리가 초콜릿을 즐기는 동안에도 어린이들은 노동착취에 희망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반인륜적 생산은 지속되어서는 안됩니다. 그런 문제가 없는 생산지에 페어트레이드 인증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페어 트레이드는 국제적인 카카오 가격을 제시합니다. 이 가격은 국제시장 가격에 페어트레이드 프리미엄이 더해진 것입니다. 2005년을 기준으로 한다면 카카오 국제가격은 톤당 1600불이며, 페어트레이드 프리미엄은 톤당 150불입니다. 페어트레이드는 카카오 무역에만 한정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바나나, 커피, 녹차, 파인애플, 망고, 심지어 쌀까지의 분야에서 생산자의 미래를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농민들은 엄격한 페어트레이드 인증 규정에 따라 생산에 필요한 자금을 미리 받게됩니다. 페어트레이드 프리미엄은 농민들에게 투자의 동기를 부여하며, 페어트레이드는 기금의 운용으로 생산 방식의 교육과 어린이들의 교육을 돕게 됩니다. 인증하는 지역 및 시간차에 따라 다른 로고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페어트레이드 기구
유럽의 페어트레이드 로고
미국의 페어트레이드
다고바 제품의 인증마크
 
 

레인포리스트 얼라이언스 - Rainforest Alliance

긴 이름을 가진 Rainforest Alliance는 1989년에 세계 최초로 친환경 인증을 시작하였습니다. 나무, 종이등의 재활용에 앞서왔고, 많은 지역의 수림에 인증을 부여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서 생산된 나무, 종이부터 가구에 이르기까지 페인포리스트 얼라이언스 인증을 사용하게 되고, 소비자의 환경의식을 고취하여 왔습니다. 에쿠아도르 지방에서 친환경 생산을 교육하고, 점검하며, 인증을 내려주고 있습니다. 자연과 인류가 공존하는 지구, 모든 인류가 원하고 있습니다.

 
 

R.A. 포스터
R.A. 로고
Chiquita사의 레인포리스트 얼라이언스의 캐릭터를 사용한 로고
 
 

유기농 카카오


현재 이러한 유기농 카카오는 도미니카공화국, 에쿠아도르 등지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기농에대한 인증은 각 나라별 국가 공인 기구 (캐나다의 OCPP, 미국의 USDA 등)가 있고, 지역마다 생산자들이 연합하여 만드는 지역별 공인 기구들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국가에서 발급하는 인증에 신뢰가 가는 것은 당연하겠지요. 하지만, 전통을 중시하는 다크 초콜릿 전문회사들은 남다른 자부심으로 인증이 없더라도, 최고의 카카오를 사용합니다. 만일 유기농이라는 글자만 표시되어 있더라도 믿을 수 있답니다. 인증하는 기구마다 여러가지 로고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캐나다 유기농
미국 유기농
디초코의 표기
캘리포니아 유기농
농민의 마음
 
 

코셔인증 (Kosher)

코셔는 '적절한,정결한, 율법에 맞는'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유대교의 식사법에 따르 음식의 표현에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Non-Kosher food는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는데, 예를들면 원료 동물의 종류나, 적절치 못한 도살, 적절치 못한 용기및 기계의 사용등이 있겠습니다. 코셔는 이런 여러가지 음식에 대한 원료종류부터 처리 방법까지 대안을 제시함으로서 먹는 음식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코셔 인증된 제품에 대해서는 원료의 종류, 위생적인 가공, 안전한 유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내용은 원료가 병충해에 오염되지 않아 기준에 알맞다는 표시일 뿐, 그것이 각종 호르몬이나, 항생제를 투여받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지는 않습니다. KSA (Kosher Supervision of America)의 표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Kosher - 도살 전 병들지 않고 적절히 처리된 육류에 표시합니다.
Kosher - Pareve (Parve) - 유제품이 원료에 포함되지 않음을 표시합니다. 또한 계란이나 어류역시 원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채식주의자 중에 계란과 어류를 피하는 사람에게는 유용할 것입니다.
Kosher - Dairy - 제품에 유제품이 포함되었다는 뜻입니다. 우유가 직접 포함되지 않아도 카제인나트륨이나 우유의 일부성분만 들어가도 이렇게 표시하게됩니다.
Kosher - Dairy Equipment - 제품에 유제품을 사용하지 않았으나, 생산기계가 다른 제품을 생산하고 세척후 24시간이 지나지 않아, 이전의 성분이 함유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표시합니다. 이경우 대표적인 표기사항이 '우유나 땅콩, 견과류의 흔적이 남아있을 수 있다'입니다. 알레르기를 걱정하는 소비자에게 필요한 표식입니다.
Kosher for Passover - 제품에 곡류와 여기서 파생되는 알코올등이 원료로 사용되지 않았다는 표시입니다. 이는 유대인의 종교에 기인하는 것으로 유대인에게 필요한 표식입니다.
초콜릿 제조 회사로는 다고바, 샤펜버거등의 KSA인증, 프랑스의 보나등이 Kosher인증을 받고 종류를 표기하고 있습니다. 인증하는 기구에 따라서 아래와 같은 여러 로고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부의 경우 채식주의를 뜻하기도 합니다.

 
 

Orthodox Union
Kosher U.S.A.
Organized Kashrus
Koaoa Kosher
Kosher인증 창시자
 
 

베간 인증 (Vegan)

베간은 채식주의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계란, 우유, 치즈 등도 섭취하지 않는데 모두 동물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베간 인증의 핵심사항은 음식, 옷, 화장품등 모든 제품이 동물성 원료를 함유하지 않고 동물에 의한 부산물을 원료로 쓰지 않으며, 동물 실험을 하지 않는데에 있습니다. 코셔 인증과 비슷하기도 하지만 가장 다른 점은 동물에 대한 실험 여부입니다. 이러한 인증 제품의 소비가 늘어나면, 많은 기업들이 동물에대한 학대와 실험들을 주저하게 될 것입니다. 이 인증은 코셔처럼 원료의 성분에 따라 정교하게 구분되지 않지만, 동물 보호 차원에서 서서히 보급되고 있습니다.

 
 

로고
베간 인증을 받은 Endangered Species Chocolate
채식주의자 버튼
 
 

오레곤 틸스 인증 (Oregon Tilth)

오레곤 틸스는 1974년에 농업 비영리 기구로 태어났습니다. 미국의 오레건주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미국 전역에서 유기농에 대한 교육과 생산 지도를 주임무로 하고 있습니다. OTCO라는 유기농 인증을 실시하고 있고, 유기농 생산 시설에 대한 자문과 농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오레곤 틸스 인증을 받은 제품은 인공적인 농약이나, 합성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최소한 3년 이상의 유기농 생산을 지속하였으므로, 진정한 유기농 제품임을 보증하게 됩니다.

'초콜릿'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초컬릿에 대한 명언을 소개합니다  (0) 2008.02.05
초콜릿 상식  (0) 2008.02.05
초콜릿의 숨겨진 이야기들  (0) 2008.02.05
초콜릿이야기  (0) 2008.02.05
카카오이야기  (0) 2008.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