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뉴스

[GFTT 2025] 신체 내외부 관리하는 ‘스마트 웰니스’ 도래한다

곡산 2025. 6. 18. 04:55
[GFTT 2025] 신체 내외부 관리하는 ‘스마트 웰니스’ 도래한다
  •  이재현 기자
  •  승인 2025.06.17 07:55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뇌·피부·면역력 등 전신 건강
GLP-1 등 약물, 체중 감량 장벽 해소…혈당 관리도
몸무게 줄여 관절 건강·스트레스 완화로 장수 지향
AI, 영양·비즈니스에 큰 영향…맞춤형 솔루션 제공
성분 혁신 가속…식품·웰빙 등 개인화된 제품 개발
미셀 테오도로 민텔 애널리스트 발표
미셀 테오도로 민텔 애널리스트는 미래 웰니스 트렌드가 체중 감량 같은 단편적 접근을 넘어, 피부나 구강 등 외부 건강이 뇌와 심장 같은 내부 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내부 건강'과 AI 기반의 초개인화 영양 솔루션이 핵심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식품음료신문)

전 세계적으로 ‘헬시플레저’ 트렌드가 더욱 가속화되며 ‘웰니스’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향후 웰니스의 방향은 체중, 장 등 단순 특정 부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우리 몸의 내부와 외부를 동시에 관리하는 스마트한 시대가 올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10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제9회 글로벌 푸드 트렌드 & 테크 컨퍼런스’에서 미셀 테오도로 민텔 애널리스트는 ‘영양, 건강, 웰니스의 미래 : 2025년과 그 너머’를 주제로 한 기조강연에서 이같이 밝혔다.

먼저 테오도로 애널리스트는 체중 건강의 새로운 시대를 전망했다. 그는 “현재 오젬픽(당뇨병 치료제지만 체중 감량을 위해 허가 외 사용)과 위고비(체중 감량을 위해 승인됨)와 같은 GLP-1 계열 약물은 사람들의 체중 관리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며 “그동안 건강한 체중 유지는 오랫동안 공중 보건의 최우선 과제였지만 과체중과 비만은 여전히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하는 전 세계적인 문제다. GLP-1 약물의 승인은 이러한 소비자들에게 유망한 새로운 해결책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GLP-1 체중 감량 약물이 특히 주목받는 것은 건강에 해로운 음식에 대한 갈망과 지루함을 조절하는 것과 같은 심리적 요인을 포함해 체중 감량을 방해하는 주요 장벽을 해결하기 때문이다”며 “이제 소비자들은 체중 관리를 넘어 장수에 목표를 두고 있다. 체중을 감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관절 건강, 면역력 개선, 스트레스 완화, 수면 조절 등의 기능성을 가미한 체중 웰빙을 희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표적인 것이 체중 관리를 통한 혈당관리다. 혈당 관리 다이어트는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를 위해 상용화된 최신 의료 다이어트로 불리고 있다.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며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늦출 수 있고 혈당 수치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체중 감량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또 주목받는 트렌드는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한 ‘전신 건강’이다. 소비자들은 건강한 장이 소화를 넘어 수면, 면역력, 스트레스 등 모든 전신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길 바라고 있다는 것이다.

테오도로 애널리스트는 “특히 장 건강과 뇌 건강을 연계한 혁신을 추구하는 성향이 짙었는데, 향후에는 신진대사, 피부, 뇌, 면역 기능을 포함한 건강의 여러 측면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그는 5년 이후 웰니스의 이슈를 크게 △외부에서 내부 건강 △aI 기반의 영양을 꼽았다.

‘내부-외부 미용’은 식단이 장과 피부 건강에 영향을 미쳐 외모에 변화를 주는 것이지만 ‘외부-내부 건강’은 피부나 구강과 같은 외부 기관이 뇌나 심장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테오도로 애널리스트는 “마이크로바이옴은 장뿐 아니라 피부, 입, 폐 등 신체 전반에 걸쳐 존재한다. 피부 미생물군은 뇌 건강과 관련이 있으며 인지 기능 및 잠재적 크론병에 영향을 미친다. 또 구강 미생물군은 윗몸의 혈관과 밀접하게 접촉해 심장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아울러 AI가 앞으로도 영양과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미쳐 개인화된 보충제는 AI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테오도로 애널리스트는 “AI 영향은 개인화된 보충제에 그치지 않고, 고도로 개인화된 영양을 위한 성분 개발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킨다. 인공 지능은 성분 혁신을 가속화하고, 개인의 니즈에 맞춘 정확하면서도 과학 기반의 영양 솔루션을 제공하며 신속한 화합물 발견, 맞춤형 배합, 실시간 개인화를 갖추게 한다”며 “맞춤형 건강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AI는 유전학 및 장 건강을 위한 개인화된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식품, 건강, 웰빙 분야에서 확장 가능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혁신을 촉진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