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무알콜 음료 및 주류 시장 동향
■ 와인, 스피릿(Spirit)1)의 미래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민텔의 음료 분석가인 마틴 파트코(Martin Pasco)에 따르면, 2025년에는 크게 3가지의 요인에 따라에서 주류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첫번째는 지속되는 인플레이션에 따라 소비자들의 가격에 대한 민감성이 높다는 것이다. 유럽의 소비자들은 여전히 가계 생활비에 대한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이는 소비 침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酒)류 기업은 소비자들에게 주류를 소비할 이유를 각인시켜야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두번째로는 알코올을 절제하려는 유럽 소비자들의 트렌드에 따라, 저 알코올과 즉석 음료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유럽 소비자들에게 '웰빙'이 최대 키워드인만큼 대형 주류 및 브랜드들은 다양한 저알콜·무알콜 RTD 음료2)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세번째는 프리미엄 칵테일 시장에 대한 잠재력이다. 대형 주류 브랜드들이 다각화를 위하여 프리미엄 칵테일 분야의 음료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으며, 유럽 소비자들 또한 적은 비용으로 최대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스피릿(Spirit) 음료들을 선호하고 있다고 밝혔다.
■ 소비자 가격 민감성에 따른 주류 마케팅
민텔은 비용에 민감한 유럽의 음료 소비자들이 점점 더 많은 할인 혜택을 찾으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브랜드 충성도는 취약해지고, 브랜드의 가치를 중시하는 소비가 눈에 띄게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했다. 영국 알코올 소비자들의 61%는 지난 6개월 동안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바·레스토랑 등에서 알코올을 섭취하는 대신 가정에서 RTD즉석음료를 구매해 마신다고 설문에 응답했다. 이는 주류 기업에게 주류에 대한 구매가치를 끌어올리고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하는 마케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럽에서는 시즌별 한정판 제품, 브랜드와 유명 바텐더 혹은 유명인과의 콜라보레이을 한 RTD음료 등이 출시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있다. 이러한 한정판 마케팅은 MZ세대를 통해 소셜미디어 홍보 효과도 톡톡히 누리고 있다.

한정판 음료는 특히나 소셜미디어에서 구매 후기를 공유하는 소비자 층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고 민텔은 설명한다. 이러한 구매 형태는 집이나 실내에서 주류를 즐기는 소비자들에게 가장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민텔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16-34세의 독일 소비자의 52%는 가정에서 한정판 음료 패키지를 전시하는 것을 선호한다 말했으며, 18~24세 사이의 영국 소비자들의 54%는 소셜미디어에 다양한 RTD 음료 사진을 자주 공유한다고 답했다.

■ 알코올 소비량 감소, 절주 트렌드 지속

민텔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유럽 3개국 독일, 영국, 프랑스를 포함한 전세계 알콜 절제 추세가 점점 더 강화되고있으며, 성인 중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의 비율이 독일과 영국에서는 각각 27%, 프랑스의 경우 23%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저 알코올, 무 알코올 음료의 수요가 늘어가고 있다. 민텔의 분석에 따르면, 독일인의 44%는 알콜 함량이 낮은 저 알코올 음료를 시도한 적 있다고 답했으며, 독일 성인의 5% 지난 3개월 동안 무알콜 주류를 소비했고, 그 중 18-34세의 젊은 세대의 비율은 1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영국 기업인 Diageo(디아지오), 프랑스 기업인 LVMH, Pernod ricard(페르노리카)와 같은 유럽 대형 주류 브랜드들은 무알콜 스타트업을 인수하거나 지분을 늘려 소유권을 확보하고 있다.
■ 유럽 프리미엄 칵테일 트렌드
반면, 프리미엄 주류는 신뢰성과 고급화된 이미지로 애주가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는 주류 분야이다. 지속되는 가계 경제의 어려움으로 인해 외식의 주류 소비는 줄었지만 여전히 가정 내의 프리미엄 주류 소비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즉석음료 칵테일은 소매 알코올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이며, 여전히 소비 잠재력이 많다고 민텔은 분석하고 있다. 대형 주류 브랜드의 소유주들은 이미 자사의 프리미엄 주류 브랜드를 확장하여 다양한 스피릿(혼합음료) 기반 칵테일 즉석 음료를 출시하고 있다. 여기에 금주하는 생활방식이 확대되어가면서 무알콜 칵테일 시장까지 확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영국 18-44세 사이 95%의 음료 소비자들은 더 다양한 무알콜 칵테일 즉석음료가 필요하다는데에 동의했으며, 52%의 구매자들은 개인 상표의 무알콜 음료가 브랜드 음료만큼 맛있다고 답했다.

■ 시사점
계속되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주류 구매에 대한 가계 부담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가정 내에서의 프리미엄 주류소비 지속과 웰빙을 중시하는 생활습관에 따른 저알코올·무알코올 수요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유럽은 보통 식사 전후로 주류 및 음료를 곁들이는 문화가 자리잡은 지역이기 때문에 변화하는 환경에 맞춘 주류 및 음료 제품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복분자, 막걸리와 같이 한국산 주류를 가미한 프리미엄 칵테일 음료를 유럽 소비자들에게 선보인다면 색다르고 신선한 즐거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럽 전역에서 점점 더 알코올 프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한국의 건강한 재료들인 인삼, 오미자 등의 천연 재료를 통해 무 알코올 즉석 음료 수출을 꾀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겠다.
※ 출처
https://clients.mintel.com/content/report/a-year-of-innovation-in-rtds-wine-spirits-2025
https://clients.mintel.com/content/report/the-future-of-wines-and-spirits-2025
※ 각주
1) 스피릿(Spirit)은 보드카, 위스키, 진, 럼 등 증류 과정을 거쳐 알코올 도수를 높인 주류를 뜻함.
2) RTD(Ready-To-Drink) 음료는 별도의 추가 준비없이 바로 마실 수 있는 음료를 뜻하며 병, 캔, 팩 등에 포장된 상태로 소비자가 개봉 즉시 마실 수 있는 제품을 의미함(예, 커피, 차, 에너지드링크, 주스 등)
3) 미국의 경우, 25-34세의 합법적 알코올 구매가 가능한 인터넷 사용자 170명 대상 설문결과
문의 : 파리지사 김영은(paris@at.or.kr)
'유럽 , 아프리카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 유럽 치유 농업과 유기농산물 직거래장터 동향 (0) | 2025.02.17 |
---|---|
[독일] 독일 냉동식품 시장동향 (2) | 2025.02.15 |
[유럽] 유럽 위원회, 최신 EU 농업전망보고 – 농업시장 전망 (0) | 2025.02.14 |
맥주의 성지 벨기에에서 무알코올이 인기? (0) | 2025.02.06 |
[유럽] EU 법원, 식물성 대체육 ‘버거·소시지’ 용어 사용 허용 판결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