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사우디] 사우디 식품 산업의 성장과 전망

곡산 2025. 2. 3. 15:48

[사우디] 사우디 식품 산업의 성장과 전망

[KSA] 사우디, 식품 산업의 성장과 전망

 주요내용

사우디의 식품 산업은 `24년에 들어서며 여러 부문에서 주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급속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 빠르게 변하는 소비자 선호도, 그리고 정부의 전략적 투자와 경제 개혁이 맞물려 식품 산업 전반에 걸쳐 점차 발전을 이루고 있다. `24년에 사우디의 식품 시장은 식품 소매와 서비스, 육류 시장, 가공 산업 등 주요 부문에서 큰 성장을 보였고, `25년도에도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식품 소매 부문의 성장

 

 

`24년 사우디의 식품 소매 시장은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를 주요 배경으로 강력한 성장세를 보였다. `23년 기준 약 291억불 규모로 평가된 사우디 식품 시장은 매년 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세는 단순히 수치에만 머물지 않고, 대형 유통 체인을 중심으로 한 유통 구조의 변화와 소비자 구매 행동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우디의 주요 대형유통매장(Othaim, Panda, Tamimi, Lulu, Danube, Carrefour )은 사우디 전체 식품 소매 매출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기업은 매년 성장하며 점포를 확장하고 있다. 특히, 사우디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급속한 발전과 젊은 세대들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전자상거래가 빠르게 발달하였고, 이로 인해 점점 많은 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 식료품을 구매하고 있다. 이는 시장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며, 품질과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식품 서비스 부문의 성장

사우디는 최근 건설업 노동자들의 급증과 외식 문화의 확산, 그리고 관광객 유입, 사우디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로 인해 식품 서비스 산업이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사우디 식품 시장은 `23년 약 291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연평균 약 10%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사우디 내 주요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사우디 정부의 비전 2030 프로젝트로 인해 관광 산업의 성장과 외국인 방문객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호텔과 레스토랑, 카페 등 식품 서비스 부문의 성장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메카와 메디나를 방문하는 종교 관광객과 함께 신규 관광지 개발로 인해 다양한 식음료 브랜드와 서비스가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사우디 상업부(Ministry of Commerce)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4년 한 해 동안 식품 서비스 분야의 신규 사업자가 전년 대비 33% 증가하며,  368,038건을 기록하였다. 특히, 레스토랑 및 이동식 식당의 신규 사업자는 10% 증가하며 136,102건으로 늘어났으며, 음료 서비스 분야는 35% 증가하여 62,510건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장 추세는 사우디의 식품 서비스 시장의 지속적인 확장을 나타내며, 향후에도 긍정적인 전망이 예상된다.

 

 

식품 가공 산업의 성장

사우디의 식품 가공 산업은 사우디 내수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사우디는 현재 1,300개 이상의 등록된 식품 가공 관련 기업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약 75%는 직원 수가 20명 이하인 소규모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사우디아라비아 소매 시장 수익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용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식품 가공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수출 시장에서도 점차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사우디는 중동 인근 국가들로의 식품 수출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육류 생산을 늘리기 위한 노력

사우디 육류 시장은 `30년까지 약 183억불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5.8%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인구 증가와 더불어 식습관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우디는 현지 육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다른 중동 국가와 비슷하게 수입 의존도가 높은 상태이다. 특히 소고기와 양고기의 수입 비중이 크며, 이는 국제 시장의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첨단 농업 기술 도입과 현지 생산 확대를 장려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식량 안보 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시사점

`24년 사우디의 식품 산업은 전반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국가 경제의 주요 축으로 자리 잡았다. 비전 2030정책의 일환으로, 식품 산업은 단순히 사우디 내수 소비를 넘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 속에 다가오는 `30년까지 기술 혁신과 품질 개선, 시장 다변화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서비스와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 개발은 사우디 시장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ZAWYA

https://www.zawya.com/en/business/retail-and-consumer/saudi-commercial-registrations-in-food-service-sector-surge-33-to-25-684-in-2024-rws8z7lu

https://www.zawya.com/en/press-release/companies-news/winner-winner-chicken-dinner-saudi-favourite-al-baik-now-open-at-al-ghurair-centre-c41qzacy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https://www.fas.usda.gov/

 

Saudi Ministry of Commerce

https://mc.gov.sa/en/Pages/default.aspx

 

FORTUNE BUSINESS INSIGHTS

https://www.fortunebusinessinsights.com/ko/saudi-arabia-food-service-market-106896

 

Arab News

https://www.arabnews.com/node/2071786/business-economy

https://www.arabnews.com/node/1794811/corporate-news

 

Business Insider

https://www.arabnews.com/node/2071786/business-economy

 


문의 : 두바이지사 권혁우(harrykwon@a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