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 아프리카등

이탈리아, 비만 인구 증가로 성장하는 대체식품시장

곡산 2018. 4. 26. 08:05
이탈리아, 비만 인구 증가로 성장하는 대체식품시장
2018-04-20 유지윤 이탈리아 밀라노무역관

- 과체중 인구가 증가하며 건강하게 체중조절할 수 있는 대체식품시장 성장-

- 관련 법규의 이해와 전시회 참가로 현지 시장진출 도모 가능-

 

 


□ 비만 인구 증가로 대체식품 매출 증가

 

  ㅇ 지중해식 건강식품의 나라 이탈리아에서도 비만과 과체중 인구 증가 추세

    - ADI(이탈리아 식이영양협회) 발표에 따르면 이탈리아 과체중 인구가 전체인구의 56%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됨. 중장년층으로 갈수록 비만인구 비중이 높아져 노년층(75~79세)에 60%대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음.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노년층으로 갈수록 과체중·비만 인구가 증가하며 이탈리아 정부에서도 비만으로 인한 질병 예방 조치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이에,체중조절의 필요성 상승으로 인해 체중조절제품시장이 점차 성장하고 있음.

 

연령대별 남녀 비만인구 비율(2015년 기준)

external_image

자료원: vizhub.healthdata.org(건강계층평가연구소)

 

  ㅇ 체중조절제품 중 건강하게 체중감량을 할 수 있는 대체식품에 대한 신뢰도가 증가하며 다양한 제품이 시장에 출시

    - 최근 대체식품이 체중감량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에 따라 매출이 증가하는 추세. 실제로 대체식품은 2017년 2억700만 유로의 매출을 올리며 전년대비 4%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대체식품 관련 업체들은 관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관심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리법 개선, 건강한 식품원료 함유율 증가, 고른 영양소 배합 등 제품혁신에 투자하고 있음.

    - 이외 슬리밍티·영양보충 음료·웰빙제품은 모두 소폭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비만의약품과 체중감량보조제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소비자들이 건강한 체중감량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이탈리아 체중조절제품 매출동향

(단위: 백만 유로, %)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증감률('18/'13)

대체식품

155.6

177.7

192.0

200.0

207.2

212.4

36.5

비만의약품

0.4

0.3

0.2

0.2

0.1

0.1

-75.0

슬리밍티

9.2

9.4

9.6

9.7

9.9

9.9

7.60

영양보충음료

5.0

5.2

5.2

5.3

5.4

5.5

10.2

체중감량보조제

168.0

162.0

156.5

150.3

144.1

137.4

-18.2

체중조절 및 웰빙 제품

338.1

354.5

363.5

365.4

366.7

365.4

8.07

자료원: 유로모니터

 

□ 이탈리아 인기 체중조절 식품과 업체 현황

 

브랜드명

가격(유로)

제품설명

external_image

Formula 1

46

Herbalife Italia SpA 의 대체식품 브랜드 라인 중 하나인 Formula 1로 바닐라, 카카오, 딸기 등 여러 가지 맛이 있어 소비자들의 선택지가 넓음. 현재 시장점유율 1위의 브랜드임.

external_image

Pesoforma

11.9

Nutrition & Santé Italia SpA의 자사 브랜드 Pesoforma 임. 가루형 (스무디형) 제품 뿐 아니라 바나 크래커 형식의 대체 식품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제품이 존재함. 직접판매인 Herbalife 와는 다르게 소매점유통이 주된 제품공급 경로임.

external_image

NaturHouse

31.5

체중감량보조식품과 대체식품 일체를 다루는 이탈리아 업체임. 잼과 빵 대체식품, 시리얼 바, 액상형 보조제 등을 다루며 밀라노에 3개의 단독매장을 가지고 있음.

external_image

Kilocal

21.62

Pool Pharma Srl 의 브랜드임. 물에 타 먹는 분말형과 액상형이 있으며 체중감량 및 지방흡수를 억제하는 보조제 등도 판매함. 가격이 높지 않고 온라인 구매가 간편해 접근성이 높음.

external_image

Fitomagra

8.10

Aboca의 브랜드로 판매대리점 또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제품 판매를 함. 주로 슬리밍티, 시럽, 알약 형태의 체중감량조절 식품을 취급함.

자료원: KOTRA 밀라노 무역관 자체 조사 및 편집

 

  ㅇ 대체식품 업체 현황

    - Herbalife는 이탈리아에서 대체식품 분야 1위 브랜드로 Herblaife제품의 총 시장비중은 20%에 달하며 점점 증가하는 추세임. 해당 업체는 직접판매 업체로 탄탄한 조직망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높은 브랜드 인지도가 가장 큰 강점. 특히 대표 브랜드 Formula 1(분말형)은 시장에서 11.1%의 비중을 차지해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함. 이는 제품을 직접 판매처로부터 구매할 경우 건강과 제품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얻기 쉬워서일 것으로 보임.

    - Nutrition & Santé는 대체식품 2위 브랜드로 자사브랜드 Pesoforma는 식료품 소매점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브랜드. 슈퍼마켓에서 손쉽게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약국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단백질 대체식품 브랜드인 Protiplus도 론칭해 신뢰도를 높여가며 시장을 넓혀가고 있음. 2014년 대비 0.8%의 시장점유율이 증가했고 향후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상위권의 브랜드 대부분이 시장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대체식품 분야는 브랜드 인지도가 중요함을 알 수 있음.

 

이탈리아 체중조절식품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단위: %)

브랜드명

업체명

2014

2015

2016

2017

Formula 1(Herbalife Ltd) 

Herbalife Italia SpA

9.0

9.7

10.5

11.1

Pesoforma(Otsuka Holdings Co Ltd) 

Nutrition & Santé Italia SpA

8.0

8.2

8.5

8.8

Herbalife(Herbalife Ltd) 

Herbalife Italia SpA

7.8

7.7

8.3

8.5

Natur House(Kiluva Grupo) 

Naturhouse Srl

5.9

5.3

4.8

4.4

Kilocal 

Pool Pharma Srl

3.4

3.3

3.1

3.1

Fitomagra 

Aboca SpA

3.2

3.1

3.0

2.9

EnerZona(Also SpA) 

Enervit SpA

1.9

2.1

2.2

2.3

Body Spring(Angelini Group) 

Aziende Chimiche Riunite

Angelini Francesco SpA

2.4

2.3

2.1

2.0

L'Angelica(Henkel AG & Co KGaA) 

Coswell SpA

1.5

1.4

1.4

1.3

Enervit Protein 

Enervit SpA

1.0

1.0

1.0

1.0

Re-Code 

Zuccari Srl

0.8

0.7

0.7

0.7

자료원: 유로모니터

 

□ 시장특성 및 규제

 

  ㅇ 체중조절식품 규제  

    - 체중조절용 대체식은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하는 과체중 또는 비만 성인을 위해 고안된 복합적인 제품으로 분류되기에, 체중 감량을 위한 에너지 제한 식이와 이와 관련해 과학적 데이터에 의해 확립된 일일 영양 요구조건을 충족시켜야 함. 구성 요소, 영양 등이 적합하게 표시돼야 함.

    - EU는 알약, 캡슐, 액상 캡슐 태로 판매되는 비타민과 미네랄 등 건강보조제를 2002/46/EC 지침에 따라 규제하고 있음. 2002/46/EC 지침은 건강보조제의 라벨링 조건을 명시하고 있으며, 복용 가능한 비타민과 미네랄의 최대치를 규정하고 있음.

 

  2002/46/EC 지침의 부속서 II에는 건강보조제에 넣을 수 있는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을 나열하고 있음.

    - 부속서 II는 2009년 개정·강화됐으며, 2013년과 2017년에 각각 내용이 보충됨. 보충 내용에는 새로운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이 추가됐으며, 이 외 별도의 성분을 추가하고 싶다면 유럽식품안전청(EFSA)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과학적 효능이 입증돼야 하고 관련 데이터가 갖춰져야 함.

 

  ㅇ 라벨링

    - 비타민 및 건강보조제는 식품과 라벨 표시요구 사항이 같으며, 라벨에 건강보조제임을 명시해야 함.

    - 건강보조제의 라벨링에는 일반 식품 라벨링에 포함돼야 하는 사항 이외에 △ 권장 복용량 △ 성분 함량 △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는 경고 문구 △ 건강보조제가 식단 대용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경고 문구 △ 건강보조제가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경고문구가 명시돼야 함.

    - 또한 식품 영양성분 및 건강강조 표시에 관한 EU 규칙 No. 1924/2006은 비타민 및 식이보충제의 마케팅에 사용할 수 있는 건강강조 표시 목록을 규정함. 이에 따라 승인 받지 않은 건강강조 표시가 있는 건강보조제는 판매할 수 없음.

 

ㅇ 이탈리아 식품유통업체 바이어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대체식품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추세이나 EU의 규정에 적합한 제품으로 시장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함.

  - 해당 바이어가 취급하는 한국의 홍삼제품은 이탈리아 현지 시장에서 식품이 아닌 건강보조제로규정돼 수입에 일정 시일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 대체식품 또한 사전에 EU의 규정을 확인하고 시장에 접근해야 시장진입에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설명

  - 또한 대체식품이나 체중조절식품은 브랜드의 신뢰도와 광고효과 등이 중요하기에 장기적인 안목으로 시장을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첨언함.

 

□ 전망 및 시사점

 

  ㅇ 이탈리아의 비만율 증가와 함께 체중증가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대체식품시장이 상향세를 보임.

    - 이탈리아에서도 비만 인구는 증가하는 추세이나, 체중조절을 위해 비만의약품 보다는 건강을 생각하는 대체식품을 선호하고 있음.

    - 대체식품의 소비는 2017년 3억6000만 상당의 매출액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약 4%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슬리밍티(Slimming Tea)등 다양한 제품 또한 소비가 증가할 전망. 이에, 현지 시장진출을 준비하는 업체는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건강하게 체중조절을 할 수 있는 제품을 특징으로 내세우는 전략이 필요할 것임.

 

  ㅇ 웰빙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끊이지 않기에 대체식품 시장규모는 더욱 성장할 전망으로 시장을 접근을 위해 다양한 유통경로를 조사해 볼 필요가 있음.

    - 관련 제품의 유형과 유통경로가 다양함. 현지에서는 직접 판매방식으로 판매가 되는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음을 감안,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뿐 아니라 직접 판매 브랜드로의 제품 공급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음.

    - 이를 위해 현지의 관련 전시회 참가를 고려해 볼 수 있으며, 현지 파트너 업체 발굴로 현지 광고 등 우선적으로 브랜드의 인지도를 제고하는 마케팅이 선행돼야 함.  


전시회명

RiminiWellness

기간

2018 5 31~6 3

장소

리미니 피에라

홈페이지

www.riminiwellness.com

전시 소개

-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건강식품 전시회

- 웰빙, 피트니스, 스포츠, 건강식품 등 건강 관련 제품 전문 전시회

- 2017 268,120명이 방문했으며, 400개 업체가 참가함

- B2B B2C 전시관이 분리돼 있어 전시회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음.

 

 

자료원: 이탈리아 식이영양협회(ADI), EU 홈페이지(eur-lex.europa.eu), 건강계층평가연구소, 이탈리아 통계청(ISTAT), 일간지 Corriere della Sera, 유로모니터(Euromonitor), KOTRA 밀라노 무역관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