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캐나다등

미국 시장에서 스낵용 김이 뜬다

곡산 2015. 11. 18. 14:23

제목 미국 시장에서 스낵용 김이 뜬다
게시일 2015-11-02 국가 미국 작성자 송용진(로스앤젤레스무역관)
품목 기호식품 품목코드 15

     

미국 시장에서 스낵용 김이 뜬다

- 한국산 스낵김, 현지 주요 유통업체에서 판매 중 -

- 다양한 맛을 가미한 건강식으로 각광 -

     

     

 

□ 미국 스낵김 시장 개요

     

 ○ 김 시장 수입 및 시장 동향

  - 미국 내 주요 식품 유통매장에서는 일본 스시 김 위주로 소량 입점해 판매되는 상황임.

  - 김이 미국 현지에서 웰빙 스낵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히스패닉, 중국을 포함한 타인종과 주류 소비자들까지 그 인기가 확산되고 있음.

  - 미국의 2013년 김류 수입액은 전년 대비 20% 가량 증가했으며, 한국산 김 수입도 2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됨.

  -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건조 김, 맛김 등으로 단순했던 제품 구성이 현재는 웰빙 트렌드에 편승해 올리브유, 포도씨유 등을 사용한 프리미엄 제품들이 시중에 출시되고 있으며 소비자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한 상황임.

 

 ○ 한국산 김 판매 동향

  - 한국산 김은 Costco 등 대형 유통체인으로 진출이 확대되고 있으나, 조미김이나 조미되지 않은 김으로 품목군이 한정돼 있으며 조미되지 않은 스시용 김은 중국산과 일본산이 대부분의 유통을 점유한 실정임.

  - 조미되지 않은 스시용 김 등 식재료 시장의 범위가 크지만, 한국 업체들의 경우 대부분의 수출품이 조미김에 국한돼 있어 수출 확대에 한계가 있음.

  - 미국 내 일본계 마켓이나 중국계 마켓에 유통되는 김 중 한국산 제품은 거의 없으나, 최근 중국계 마켓을 중심으로 포장 및 디자인 개선 등을 통해 한국산 제품이 입점되고 있으며, 한국식 맛과 포장을 모방한 중국산 제품이 출시되고 있음.

 

 ○ 스낵김 시장 동향

  - 최근 수년간 스낵용 김은 한인마켓 외에도 미국 온·오프라인에서 판매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주류 유통업체인 Whole Foods Market이나 Trader Joe's 등에서 스낵 형태로 판매 중임.

  - 특히 데리야끼 맛 또는 매운 맛 등 미국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다양한 맛을 가미한 제품이나 아몬드를 첨가해 웰빙스낵으로 진화한 제품들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음.

  - 한국 제품의 경우, 현지인의 입맛에 맞게 기름과 염분 및 당도를 조절하고 포장 디자인을 개선하면서 유기농 식품매장인 Whole Foods Market이나 Trader Joe's 등에서 건강스낵용으로 판매 중임.

 

 ○ 스낵김 판매 동향

  - Annie Chun's는 2006년 한국 CJ그룹이 인수한 천연재료 식품 생산업체로 Walgreens, Whole Foods Market 등에서 현지 유통업체를 통해 판매 중임. 특히 와사비맛 김 제품은 현지인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상황임.

  - Woobo는 현지 유통업체로 한국에서 아몬드를 가미한 완성된 스낵 김 제품을 수입해서 Costco와 Whole Foods Market 등에서 Ocean Snack Seaweed Crisps Almonds라는 브랜드명으로 판매 중임.

     

미국에서 판매 중인 한국산 스낵김 제품

자료원: Annie Chun's 및 Woobo 웹사이트

     

□ 진출방안

     

 ○ 품질인증이 중요

  - 미국 주류시장에 한국산 김을 수출하려면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인증)과 GFSI(국제식품안전협회)의 승인이 있어야 함.

  - GFSI는 현존하는 식품규격에 대한 식품안전기준 수립·강화 및 발전을 유도하고자 2000년에 설립된 비영리단체이며 GFSI에서 인정하는 국제규격은 FSSC 22000, SQF 2000, BRC IOP임.

  - 또한 고급 유기농제품을 취급하는 미국 유통업체에 제품을 한국산 스낵 김을 선보일 때 Kosher 인증과 Halal 인증이 있으면 큰 도움이 됨.

  - Kosher(유대교식품적법인증) 인증은 코셔 슈퍼바이저가 음식재료, 생산시설, 조리공정 등 하나의 제품이 완성될 때 필요한 모든 것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거친 뒤 발급됨.

  - Halal(이슬람권 율법에 따른 성분 및 제조과정 인증) 인증은 이슬람권 율법에 따라 음식, 음료뿐만 아니라 음식과 음료를 이루는 기초 원료의 성분부터 생산, 가공, 보관에 이르는 모든 것을 검사하고,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관리했음을 인증함.

 

Kosher(좌) 및 Halal(우) 인증

    

자료원: 구글 검색

 

 ○ 식품 라벨링

  - 식약청(FDA)가 관할하며 거의 모든 식품에 의무사항임. 제품명, 영양분석, 성분, 제조유통업체, 중량, 유통기간을 표기해야 함.

  - 제품의 실제 내용물과 라벨링이 다를 경우 FDA 테스트를 거쳐 부정표시로 분류돼 향후 반입 자체가 거절될 수 있음.

  - 알레르기 유발식품에서 추출된 알레르기 단백질을 함유한 식품 원료로 제조된 식품일 경우 식품 라벨의 성분 표시랑엔 알레르기 유발식품의 존재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음.

  - 알레르기 유발성분 표시방법은 식품명을 적은 후 괄호 안에 알레르기 유발성분의 명칭을 기재하거나, 성분리스트를 적은 후 Contain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기재함.

 

김 식품 라벨의 예

    

자료원: Jayone Foods 바이어

 

 

자료원: 바이어 인터뷰, 매장 실사 및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