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2025년 하반기 뉴질랜드 식품트렌드

▶ 주요내용
‧ 뉴질랜드가 본격적인 겨울로 접어들면서, 전 세계 식품·소비 트렌드가 현지 소비자들의 장보기, 요리, 신선식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2025년 하반기 주목해야 할 5가지 주요 트렌드는 아래와 같음
1. 밀레니얼·Z세대, ‘집밭’에 빠지다
‧ 설문결과에 따르면, 뉴질랜드 Z세대의 69.2%, 밀레니얼의 51%가 2025년 더 많은 시간을 원예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답함
‧ 팬데믹 이후 집밭 붐, 원예용 식물 수요 증가, 원가 절감·웰니스·환경 의식 고조와 맞물려 뉴질랜드 젊은 세대에게도 확산되는 추세임
‧ 실제로 지난 5년간 뉴질랜드 원예 시장은 20% 성장했고, 2025년 시장 규모는 31억 3,000만 달러에 이를 전망임
‧ 겨울철 파종 추천 작물로는 근대, 당근, 케일, 마늘, 양파, 루바브 등이 있으며, 사과·자두·배 등 과일나무도 심기 적기임
2. ‘안티 디너파티’ 열풍: 수프 스왑·저스트 모임 인기
‧ 뉴질랜드에서는 ‘수프 스왑’ 등 간편한 테마 모임이 인기를 끌고 있음
‧ 부담 없이 음식을 나누며 교류하는 ‘안티 디너파티’ 트렌드는 뉴질랜드 특유의 포틀럭 문화와 잘 맞아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보임
‧ 바쁜 일상 속에서도 저비용으로 따뜻한 집밥과 만남을 즐기려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음
3. ‘알뜰식’ 부활: 남은 재료도 요리의 주인공
‧ 2차 세계대전 시절 배급제에서 착안한 ‘스크래피 쿠킹(알뜰요리)’이 다시 주목받고 있음
‧ 과일·채소의 껍질, 줄기, 잎 등 버려지던 부분까지 활용해 육수, 페스토, 볶음 등으로 재탄생시키는 방식임
‧ 최근 식품 인플레이션이 3.7%로 15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식재료를 최대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음
4. ‘편리미엄’ 신선식품 인기
‧ 전 세계적으로 손질·세척·즉석조리 가능한 신선식품(프리컷·샐러드믹스·채소트레이 등)이 인기를 끌고 있음
‧ 뉴질랜드 대형마트에서도 프리패키지 채소, 샐러드, 볶음용 믹스가 빠르게 늘고 있음
‧ 다소 고가의 제품이지만, 외식 대신 집밥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에게 시간 절약과 편의성을 제공함
5. 식탁의 주인공: 감자와 콜리플라워
‧ 식품 가격 상승 속에, 감자와 콜리플라워가 가성비 좋고 활용도 높은 식재료로 부상함
‧ 감자는 뉴질랜드인의 97%가 소비하는 대표 식재료로, 삶기·구이·볶음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있음
‧ 콜리플라워는 영양가와 활용도가 높아 구이, 퓨레, 수프, 라이스, 피자 도우, 고기 대체 식재료로 인기가 높음
▶ 시사점 및 전망
‧ 2025년 하반기 뉴질랜드 식품 시장은 ‘집밭’ 열풍, 저스트 모임, 알뜰요리, 편의 신선식품, 감자·콜리플라워 등 실용적이고 창의적인 소비 트렌드가 두드러질 전망임
‧ 뉴질랜드에서 식품 가격 상승과 웰니스, 환경, 지속가능성 가치가 맞물리며,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새로운 식문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
‧ 한국식품 수출업체는 변화하고 있는 뉴질랜드 식품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트렌드에 부합한 제품을 발굴하여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 필요가 있음
*출처 : rnz.co.nz(2025.6.16.)
문의 : 자카르타지사 이경민 (daniel1222@at.or.kr )
'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베트남 유통매장 현황 (0) | 2025.06.19 |
---|---|
[태국] 태국 스낵 시장, 성장 둔화 속 경쟁 격화 (2) | 2025.06.19 |
미얀마인들 마음속으로 자리 잡는 K-푸드 열풍 (8) | 2025.06.17 |
인도네시아 음료 시장 전망과 주요 트렌드 (2) | 2025.06.17 |
할랄 산업으로 눈 돌리는 필리핀, 수출 시장의 새 키워드 되나 (2) | 2025.06.17 |